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Reorganization of French Teacher Training System: Focusing on ESPE

프랑스 교원양성제도 개편에 관한 연구 : ESPE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7.04.15
  • Accepted : 2017.06.27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raw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direction of the reorganization of French teacher policy focusing on ESPE which was introduced in 2013 according to the flow of French education reform. When looking at the major changes in the French teacher training system, three revisions have been made over the last 25 years and starting from IUFM introduced in 1991 and through in 2009, ESPE, a new teacher training institute, has been introduced in 2013 and been running. ESPE is an independent professional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for educating teachers (from kindergarten to university) as well as education specialists and the understanding of ESPE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can see the direction of reform of French teacher policy in the fact that all advantages of the former system is succeed at maximum and the disadvantages are complemented. When looking at the major reorganization direction of French teacher policy, first, it has strengthened its position as a research teacher by connecting teacher training with the master's degree program. Second, it pursued the balance between theoretical education and field training in teacher training. Third, eligibility criteria of teacher training become diversified and it's downgrading from master degree to bachelor degree. Fourth, teacher training, teacher recruitment exam, master degree in teaching and teacher certification are linked each other. Fifth, teacher training is made in two aspects, teachers as well as education specialists. In conclusion, French teacher policy has a great significance in terms of the fact that the will of reform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ultimately through establishing the status as research teacher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teachers can be seen.

본 연구는 프랑스 교육개혁의 흐름에 따라 2013년에 도입된 ESPE를 중심으로, 프랑스 교원정책의 개편의 방향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프랑스 교원양성제도의 주요변화과정을 살펴보면, 최근 25년간 3차례에 걸쳐 개편이 진행되었는데, 1991년에 도입된 IUFM에서부터, 2009년를 거쳐, 2013년에 새로운 교원양성기관인 ESPE가 도입되어 시행중이다. ESPE는 교사양성(유치원에서 대학까지)뿐 아니라 교육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독립적 전문교원양성교육기관으로, 이전 제도의 장점은 최대한 살려 모두 계승하고, 단점은 보완하고자 한 점에서 ESPE에 대한 이해는 프랑스 교원정책의 개혁의 방향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연구결과 프랑스 교원정책의 최근 25년간 주요개편방향을 살펴보면, 첫째, 교원양성교육을 석사학위과정과 연계하여 연구하는 교사로서의 위상을 강화한 점이다. 둘째, 교원양성교육에서 이론교육과 현장실습교육의 균형을 추구한 점이다. 셋째, 교원양성교육의 자격기준이 다양해지고, 석사학위에서 학사학위로 하향화 한 점이다. 넷째, 교원양성교육과 교원임용시험 및 교직석사학위취득, 교사자격증 취득은 연계되어 있다는 점이다. 다섯째, 교원양성교육이 교사뿐 아니라 교육전문가 양성의 두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결론적으로 프랑스 교원정책은 연구하는 교사로서의 위상정립과 교원의 질적 향상을 통해 궁극적으로 교육의 질을 높여가겠다는 개혁의 의지를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