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비교교육연구)
- Volume 27 Issue 3
- /
- Pages.101-127
- /
- 2017
- /
- 1229-3903(pISSN)
DOI QR Code
Critical Review on Discourses of Learning in Global Education Agendas
글로벌 교육의제에 반영된 학습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교육의제에'학습'은 어디에 있는가?
- Kim, Jin-He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
- Cho, Won-Gyeum (Pusan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7.04.15
- Accepted : 2017.06.19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debates on learning and learning outcomes in global education agendas have changed and to understand the discourses and issues about learning under the agendas, and finally based on the understanding, to know what is the implication we should take in international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in Korea. To do this,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d 1) what is the main features and directions, and 2) the method and limitation in handling learning concept on three major global education forums which are Jomtien global education forum in 1990, Dakar in 2000, and Incheon in 2015. Major finding shows that there are little learning concept discussed in Jomtien and Dakar forums and in SDGs education agenda, learning is vaguely defined and discussed and there are problems of too much focus on learning outcomes itself and absence of study on proper assessment system. Major lessons and implications for international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could be stated that postcolonial perspectives and learner centered approaches is required in developing countries's education ecology. And continuous suppor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or learners' capacity should be underlined. We needs to focus on developing software not hardware from the first of educational ODA. Finally, it is needed to embed within pedagogical approaches.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교육의제들 속에서 드러나고 있는 학습 및 학습 성과에 대한 논의가 어떻게 변해 왔는지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제교육개발협력이 나아갈 방향성과 시사점을 얻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제교육계의 3대 글로벌교육회의라 일컬어지는 1990년 좀티엔 세계교육회의, 2000년 다카르 세계교육포럼, 그리고 2015년 인천 세계교육포럼으로 줄기를 잇는 국제 선언을 분석의 축으로 삼고자 한다. 여기서 다루어진 핵심 내용과 방향이 무엇이고 학습을 다루는 목적과 위상, 그리고 한계를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글로벌교육의제에서 학습 담론이 거의 생략되어왔고, SDGs 교육의제 하에서의 학습 담론도 개념의 모호성으로 인해서 개발도상국에서 제대로 수용되지 못하는 문제가 드러났다. 또한 '학습성과'를 '학습평가'로 등식화하면서 양질의 교육을 보장하기 위해서 '평가'에만 몰입하는 방향이 나타나는 모순적 상황이 한계로 드러났다. 이에 앞으로의 국제교육개발협력사업은 첫째, 선진국의 교육 시스템 및 기존 지식 제공 방식이 아니라 탈식민주의 관점에서 그리고 학습자 중심주의의 교육적 접근을 통하여 추진되어야 한다. 둘째, 일회성의 국제교육개발협력사업이 아닌 개발도상국 학습자의 성장을 지속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방식으로 전체 틀이 다시 설계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셋째, 앞으로의 교육개발사업은 그 발굴단계에서 하드웨어가 아니라 학습자의 학습 과정과 성취를 고려한 소프트웨어 개발 중심으로 추진될 필요가 있다. 이제 학습 주의와 교육학의 전문적 지식을 사업 발굴 단계 및 진행과정에 연계하여 국제교육개발협력에서 '교육적' 의미를 높일 수 있는 방향이 무엇인지 깊은 성찰이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