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differences in perceptions and educational needs of university students, graduates, human resource manager on NCS basic job skill

NCS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4년제 공학계열 대학생, 졸업생, 인사담당자의 인식 차이 및 교육요구도 분석

  • Kim, Kyeong Eon (Center for Teaching & Learning,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
  • Kim, Ju Ri (NCS Center,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
  • Woo, Heajung (Graduates school of HRD, Korea University of Techinology and Education)
  • 김경언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학습센터) ;
  • 김주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NCS센터) ;
  • 우혜정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7.05.31
  • Accepted : 2017.07.27
  • Published : 2017.07.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implications on develop and operate NCS curriculum by analyzing of differences in perception and educational needs of university students, graduates, human resource managers(HR managers) on NCS basic job skill. The respondents of survey are composed of 533 university students in K university, 730 graduates and 106 HR manager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mportances of all competencies recognized by HR managers was higher than those of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s. And graduates perceived their level of competencies as higher than those of university students. Second, the needs for self-development skill, technical skill, and problem-solving skill was the highest within the students and graduates, meanwhile, the needs for the mathematical skill, resource management skill, and the organization understanding skill were low. In contra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HR managers has the high needs for self-development skill, communication skill and problem-solving skill. Also, HR managers has the low needs for mathematical skill, resource management skill, information skill, technical skill,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skill, and job ethics.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proposed the necessity to develop and apply the NCS curriculum considering the education needs recognized by current students, graduates, and HR managers.

본 연구는 공과계열 4년제 대학생, 졸업생,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NCS 직업기초능력의 중요도, 현재 자신의 수준, 교육요구를 파악하여 대학의 NCS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533명, 졸업생 730명, 인사담당자 106명을 대상으로 NCS 직업기초능력의 중요도 및 자신의 수준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인사담당자는 재학생, 졸업생에 비해 모든 역량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졸업생은 재학생에 비해 모든 역량에 있어 현재 자신의 수준이 높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학생과 졸업생은 자기개발능력, 기술능력,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았고, 수리능력, 자원관리능력, 조직이해능력, 직업윤리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낮게 나타났다. 반면 인사담당자는 자기개발능력,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았으며, 수리능력, 자원관리능력, 정보능력, 기술능력, 조직이해능력, 직업윤리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재학생 및 졸업생, 인사담당자가 인식하는 교육요구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NCS 교육과정을 개발 적용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자길.강순희(2011), 직업능력표준과 자격, 도서출판 우정디앤피.
  2. 길대환.김진모(2009). 기업체 HRD 담당자의 직무교육 요구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1(2): 153-175.
  3. 김연희.정재삼.이종경.이유진(2010). 대학생이 인식하는 핵심역량과 교육요구도 분석. 교육방법연구, 22(4): 1-20.
  4. 민선향(2015). NCS 기반 비서 교육과정 개발 사례연구. 직업교육연구, 34(2): 53-74.
  5. 박민정(2008). 대학교육의 기능과 역할 변화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 담론: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교육적 함의. 교육과정연구, 26(4): 173-197.
  6. 박순애.오성호.박혜원(2010). 인재수요에 부응하는 역량중심의 대학교육에 관한 연구. 현대사회와행정, 20(3): 171-197.
  7. 박주호.이정표.박윤희(2013). 한국폴리텍대학 졸업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산업체의 교육 요구도 분석. 직업교육연구, 32(1): 83-105.
  8. 박혜영(2011). 항공관련 학과 교과과정에 대한 교육요구도 비교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11): 521-535. https://doi.org/10.5392/JKCA.2011.11.11.521
  9. 배광민.윤관식(2015). 특성화고등학교 직업기초능려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분석 - 기업근로자를 중심으로.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0(2): 44-71.
  10. 배을규(2003). 기업 교육훈련 이해관계자 집단의 교육훈련 평가요구도 조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5(2): 113-133.
  11. 성희진.나승일(2012). 대학 졸업예정자의 경력개발역량과 경력탐색행동 및 대학경력개발지원의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4(1): 83-108.
  12. 우혜정.배광민.윤관식(2016). 특성화고등학교 기계계열 학과 직업기초능력 과정 개발을 위한 교육 요구 분석 - 충남 소재 기업 규모별 접근. 산업교육연구, 35(3): 1-21.
  13. 유영국(2016). 전문대학 공학계열의 NCS 기반 직업기초능력. 전기전자재료, 29(1): 34-45.
  14. 윤덕원.우혜정.강봉준.김윤호(2016). 국가직무능력표준 직업기초능력 기반의 직군별 요구역량: 국내 대기업 A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12): 383-398. https://doi.org/10.5392/JKCA.2016.16.12.383
  15. 양영근.정원희(2014). NCS 직업기초능력과 산업체 교양교육 수요를 반영한 교양교육과정 개편 연구 - D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9(2): 35-65.
  16. 이정표.박윤희.홍선이.나승일.이병욱(2004). 성인의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실태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7. 이재경(2002).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방법론에 대한 고찰: 마케팅 역량강화 교육과정 체계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18(4): 25-56.
  18. 이종범.정철영.김진모.김재겸.주인중.임경범(2008). 직업기초능력 수준별 성취기준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 이진욱.김진영(2016). NCS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4년제 대학생들의 요구: IPA를 통한 사례연구. 산업교육연구, 35(5): 75-96.
  20. 이희은(2015). 국가직무능력표준 직업기초능력 요구분석: 기업 인사담당자와 대학생의 인식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조대연(2009).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교육문제연구, 35: 165-187.
  22. 주현재.김현우(2016). 전문대학에서의 NCS 직업기초능력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S 보건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와융합, 38(3): 327-358.
  23. 최돈민.이희수.윤여각.이종섭.류경숙(1999). 평생 교육 요구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4. 허영주(2016). NCS 직업기초능력의 교양 교육과정 도입 전략 탐색. 교양교육연구, 10(1): 425-462.
  25. 홍아정.조윤성.박치경(2015). NCS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대학생 교육요구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7): 227-246.
  26. Borich, G. (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 (1): 39-42.
  27. Idowu Oladele. (2015). Borich Needs Model Analysis of Professional Competence Among Extension Officers in North West Province, South Africa. Journal of Agricultural & Food Information, 16 : 151-162. https://doi.org/10.1080/10496505.2015.1013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