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인자.김혜연. (2005). 제주도 초등학교 학생의 생활시간 사용 및 만족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9(4), 1-19.
- 강한나.박혜원(2013). 저소득가정 영유아의 발달과 부모의 양육특성 및 하루 일과시간에 관한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1(6), 613-622. https://doi.org/10.6115/fer.2013.51.6.613
- 강현구.정수지.이순형(2014).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수면시간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등학교 청소년의 유형별 학업시간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2004년 추계학술 대회, 144-146.
- 고선강.김영순(2015). 아동의 생활시간과 시간빈곤.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5년도 추계 학술대회 및 제20차 정기총회, 115-127.
- 김경호(2017). 고등학생의 수면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제5차 년도 자료의 분석. 청소년복지연구, 19(1), 57-84.
- 김외숙(2015). 가족자원경영학에서의 시간사용 연구와 시간빈곤.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제20차 정기총회, 13-28.
- 김외숙.송혜림.조희금.김주희(2016). 미취학자녀를 둔 맞벌이 집단의 근무일과 비근무일 생활시간배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3), 25-43.
- 김지희(2012). 아동의 생활시간과 놀이시간 양태 연구: 방과 후 보호자 유무에 따른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50(8), 13-19. https://doi.org/10.6115/khea.2012.50.8.013
- 박정윤.전유진(2016). 청소년 자녀의 생활시간 사용에 부모의 양육태도가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4), 35-47.
- 서종수.조희금(2015). 시간연구의 트렌드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제20차 정기총회, 47-56.
- 서지원(2015). 맞벌이가정의 시간사용 실태와 시간빈곤.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제20차 정기총회, 87-103.
- 이수진(2015). 부모 자녀 간 시간에 관한 규칙 유무에 따른 일본 중학생의 시간관리 행동 및 시간사용 자기평가의 차이.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4), 55-70.
- 정은주.장미(2014).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V: 기초분석보고서-청소년 생활시간 추이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정혜지.주은선(2017). 가구소득이 아동의 학교 밖 학업시간에 미치는 영향: 부모양육방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33(1), 81-116.
- 조희금(2016). 맞벌이가정 아버지의 근로시간 특성과 가족친화제도가 자녀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4), 49-68.
- 진미정(2008). 가족구조에 따른 아동의 생활시간 비교. 가족과 문화, 20(3), 187-211.
- 천희영(2015). 만4세 유아의 스마트폰 이용 정도와 발달특성, 생활시간 간의 관계 및 이용 정도 예측변인.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6), 153-175.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153
- 최용락.서완석.성형모.구본훈.김경근. 김소연.최소정.이종훈(2009). 아동 수면 양상과 관련된 지역별 사회, 환경적 요인들. 생물치료정신의학, 15(1), 80-87.
- 통계청(2015). 2014년 생활시간조사 결과(보도자료, 2015.6.29.).
- BaHammam, A., Bin Saeed, A., Al-Faris, E., & Shaikh, S. (2006). Sleep duration and its correlates in a sample of Saudi elementary school children. Singapore Medical Journal, 47, 875-881.
- Harvey, A., & Mukhopadhyay, A. (2007). When twenty-four hours is not enough: Time poverty of working parents. Social Indicators Research, 82, 57-77. https://doi.org/10.1007/s11205-006-9002-5
- Kalenkoski, C. M., Hamrick, K. S., & Andrews, M. (2011). Time poverty thresholds and rates for the US population. Social Indicator Research, 104, 129-155. https://doi.org/10.1007/s11205-010-9732-2
- Lewin, D., Wolfson, A., Bixler, E., & Carskadon, M. (2016). Duration isn’t everything. Healthy sleep in children and teens: Duration, individual need and timing. Journal of Clinical Sleep Medicine, 12(11), 1439-1441. https://doi.org/10.5664/jcsm.6260
- Matricciani, L., Blunden, S., Rigney, G., Williams, M., & Olds, T. (2013). Children's sleep needs: is there sufficient evidence to recommend optimal sleep for children? Sleep, 36, 527-534. https://doi.org/10.5665/sleep.2538
- Owens, J., Maxim, R., McGuinn, M., Nobile, C., Small, M., & Alario, A. (1999). Televisionviewing habits and sleep disturbance in school children. Pediatrics, 104, e27. https://doi.org/10.1542/peds.104.3.e27
- Paruthi, S., Brooks, L., D’Ambrosio, C., Hall, W.A., Kotagal, S., Lloyd, R.M., Malow, B.A.,Maski, K., Nichols, C., Quan, S.F., Rosen, C.L., Troester, M.M., & Wise, M.S. (2016). Recommended amount of sleep for pediatric populations: A consensus statement of the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Journal of Clinical Sleep Medicine, 12(6), 785-786. https://doi.org/10.5664/jcsm.5866
- Ringhofer(2015). Time, labour, and the household: measuring “time poverty” through a gender lens. Development in Practice, 25(3), 321-332. https://doi.org/10.1080/09614524.2015.1016867
- Strauch, I., & Meier, B. (1988). Sleep need in adolescents: a longitudinal approach. Journal of Sleep Research & Sleep medicine, 11(4), 378-386.
- Van den Bulck, J. (2004). Television viewing, computer game playing, and internet use and self-reported time to bed and time out of bed in secondary-school children. Sleep, 27, 101-104. https://doi.org/10.1093/sleep/27.1.101
- Zilanawala, A. (2014). Women's time poverty and family structure: Differences by parenthood and employment. Journal of Family Issues,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