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연역논증과 귀납논증

Deductive Argument and Inductive Argument

  • 투고 : 2017.01.15
  • 심사 : 2017.02.20
  • 발행 : 2017.02.28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필연성과 개연성을 기준으로 연역논증과 귀납논증을 구별할 때 제기되는 몇 가지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서 현대논리학에서의 연역-귀납 개념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쉴로기스모스-에파고게 개념의 차이를 명료하게 밝히는 것이다. 첫째, 현대논리학에서는 연역논증을 타당한 연역논증과 타당하지 않은 연역논증으로 구별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에게는 타당하지 않은 쉴로기스모스라는 표현이 없다. 따라서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에서 보면 타당하지 않은 연역논증을 귀납논증으로 간주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둘째, 현대논리학에서는 연역논증과 귀납논증 간에 심각한 불균형이 존재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에서 보면 그러한 불균형이 존재하지 않는다. 현대논리학에서 연역논증과 귀납논증 간에 심각한 불균형이 존재하게 되는 이유는 연역논증의 경우에 결론이 잘 수립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논증의 논리적 형식만 검토하면 되지만 귀납논증의 경우에는 결론이 얼마만큼의 개연성을 가지고 도출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논증의 형식 이외에 부가적인 정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에게는 연역논증과 귀납논증의 논리적 형식이 동일하기 때문에 그러한 불균형이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연역논증은 언어로부터 언어에로(명제로부터 새로운 명제에로) 이동하는 논증인 반면에 귀납논증은 경험적 관찰로부터 언어에로(감각적 지각으로부터 명제에로) 이동하는 논증이라는 차이가 있을 뿐이다. 셋째, 현대논리학에서는 전제(들)이 실제로 참인 명제이든 거짓인 명제이든 참인 명제라고 가정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는 그렇게 가정하지 않는다. 쉴로기스모스는 개념적으로 참인 명제로부터 출발하고 에파고게는 경험적으로 참인 명제로부터 출발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cept of deduction-induction and Aristotle's concept of syllogismos-epagoge. First, Aristotle does not use the expression 'invalid syllogismos'. But a valid deduction is distinguished from a invalid deduction in modern logic. Second, from Aristotle's point of view syllogismos is paralleled by epagoge. Because syllogismos is equivalent to epagoge in logical form. But a disturbing lack of parallelism exists between deduction and induction by which the standards for establishing inductive conclusions are more demanding than those for deductive ones. Third, instructors in introductory logic courses ordinarily stress the need to evaluate arguments first in terms of the strength of the conclusion relative to the premises. Accordingly, students may be told to assume that premises are true. But Aristotle does not assume that premises are true. A syllogismos start from the conceptually true premise and a epagoge start from the empirically true premis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