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수도권 고령층 분포지역의 유형화와 유형별 거주 및 고용 특성 분석

Classification of the Aged Distribution and the Occupational-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박소현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
  • 이금숙 (성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 투고 : 2017.06.05
  • 심사 : 2017.09.19
  • 발행 : 2017.09.30

초록

본 연구는 저성장 시대 인구고령화에 대응하여 고용과 노동의 측면에서 취업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고령층이 노동현장에 필요인력으로 적절히 활용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다. 우리나라 인구구조의 변화와 고령층 취업구조의 변화를 살펴보고, 고령인구의 분포가 높은 수도권을 대상으로 고령인구의 학력별, 고령취업자의 주요 산업별, 직업별 공간적 분포 특성을 파악한다. 또한 고령층의 거주 및 고용 특성을 바탕으로 지역별 군집화한 후, 고령층 군집지역별 특성을 비교 분석한다. 분석결과, 수도권에 분포하는 고령층은 그들의 학력수준과 산업별, 직업별 분포의 유사성에 따라 지역 간 공간적 차이를 보이며 분포하는 양상이 관측되었다. 특히 대졸 이상의 고학력 고령인구와 지식기반 서비스업, 관리 전문직에 종사하는 고령취업자의 밀집지역은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공간적으로 분리되었고, 초졸 이하의 저학력 고령인구와 농림어업 및 관련 숙련 직에 종사하는 고령취업자도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분포하였다. 중 저학력의 도시고령층은 주요 산업별 분포에서 비교적 상관성을 보이며 분포함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직업분포는 단순노무직에 편중되어 있어 세부 유형으로 구분되지 않았다. 각 지역별 고령층의 학력수준과 종사하고 있는 업종과 직종 분포 및 지역별 고령인력의 구직수요 등을 고려하여 지역별로 차등화 된 취업알선 및 평생교육 차원의 재교육과 직업훈련 등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고졸 등 중 저학력 고령인구의 직능수준을 고려한 적절한 일자리 제공이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provides the insight into the aged employment provision issue for the aged-low growth era. For the purpose, we analyze the national trend of the age demographic and occupational employment in first. And then we investigat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employment of the ag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hich has the highest elderly population by utilizing location quotient, factor analysis, and K-means cluster analysis. As the result, we found that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residence and workplace of the elderly were nearly coincided with each other. Furthermore, five clusters of the aged distribution have been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dustrial-occupational-demographic attributes. The result revealed clear spatial segrmentation: Most of elderly population of the research area have been engaged in the low-level service jobs, while elderly population employed to the educated-knowledged based high-level jobs has been distributed at a few cores. The results could be applied to the practical use for regional employment planning for the aged.

키워드

참고문헌

  1. 구양미, 2016, 고령자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도시와 농촌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1), pp.104-121.
  2. 국민건강보험공단, 2010, 노인장기요양보험 통계(www.nhis.or.kr).
  3. 권영현.김의준, 2014, 고령화율에 따른 농촌지역 산업구조 변화 분석, 농촌계획, 20(4), pp.183-192. https://doi.org/10.7851/ksrp.2014.20.4.183
  4. 김부성, 2009, 고령군의 인구감소와 고령화,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5(1), pp.36-52.
  5. 김영성, 1993, 서울시 노년인구의 시공간 변동, 상명여대논문집, 31, pp.55-76.
  6. 김의준.조희덕.이창근, 2011, 고령화의 지역경제 영향 분석: 수도권-비수도권 CGE 모형의 활용, 지역연구, 27(1), pp.19-36.
  7. 노시학.조창현, 2011, 수도권 노인 통행행태의 변화, 대한지리학회지, 46(6), pp.781-796.
  8. 마세인.김흥순, 2011, GIS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노인복지시설의 접근성 연구: 인천시 내륙부를 중심으로, 국토연구, 70, pp.61-75.
  9. 박삼옥.진종헌.구양미, 2008, 서울의 인구고령화와 고령자 고용의 지역적 특성, 대한지리학회지, 43(3), pp.337-357.
  10. 박소현.이금숙, 2016, 한국 직업구조의 변화와 고용분포의 공간적 특성, 대한지리학회지, 51(3), pp.401-420.
  11. 보건복지부, 2010, 노인복지시설 현황(www.mohw.go.kr).
  12. 여창환.서윤희, 2014, 공간자기상관을 활용한 농촌지역 인구 고령화의 공간적 확산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7(3), pp.39-53. https://doi.org/10.11108/kagis.2014.17.3.039
  13. 윤민석, 2016, 일하는 서울 노인의 특성과 정책방향, 서울연구원 정책리포트 209호.
  14. 윤형호.황진수.임석, 2007, 서울시 고령재취업자의 직종선택의 결정요인, 한국노년학, 27(4), pp.721-737.
  15. 이유미.구동회, 2012, 부산시 고령인구의 공간적 분포 변화, 국토지리학회지, 46(2), pp.161-171.
  16. 정지은.전명진, 2013, 수도권 노령인구의 공간적 분포와 집중지역 특성분석, 지역연구, 29(1), pp.3-18.
  17. 정환영.고상임, 2000, 대전광역시 노령화 지구의 공간적 분포 패턴, 한국지역지리학회지, 6(2), pp.1-19.
  18. 조대헌, 2014, 서울의 고령일인가구 분포와 대중교통 접근성,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7(2), pp.119-136.
  19. 최재헌, 2013, 한국 인구고령화의 지역적 특성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6(2), pp.233-246.
  20. 추상호.송재인.권봉성, 2011, 고령자의 통행에 미치는 요인 분석: 수도권 사례 연구, 국토계획, 46(2), pp.235-250.
  21.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인구총조사, 장래인구추계, 주민등록인구현황,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22. 통계청, 인구총조사, 마이크로데이터(https://mdis.kostat.go.kr).
  23. 통계청, 통계분류포털(https://kssc.kostat.go.kr)
  24.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25. Andrews, G. J., and Phillips, D. R., 2005, Geographical studies in ageing: progress and connections to social gerontology, Ageing and place: Perspectives, policy practice, London: Routledge: pp.7-12.
  26. Bloom, D. E., and Canning, D., 2008, Global Demographic Change: Dimensions and Economic Significance,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34 (Supplement), pp.17-51.
  27. Bloom, D. E., David C., and Gunther F., 2010, implications of Population Ageing for Economic Growth, Oxford Review of Economic Policy 26(4), pp.583-612. https://doi.org/10.1093/oxrep/grq038
  28. Constant, A., and Zimmermann, K., 2004, Occupational Choice Across Generations, CEPR Discussion Paper No.4258.
  29. Cutler, D. M., Poterba, J. M., Sheiner, L. M., Summers, L. H., and Akerlof, G. A., 1990, An Aging Soceity: Opportunity or Challenge?, Brookings Papers on Economic Activity 1990(1), pp.1-73.
  30. Dorn, D., 2009, This Job is Getting Old: Measuring Changes in Job Opportunities Using Occupational Age Structure,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w14652.
  31. Fougere, M., and Mrette, M., 1999, Population ageing and economic growth in seven OECD countries. Economic Modelling 16(3), pp.411-427. https://doi.org/10.1016/S0264-9993(99)00008-5
  32. Glasgow, N., and Brown, D. L., 2012, Rural ageing in the United States: Trends and contexts, Journal of Rural Studies 28(4), pp.422-431. https://doi.org/10.1016/j.jrurstud.2012.01.002
  33. Jaimovich, N., and Siu, H. E., 2009, The young, the old, and the restless: Demographics and business cycle volatility.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99(3), pp.804-826. https://doi.org/10.1257/aer.99.3.804
  34. Kaiser, H. F., 1974, An index of factorial simplicity, Psychometrika 39(1), pp.31-36. https://doi.org/10.1007/BF02291575
  35. Kelley, A., and Schmidt, R., 1995, Aggregate Population and Economic Growth Correlations: The Role of the Components of Demographic Change, Demography 32, pp.543-555. https://doi.org/10.2307/2061674
  36. Kurek, S., 2003,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opulation ageing in Poland in the years 1988-2001. Bulletin of Geography Socio-economic Series (2), pp.65-75.
  37. Massey, D., 1980, Residential segregation and spatial distribution of a non-labor force population: the needy elderly and disabled, Economic Geography 56(3), pp.190-200. https://doi.org/10.2307/142712
  38. OECD, 2015, Employment Outlook 2015, OECD Publishing, Paris.
  39. Poot, J., 2008, Demographic change and regional competitiveness: the effects of immigration and ageing, International Journal of Foresight and Innovation Policy 4(1-2), pp.129-145. https://doi.org/10.1504/IJFIP.2008.016910
  40. Sabater, A., Graham, E., and Finney, N., 2017, The spatialities of ageing: Evidencing increasing spatial polarisation between older and younger adults in England and Wales, Demographic Research 36, pp.731-744. https://doi.org/10.4054/DemRes.2017.36.25
  41. Schwanen, T., Hardill, I., and Lucas, S., 2012, Spatialities of ageing: The coconstruction and co-evolution of old age and space. Geoforum 43(6), pp.1291-1295. https://doi.org/10.1016/j.geoforum.2012.07.002
  42. Taylor, P., and Walker, A., 2003, Age Discrimination in the Labor Market and Policy Responses: The Situation in the United Kingdom, The Geneva Papers on Risk and Insurance Issues and Practice 28(4), pp.612-624. https://doi.org/10.1111/1468-0440.00249
  43. Warnes, A. M., and Law, C. M., 1984, The elderly population of Great Britain: locational trends and policy implications, 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pp.37-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