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ect of urban characteristics on Regional population using Spatial Econometrics Analysis - Focused on Incheon Metropolitan City -

공간계량분석을 이용한 도시특성요인이 지역 인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

  • 김병석 (인천발전연구원 미래전략센터) ;
  • 이동성 (중앙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
  • 손동글 (중앙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 Received : 2017.05.08
  • Accepted : 2017.08.10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urban characteristics on regional population and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spatial econometrics analysis(SAR, SEM, SAC) using data on 122 eup-myon-dong area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n terms of spatial, population density showed positive (+) effect while employment density has negative (-) effect. Als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tertiary industries and workers in the industry has a positive (+) effect. Second, in terms of housing, the apartment ratio showed positive (+) effect and the increase of low-rise deteriorated housing has negative (-) effect. Third, the increase in educational facilities and urban parks showed positive (+) effect on population. In conclusion several policy implications for urban management found through this analysi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도시특성요인이 지역 인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분석대상은 인천광역시 122개 행정동을 대상으로 설정하였고, 분석방법은 공간계량모형인 공간자기회귀모형(SAR), 공간오차모형(SEM), 일반공간모형(SAC)을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공간측면에서 인구밀도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용밀도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업측면에서 3차산업체수와 종사자수의 증가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택측면에서 아파트비율은 정(+)의 영향을 미치고, 저층 노후주택의 증가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시설과 도시공원이 증가할수록 인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도시관리에 대한 몇 가지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은택, 2014, 수도권으로 인구이동에 따른 경제력의 세대간 이동성에 관한 연구, 대한부동산학회지, 32(1), pp.75-91.
  2. 권용우.이자원, 1995, 수도권 인구이동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학회, 30(4), pp.21-39.
  3. 권일.김정연.마상열.송미령.오용준.이만형.장경석, 2011, 인구감소시대의 도시정책과제, 도시정보, 346, pp.5-21.
  4. 김병석.서원석, 2014, 지역의 인구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특성 연구: 수도권과 비수도권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6(4), pp.1-14.
  5. 남기찬.임업.김홍석.이제선, 2012, 공간구조가 인구성장에 미치는 영향, 지역연구, 28(1), pp.3-18.
  6. 마강래, 2008, 공간적 분산화과정에서 고용과 인구이동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0(4), pp.283-300.
  7. 문태훈, 2011, 인구감소형 도시의 주택정책 개선방안 연구,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12(2), pp.127-151.
  8. 이번송.김석영, 2002, 지역적 특성이 시.군.구 인구성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국토계획, 37(2), pp.261-279.
  9. 이성우, 2001, 지역특성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 계속이동과 회귀이동,한국지역개발학회지, 13(3), pp.19-44.
  10. 이성우.윤성도.박지영.민성희, 2006, 공간계량모형응용, 박영사.
  11. 이세규.최막중, 2011, 지방중소도시의 산업구조 특성에 따른 인구와 고용변화간 인과관계, 국토계획, 46(2), pp.127-137.
  12. 이왕건, 2005, 인구저성장시대의 도시관리정책 방향 연구, 국토연구원.
  13. 이왕기, 2016, 인천 원도심 저층주택의 노후화 실태와 대응방향, 인천발전연구원.
  14. 임은선.이종열.이희연, 2006, 도시성장관리를 위한 공간구조의 확산-압축패턴 측정, 국토연구, 51, pp.223-247.
  15. 정성호. 2004, 강원남부 탄광지역의 쇠퇴와 인구사회학적 변화, 한국인구학, 27(2), pp.205-229.
  16. Anselin, L., 1988, Spatial econometrics: Mathod and model,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chers.
  17. Chiu, R., 2002, Social Equity in Housing in the Hong Kong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A social Sustainability Perspective, Sustainable development, 10, pp.155-162. https://doi.org/10.1002/sd.186
  18. Elkin, T., McLaren, D. and Hillman, M., 1991, Reviving The City: Towards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London: Friends of the earth.
  19. Ewing, R. and Cervero, R., 2010, Travel and the built environment,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6(3), pp.265-294. https://doi.org/10.1080/01944361003766766
  20. Gordon, P. and Richardson, H., 1997, Are compact cities a desirable planning goal?, Journal of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63(1), pp.69-77.
  21. Getis, A. and Ord, J., 1992, The Analysis of spatial association by use of distance statistics, Geographical Analysis, 24, pp.189-206.
  22. Glaeser, E., 2011, Triumph of the Cities, Penguin Press.
  23. Hicks, J. R., 1932, The theory of wages, Lodon: Macmillan.
  24. Jacobs, J., 1961,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Random House.
  25. Lewis, A., 1954, Economic development with unlimited supplies of labor, Manchester School of Economic and Social Studies, 22, pp.139-191. https://doi.org/10.1111/j.1467-9957.1954.tb00021.x
  26. Neuman, M., 2005, The Compact City Fallacy, Journal of Planning Education and Research, 25, pp.11-26. https://doi.org/10.1177/0739456X04270466
  27. Porell, F., 1982, Intermetropolitan Migration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Regional Science, 19(3), pp.137-158.
  28. Thomas, L. and Cousins, W., 1996, The Compact city: successful, desirable and achievable urban form?, in Jenks, M., Burton, E. and Williams, K.(ed.,), The Compact city: A Sustainable Urban Form?, E&FN Spon, London.
  29. Tobler, W., 1970, A Computer movie simulating urban growth in the detroit region, Economic Geography, 46(2), pp.234-240. https://doi.org/10.2307/143141
  30. Todaro, M. P., 1980, Internal migr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A survey, in Easterlin, R(ed.), Population and Economic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Inc.
  31. Troy, P., 1996, Urban consolidation and the family, in Jenks, M., Burton, E. and Williams, K.(ed.,), The Compact city: A Sustainable Urban Form?, E&FN Spon, London.
  32. Williams, K., Burton, E. and Jenks, M., 2000, Achieving Sustainable Urban Form, London, UK: E & FN Sp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