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direction expression of time and space in film and - Focusing on Gilles Deleuze theory and intermediality theory-

  • 임용섭 (세한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The film (2000) and (2016) are based on different time slips from each other. However, these two films have many common elements that make one illusion-based illusion. In the common elements, the main characters (being and thing) are traversed at different times and directed as a cyclical one. Also, among these, the movement link of the time and space has a commonality that it becomes possible through a medium ( - radio, you, there - pill). As a result, a series of scenes expressed in showed that the scene of produced in 2000 was greatly circulated. The reason why two movies have similar structure is that the basic framework of video media based on time slip is simila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to analyze the problem of quoting and borrowing of two films as mentioned in the paper. To add up, the material of video media is manifold which is a dynamic object of potential which is unlimited and opened, and by rearranging one media it can be created by escaping from one territory. Also, it is a study of analysis to contribute to producer or researcher as a time slip video creation reference connecting times based on the manifold arrangement from two films.

영화 <프리퀀시>(2000)와 <당신, 거기 있어줄래요>(2016)는 서로 원전이 다른 타임슬립(time slip)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그러나 이 두 영화는 하나의 원전을 바탕으로 한 듯한 착각이 들게 하는 많은 공통요소들을 가지고 있었다. 그 공통요소들 속에서 주인공들(존재(being)와 존재자(thing))은 서로 다른 시간을 가로지르며 순환적 일의성 존재로 연출되었다. 또, 그중 이러한 시 공간의 이동 연결은 하나의 매개물(<프리퀀시>-무전기, <당신, 거기 있어줄래요?>-환약)을 통해 가능해진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당신, 거기 있어줄래요?>(2016)에서 표현된 일련의 장면(Scene)들은 2000년에 제작된 <프리퀀시>의 장면이 상당부분 환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두 영화가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은 타임슬립을 바탕으로 하는 영상미디어의 기본 틀이 비슷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그래서 이 연구의 목적은 논문에서 밝혔듯이 두 영화의 인용과 차용의 문제를 분석한 것이 아니다. 덧붙여 말하자면, 영상미디어 소재는 다양체로써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밝히는 것이다. 즉 영상미디어 소재는 무한하며, 무엇으로도 '되기'가 가능한 '열려있음'을 의미하는 역동체이며, 하나의 미디어가 재배치되어 하나의 영토로부터 탈주될 수 있고, 창작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밝힌 것이다. 또, 이 두 영화에서 보여준 다양체구성의 배치방식의 분석을 통해 타임슬립을 바탕으로 하는 영상창작 레퍼런스(reference)로써 제작자 또는 연구자에게 도움이 되고자 분석한 연구이다.

Keywords

References

  1. Park Jeong Tae, Philosopher Deleuze, talking about the painter Bacon, Yihaksa ,2012
  2. Jeon Dong Yeol, Intermediality as semiotic scope. German literature, 2010,
  3. Joe Hughes, translated by Hwang Hye Ryeong, Deleuze's 'Difference and Repetition', Seogwangsa, 2014,
  4. Rajewsky, I. O. "Intermediality, intertextuality, and remediation: A literary perspective on intermediality. Intermedialites: Histoire et theorie des arts, des lettres et des techniques Intermediality:/History and Theory of the Arts". Literature and Technologies, (6), 2005
  5. Yeom Dong Cheol, Yim Yong Seob, Analysis of Images Found in by Jan Svankmajer, 2013,
  6. Lee Jeong Woo, Thousand and one Plateaus, Stone pillow, 2008
  7. Deleuze, Guattari, translated by Lee Jin Gyeong, Thousand Plateaus, 2000
  8. Frank Hartman, Lee Sang Yeob, translated by Kang Eung Gyeong, Media philosophy, Book Korea,2008
  9. Park Young Wook, Media, media art and philosophy, Hyangyeon. 2008
  10. Lim Yong Seob,"Acceptability and applicability of cultural originality in Korean animation", Hongik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