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 Terrorist Environment and Crisis Management Plan

한국의 테러환경과 위기관리 방안

  • Received : 2017.08.10
  • Accepted : 2017.09.11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This study is based on the political and economic standpoint of each country, Use advanced equipment to prevent new terrorism from causing widespread damage, In order to establish a countermeasures against terrorism in accordance with the reality of Korea, which is effective in responding to terrorist attacks, Korea conducted a SWOT analysis of the terrorist environment and terrorist environment through specialists. First, internal strengths of Korea 's terrorist environment include stable security situation, weakness of religious and ethnic conflicts, strong regulation and control of firearms, and counter terrorism capabilities and know - how accumulated during major international events. Second, the internal weaknesses of the terrorist environment in Korea include the insecurity of the people, the instability caused by the military confrontation with North Korea, the absence of anti-terrorism law system, the difficulty of terrorism control and management by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IT technology. Third, the external opportunities for Korea 's terrorist environment are as follows: ease of supplementation and learning through cases of foreign terrorism failure, ease of increase of terrorist budget and support with higher terrorism issues, strengthening of counterterrorism through military cooperation with allied nationsRespectively. Fourth, the external threats to the terrorist environment in Korea are the increase of social dissatisfaction due to the continuous influx of defectors and foreign workers, the goal of terrorism from international terrorist organizations through alliance with the United States,Increased frequency of incidents, and increased IS coverage of terrorism around the world. In addition, the SWOT in - depth interviews on the terrorist environment of the expert group were conducted to diagnose and analyze the problems, terrorism awareness and legal system in the Korean terror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First, the basic law on terrorism should be enacted.Second, th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anti-terrorism organization.Third, securing and nurturing specialized personnel in response to terrorism.

본 연구는 각각의 정치 경제적 입장에 따라 적아가 수시로 변화하는 국제질서 속에서 첨단 장비를 사용하여 광범위한 피해를 유발시키는 뉴테러리즘을 사전에 억제하고, 테러발생시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피해를 최소화시키고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테러 대응 위기관리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서 전문가 집단을 통한 한국의 테러환경 진단과 테러 요인별 SWOT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한국의 테러 환경 내부적인 강점요인으로는 안정된 치안 상황, 종교 인종적 갈등요소의 미약, 총기에 대한 강력한 규제와 관리, 주요 국제행사를 개최하면서 축적한 대테러 역량과 노하우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의 테러 환경에 대한 내부적인 약점요인을 살펴보면 국민의 테러 불감증, 북한과의 군사적 대치상황에 따른 불안요소, 인터넷과 IT기술 발달에 의한 테러통제와 관리의 어려움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의 테러 환경에 대한 외부적인 기회요인을 살펴보면 외국의 테러 실패 사례를 통한 보완과 학습의 용이, 높아진 테러 이슈로 테러 예산 및 지원증가 용이, 동맹국가와의 군사적 협력을 통한 테러 대응 강화 등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의 테러 환경에 대한 외부적인 위협요인은 탈북자와 외국인 노동자의 지속적인 유입에 따른 사회 불만계층의 증가, 미국과의 동맹으로 국제 테러 단체로부터 테러의 목표화, 해외경제 활동 증가에 따른 국제테러 발생 빈도 증가, IS등에 의한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테러범위의 확대 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문가 집단의 테러 환경에 대한 SWOT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한국의 테러환경에 있어 문제점과 테러인식 및 법제에 대한 현황진단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연구한 결과를 종합하여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테러 대응 위기관리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적인 테러대응 기구의 구축이다. 둘째, 테러 대응관련 전문 인력 확보와 양성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정보원 테러정보통합센터 (2006). 대테러정보자료집
  2. 국가정보원 테러정보통합센터 (2009). 2008 국제테러정세, 서울: 테러정보통합센터.
  3. 국회법제실 (2008). 테러방지법의 제정방향
  4. 권정훈 (2009). 한국의 테러대응체제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5. 곽병현 (2006). 테러활동 및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 북한테러활동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30.
  6. 김상욱.신용태 (2010). 국가 사이버재난관리시스템 구축방안, 한국정보과학회, 351-362.
  7. 김순석.신제철 (2009). 국가대테러활동지침의 문제점과 입법적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 20: 95-117.
  8. 김승현.오일석 (2002). 9.11테러 이후 미국의 사이버테러 대응현황, 한국인터넷정보학회, 3(1): 213.
  9. 김희정 (2015). 테러방지입법의 합헌적 기준: 자유와 안전의 조화,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김현진 (2005). 테러리즘의 법적 규제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김현수.박상서 (2003). 국토안보를 위한 미국의 대응 정책 분석: 국토안보법을 중심으로, 국가보안기술연구소 정보보증논문지, 3(1): 41.
  12. 박동균 (2009). 한국의 테러리즘 발생 가능성과 국가대비전략, 한국테러학회회보, 2(1): 81-111.
  13. 박동균.박기범 (2012). 9.11 이후 미국 대테러리즘 정책의 최근 경향과 시사점, 한국테러학회보, 5(3): 102-12.
  14. 박준석 (2009). 해외 진출기업의 테러위험 및 보호방안, 국가정보원, 대테러정책 연구논총, 6: 320-325.
  15. 손동권 (2006). 주요국가의 대테러법안 강화실태, 대테러정책연구논총, 3: 17-18.
  16. 신의기 (2002). 테러리즘 관련법제 정비 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10): 87-105.
  17. 신의기 (2006). 각국의 테러대응책과 우리나라의 테러방지법, 대테러 학술세미나, 국가정보원.
  18. 신제철 (2006). 한국의 대테러 관련 입법정책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이계수.오동석.오병두 (2006). 테러대응 법령과 기구에 대한 비교연구, 치안논총, 22: 534-548.
  20. 이삼기 (2013). 포괄적 안보시대의 뉴테러리즘에 대비한 한국의 대응전략,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이재은 (2015). 국가 대테러 위기관리정책 혁신 방안, 2015 한국대테러정책학회 정기 학술대회, 63.
  22. 이창용 (2004). 한국의 위기관리시스템 구축방안,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이황우 (1992). 영국테러방지법의 성격과 적용. 대테러연구, 15: 12.
  24. 윤해성 (2011). 대테러 활동에 관한 수사시스템 정비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11(4): 294.
  25. 윤해성.윤민우 (2012). 사이버 테러의 동향과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12B(3): 94.
  26. 윤해성.강석구.박영우.김민우.권헌영.김도승.김기범 (2010). 사이버안전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7. 장석현 (2005). 국가중요시설의 대테러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민간경비학회.
  28. 정준식 (2010). 해외 한국인 인질납치 사건을 통한 인간안보 위협요인 분석과 대응방안,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Wiencek.David (2008). 최근 국제인질납치테러 위협 및 대응 방안, 국가정보원: 대테러정책연구논총 제5호, p.176.
  30. Alex P. Schmid and Albert J. Jongman(1988). Political Terrorism; A New Guide to Actors, Authors, Concepts, Databases, Theorise and Literature, Amstredam: SWIDOC, pp.92-98.
  31. Anthony Arblaster.(1997). Terrorism: Myths, Meanings, and Morals, International Security, Vol. 25, No. 3, p.413.
  32. Balamuralikrishna, R., & Dugger, J. C.(1995). A managementtool for initiating new programs in vocational schools. Journal of Vocationaland Technical Education, 12(1), pp.254-268.
  33. Burns, Vincent and Peterson, Dempsey(2005). Terrorism-A Documentary and Reference Guide, Westport, Connecticut, London: Greenwood Press.
  34. Charles W. Kegley(1990). International Terrorism, New York: St. Martin Press, p.106.
  35. Clark. Ben(2008). "Effective Counter-Terrorism: Sound Foreign Policy, Intelligence Gathering, Social Engineering and Necessary Use of Force", in Responding to Terrorism, ASHGATE.
  36. Cooley, John K.(2001). Unholy Wars: Afghanistan, America and International. London: Pluto Press, p.469.
  37. Ernest Evans(1979). Calling A Truce to Terrorism, Connecticut: Green Wood Press, p.18
  38. Field,A.(2009). The 'New Terrorism': Revolutionor Evolution?. Political Studies Review. vol. 7.
  39. Fromkin, N.(1992). "The Strategy of Terrorism", Foreign Affairs 53(July): 692-693.
  40. Jay Millan(1971). Terror and Urban Terrorism, University of Miami Press, p.138.
  41. John H. Pickett, & A. B. Barbara.(1991). Day to Day Management, In Thomas E. Dabek & Gedrard J. Hoetmer(eds.), Emergency Management: Principles and Practice for Local Government(Washington, DC: International City Management Association),p.263.
  42. Kirlin, J. J. & Kirlin, M. K.(2002). Strengthening Ef ective Government-Citizen Connections through Greater Civic Engagement.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2(Special Issue), pp.80-85. https://doi.org/10.1111/1540-6210.62.s1.14
  43. Levinson, D.(2002). Encyclopedia of Crime and Punishment, London: Sage, p.1615.
  44. Pesonen, M., Kurttila, M., Kangas, J., Kajanus, M., & Heinonen, P.(2000). Assessing the Priorities Using SWOT among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at the Finish Forestand Park Service, Forest Science, Vol.47, pp.534-541.
  45. Saaty, T.L. and Vargas, L.G.(2001). Model, Methods, Concept & Applications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Kluwer Academic Publishers, pp.95-101.
  46. Schmid,A.P.& Jongman,A.J.(1988). Political Terrorism: A New Guide to Actors, Authors, Concepts, Data Bases, Theories, and Literature, Amsterdam: SWIDOC. pp.92-93.
  47. Sellin,T.(1938a). Culture Conflictand Crime, New York: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p.63.
  48. Sellin,T.(1938b). Culture Conflictand Crime, New York: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p.105.
  49. Tilly(2004). Terror, Terrorism, Terrorists, Sociological Theory, Vol. 22, No. 1, Theories of Terrorism: A Symposium, March, pp.5-6.
  50. Walter Laqueur(1987). The Age of Terrorism, London; Weidenfeld and Nicolson, p.11.
  51. W. H. Nagel(1980). A Socio-Legal View in the Suppression of Terrorism, IJSL. Vol. 8, pp.221-222.
  52. William J.Petak.(1985). Emergency Management:A Challenge for Public Administratio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specialissue,45,p.3. https://doi.org/10.2307/3134992
  53. W.T.Coombs.(2001).Designing post crisis messages: Lessons for crisis response strategies, Review of business,21(3),pp.37-49.
  54. M. Garcia(2004. 2. 5). N.Y. City Council Passes Anti-Patriot Act Measure, Washingtonpost, A11.
  55. Daily(2010. 8.21). http://www.mjknews.com/default/index_view_page.php?board_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