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월경적 상호작용과 북중 접경도시의 발전: 중국 랴오닝성 단둥시를 중심으로

Cross-border Interaction and Cross-border City's Development in North Korea-China Borderland: A Case study of Dandong, Liaoning, China

  • 조영국 (협성대학교 도시개발행정학과)
  • Joh, Young-Kug (Dept. of Urban Development and Administration, Hyupsung University)
  • 투고 : 2017.09.12
  • 발행 : 2017.09.30

초록

본 연구는 다양한 문헌자료, 현지인터뷰 그리고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북중 교역의 중심지인 단둥을 대상으로 월경적 상호작용에서 나타난 특징을 분석하고 북중 접경도시 단둥의 성격을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접경도시 단둥에서 이루어지는 월경적 상호작용의 구체적 실태를 분석하여 주체들의 지대추구적 행위, 비공식적 또는 비시장적 기제에 의한 월경적 상호작용이 지배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는 통제의 수준이 높은 국경의 성격 때문에 비롯된 것인데, 본 연구에서는 중국 정부 및 지방정부의 정책들이 이와 같은 국경의 성격을 형성하는데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흥변부민행동규획(??富民行???)은 그 대표적인 예인데, 정책의 명칭에도 불구하고 그 기본전략은 변경지역의 안정을 통한 영토 보전에 두고 있다. 이처럼 북한의 폐쇄성, UN제재 요인 이외에도 영토 보전을 우선시하는 중국 정부의 기본 입장으로 인해 북중접경지역은 교역 이외에 높은 수준의 분업체계 발전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기능지역으로서 접경지역 발전을 기대하기는 용이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필자는 최근의 북중교역의 발전을 계기로 북중교역의 중심지인 단둥에 대해 접경도시적 발전이 전개되고 있다는 일부의 견해는 지나친 확대해석이라고 주장하고자 한다. 필자는 현재까지 단둥은 북한과 중국이 만나는 위치적 장점만이 활용되는 변경도시(border city)에 불과하고 다양한 그리고 높은 수준의 월경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접경도시(cross border city)로 간주하기는 어렵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elaborate on features of cross-border interaction conducted on Dan-dong, the main city of China-North Korea trade. Through the deep interview with some trader or firms and also questionnaire survey, this paper can reveal the supremacy of informal or non-market mechanism in the cross-border trade and inter-firm linkages, and also trader and firm's rent-seeking behaviour. These features show the uniqueness of border regime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Even though it is getting more porous than before, I argue that China keeps the stance toward quite controlled borderland. As the proof of this argument, I show that main tenet of China's bordland policies is the borderland stability rather than the development. The striking one is the 'Prosperous Borders, Wealthy Minorities Program(??富民行???)'. In spite of the program's title, its utmost purpose is to secure the 'borderland stability and territorial integrity' rather than to enhance the border's openness and borderland's develop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주원, 2013, "삼국(북한, 중국, 한국) 무역의 중심지로서의 중국 단둥: 중.조와 남.북 무역의 교차점의 역활과 현황에 대한 분석," 현대중국연구 14(2), pp. 281-318.
  2. 고일동.이석.김상기.이재호, 2008, 북한의 무역구조 분석과 남북경협에 대한 시사점, 한국개발연구원.
  3. 김병로.신상진.장경섭.정은미.조은희, 2008, 북한-중국간 사회경제적 연결망의 형성과 구조,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4. 김병연.양문수, 2012, 북한 경제에서의 시장과 정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5. 김병연.정승호, 2015, 중국의 대북 무역과 투자: 단둥 현지기업 조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6. 김부성, 2006, "스위스.독일.프랑스 접경지역에서의 월경적 상호작용," 대한지리학회지 41(1), pp.22-38.
  7. 김부헌.이승철, 2008, "공간경제 전환의 이론화: 체제 전환의 조절이론적 접근,"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1(1), pp.24-44.
  8. 김상빈.이원호, 2004, "접경지역 연구의 이론적 모델과 연구동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7(2), pp.117-136.
  9. 김석진, 2013, "북중경협의 확대 요인과 북한경제에 대한 영향", KDI북한경제리뷰, 2013년 1월호.
  10. 김원배, 2002, 동북아 협동적 지역개발의 사례분석과 이론 모색: 월경적 지방간 협력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보고서.
  11. 안재섭, 2002, "중국경제개발구의 설치와 운영시스템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5(1), pp.89-104.
  12. 이석 편, 2013, 북중무역의 결정요인: 무역통계와 서베이 데이터의 분석, 한국개발연구원.
  13. 이영훈, 2006, "북중무역의 현황과 북한경제에 미치는 영향," 금융경제연구 246호.
  14. 이옥희, 2011, 북.중 접경지역: 전환기 북.중 접경지역의 도시네트워크, 푸른길.
  15. 이종운, 2014, "북중 경제관계의 구조적 특성과 함의," KDI북한경제리뷰, 2014년 1월호, pp.51-73.
  16. 이종운, 2017, "중국경제의 변화와 대북한 노동력 활용의 구조적 특성," 미발표원고.
  17. 이종원.홍이경, 2013, 북.중 접경지역 경제교류 실태와 거래관행분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8. 임강택, 2013, 북한경제의 비공식(시장)부문 실태분석: 기업활동을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19. 임강택.양문수.이석기, 2011, 통일비용.편익 추계를 위한 북한 공식경제부문의 실태 연구, 통일연구원.
  20. 임을출, 2016, 김정은시대의 북한경제:사금융과 돈주, 한울아카데미.
  21. 이상훈.허유미, 2016, "중국의 지역별 산업고도화 추진 현황 및 시사점: 랴오닝 성," 지역기초자료 16-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2. 이승욱, 2016, "김정은 시대 북한의 경제특구전략: 영역 화, 분권화 그리고 중국식 개혁개방,"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1), pp.122-142.
  23. 정은이, 2013, "접경지역 단둥에 대한 현지조사," KDI 북한경제리뷰, 2013년 4월호, pp.67-92.
  24. 최장호 외, 2015, 북.중 분업체계 분석과 대북 경제협력에 대한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5. 한지은, 2002, "중국 단둥시의 기능 특성에 관한 연구," 지리교육논집 46, pp.20-46.
  26. Altvator, E., 1998, "Theoretical deliberations on time and space in post-socialist transformation," Regional Studies 32(7), pp.591-605. https://doi.org/10.1080/00343409850119490
  27. Arnold, D. and Pickles, John, 2011, "Global Work, Surplus Labor, and the Precarious Economies of the Border," Antipode 43(5), pp.1598-1624. https://doi.org/10.1111/j.1467-8330.2011.00899.x
  28. Bouli, A., 2014, "Beyond the border: exploring cross-scalar socio-spatial dynamics of conflict, resistance and encounter at the Ceuta-Morroco borderscapes," Regional Studies, Regional Science 1(1), pp.30-309. (http://dx.doi.org/10.1080/21681376.2014.977941, 2017. 6.11 접속).
  29. Castan-Pinos, J., 2008, Building Fortless Europe? Schengen and the Cases of Ceuta and Melilla, CIBR/WP18, CIBR Working Articles in Border Studies (http://www.qub.ac.uk에서 자료 획득, 2017.6.11 접속).
  30. Freeman, C. and Thomson, D., 2011, China on the Edge: China's Border Provinces and Chinese Security Policy, The Center for the National Interest and Johns Hopkins SAIS.
  31. Ge, Y., He, Y., Jianh, Y. and Yin, X., 2014, "Border Trafe and Regional Integration," Review of Development Economics 18(2), pp.300-312. https://doi.org/10.1111/rode.12085
  32. Haggard, S., et. al., 2011, Integration in the Absence of Institutions: China-North Korea Cross-Border Exchange, Working paper 11-13, 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33. Jessop, B., 2002, The Political Economy of Scale, in Perkmann, M. and Sum, N.(eds.), Globalization, Regionalization and Cross-Border Regions, Palgrave, pp.25-49.
  34. Knotter, A., 2014, "Changing Border Regimes, Mining and Cross-border labor in the Dutch-Begian-German Borderlands, 1900-1973," Journal of Borderland Studies 29(3), pp.375-394. https://doi.org/10.1080/08865655.2014.938969
  35. Kratke, S., 1998, "Problems of cross-border regional integration: the case of the German-Polish border area," European Urban and Regional studies 5(3), pp.249-262. https://doi.org/10.1177/096977649800500304
  36. Lee, Jong-Woon and Gray, Kevin, 2016, "Neo-Colonialism in South-South Relations?: The Case of China and North Korea," Development and Change 47(2), pp.293-316. https://doi.org/10.1111/dech.12223
  37. Lee, Seung-Ook, 2014, "China's new territorial strategies towards North Korea: security, development, and inter-scalar politics," Eurasian Geography and Economics 55(2), pp.175-200. https://doi.org/10.1080/15387216.2014.955868
  38. Li, T. et al., 2002, "Economy and Trade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D.P.R.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7(5), pp.551-558.
  39. Marinez, O. J., 1994, "The dynamics of border interaction," in Schofield, D. H. (eds.) World Boundaries 1, Routledge, pp.1-15.
  40. Perkmann, M. and Sum, N., 2002, Globalization, Regionalization and Cross-border regions: scales, discourses and governance, in Perkmann, M. and Sum. N., (eds.), Globalization, Regionalization and Crossborder regions, Basingstoke: Palgrave, Macmillan, pp.1-24.
  41. Dutt, P. and Traca, D., 2010, "Corruption and Bilateral Trade Flows:Extortion or Evasion?,"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92, pp.843-60. https://doi.org/10.1162/REST_a_00034
  42. Tadeusz, S., 1998, "The changing role of border zones in the transforming economies of East-Central Europe: the case of Poland," Geojournal 44(3), pp.203-213. https://doi.org/10.1023/A:1006866122198
  43. Wu, C. T., 1998, "Cross-border development in Europe and Asia," Geojournal 44(3), pp.189-201. https://doi.org/10.1023/A:1006817406579
  44. Zhu, S. and Pickles, J., 2014, "Bring In, Go Up, Go West, Go Out: Upgrading Regionalization and Delocalisation in China's Apparel Production Networks," Journal of Contemporary China 44(1), pp.39-63.
  45. 國务院, 兴边富民行动规划实施情况简介 (http://www.china.com.cn/zhibo/zhuanti/ch-xinwen/2014-09/25/content_33612392.htm, 2017.6. 4. 접속)
  46. 中囯海关兑署, 关于出境加工业务有关问题的公告 (http://www.customs.gov.cn/publish/portal0/tab49564/info831503.htm, 2017.6.4. 접속)
  47. 中囯财经网, '何谓出境加工?', 2016.3.27. 기사(http://finance.china.com.cn/roll/20160327/3648388.shtml, 2017.6.4. 접속)
  48. 中囯新闻网, '明城巡礼-丹东' 2006.4.18. 기사(http://www.chinanews.com/news/2006/2006-04-18/8/719180.shtml, 2017.6.19. 접속)
  49. 华夏经纬网, '丹东边境经济合作区' 2003.9.1. 기사 (http://www.huaxia.com/20030901/0115501.html, 2017.6.19. 접속)
  50. 21CN财经综合, '丹东临港产业园区-沿江, 沿海, 沿边, 沿國际大通道', 2007.9.14. 기사(http://finance.21cn.com/news/cjyw/a/2007/0914/16/3479757.shtml 2017.6.14. 접속)
  51. 新华网, Plan of Revitalizing Northeast China, 2007.12.19 기사 (http://chinaeast.xinhuanet.com/2007-12/19/conttent_11981590.htm, 2017.6.11 접속)
  52. 丹東市對外貿易經濟合作局, 中國.丹東 對外經濟合作 안내책자, 연도 미상.
  53. 丹东新闻网, '加速推进丹东综合保税区申报筹建工作' 2015.9.29일자 기사 (http://www.ddnews.com.cn/zt/2015-09/29/content_10344.htm, 2017. 6.19. 접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