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Middle Aged Male Consumer' Clothing and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s according to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중년 남성 소비자의 객체화 신체의식에 따른 의복 및 화장품 구매행동 연구

  • Lee, Mi-Sook (Dept. of Fashion Design & Merchandis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7.05.22
  • Accepted : 2017.07.25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othing and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s of middle aged male consumers according to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The subjects were 329 male adults aged from 40 to 59, and measuring instruments consisted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clothing and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s, and subjects' demographics attributions.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multiple response analysis, cross tabs analysis, and $x^2$ test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ree factors (body shame, body surveillance, and control belief) emerged on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econd, subjec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objectified group and non-objectified group) by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Third, these two consumer groups showed many differences regarding clothing and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s. The objectified group showed many more positive clothing and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s than the non-objectified group in terms of purchase motives, selection criteria, information source, purchase place, and purchase cost per month. These results show that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is a useful variable for understanding adult male clothing and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and to segment the male consumer market effectively.

Keywords

References

  1. 김경도. (2011). 남성 소비자의 패션제품 쇼핑성향과 제품선택기준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민정, 임숙자. (2004). 남성 정장 구매행동에 관한연구(제 1보). 20-40대 남성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8(2), 320-331.
  3. 김완석, 유연재, 박은아. (2007). 한국판 객체화 신체의식 척도(K-OBCS): 개발과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6(2), 329-349.
  4. 김정은. (2008). 성인 남성의 사회적 가치관에 따른 의복추구혜택과 의복구매행동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지영. (2015). 남성들의 피부인식과 화장품 사용 실태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한아. (2010). 남성의 화장품 사용실태와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뉴시니어 세대의 3대 키워드. (2011. 3. 24). 삼성경제연구소. 자료검색일 2017. 3. 3. 자료출처 http://www.seri.org/db/dbReptV.html?g_menu=02&s_menu=0212& pubkey=db 20110324001.
  8. 박은서. (2017. 1. 12). '젊은 아재' 붐 타고.... 화장품업계 男心 저격. 동아닷컴. 자료검색일. 2017. 3. 3. 자료출처 http://news.donga.com/3/all/20170112/82333387/1.
  9. 성옥진. 김애린. (2004). 중년 남성의 체형연구: 직접측정치 분석. 복식, 54(1), 37-51.
  10. 소비트렌드 키워드 2017. (2017. 1. 24). 한국패션협회. 자료검색일. 2017. 3. 3. 자료출처 http://www.fashionnetkorea.com/market/market_gl_kfashion.asp.
  11. 손은영. (2008). 중년 남성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추구이미지 및 캐주얼의류 구매의사결정요인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신수연. 김용덕. (1999). 성인 남성의 캐주얼의복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7(4), 597-608.
  13. 심재숙. (2013). 중년 남성의 신체만족도와 메이크업 인식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안나영. (2007).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인 태도와 객체화된 신체의식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안상희. (2013). 아저씨.아줌마가 변했다..."꽃중년을 잡아라". 조선비즈. 자료검색일. 2017. 3. 3. 자료출처 http://biz.chosun.com/svc/news/printcontntl.htmo:type.
  16. 이나현. (2015). 한국 중년 남성의 젊음 추구와 유행스타일 변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지연. (2014). 중년 남성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화장품 소비행동 및 인식에 관한 연구.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임보형. (2010). 청소년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객체화 신체의식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장미례. (2012). 남성들의 화장품에 대한 인식과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전정혜, 유태순. (2011). 공적 자기의식과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및 객체화된 신체의식이 이미지 관리행동에 미치는 인과관계. 한국의류학회지, 35(11), 1333-1345. https://doi.org/10.5850/JKSCT.2011.35.11.1333
  21. 전현진, 정명선. (2011). 객체화된 신체의식과 신체존중감이 체중 및 헤어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19(6), 1272-1287.
  22. 정기욱. (2015). 중년 남성의 라이프스타일과 외모관리행동에 따른 의복구매행동.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정혜정, 이유리. (2011). 2030대와 4050대 남성소비자들의 외모관리 기대가치가 남성정장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5(2), 125-135. https://doi.org/10.5850/JKSCT.2011.35.2.125
  24. 지연진. (2016. 12. 29). '뉴맨' 중년아재가 된 X세대의 소비파워. 아시아경제, 자료검색일. 2.17. 3. 3. 자료출처. http://www.asiae.co.kr/news/print.htm:?dxno=201612 2902395545558.
  25. 최선형, 박혜선, 손미영, 전양진. (2010). 21세기 패션마케팅(개정판). 서울: 창지사.
  26. 홍성순. (2007). 남성 패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세분집단별 화장품 구매행동 비교. 복식, 57(2), 29-44.
  27. 황인성. (1998). 중년기 남성의 스트레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New Man Lifestyle (2016. 11. 15). 삼성디자인넷. 자료검색일. 2017. 3. 3. 자료출처 http://168.188.11.31/3f57cf4/_Lib_Proxy_Url/www.samsungdesign.net/Fashion/Report/Content.asp?An=40303&block=0&page=1&cnt=12.
  29. 2015 인구 총조사. (2015). 통계청. 자료검색일. 2017. 3. 3. 자료출처 http://kosis .kr/news/news_03Detail.jsp?q_statId=1962001&q_regDate.
  30. Bartky, S. L. (1998). Foucault, femininity, and the modernization of patriarchal power. In Diamond, I., & Quinby, L. (Eds.), Feminism and Foucault: Reflections on resistance.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Press.
  31. Fredrickson, B. L., & Roberts, T. A. (1997). Objectification theory: Toward understanding women's lived experiences and mental health risks.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1(2), 173-206. https://doi.org/10.1111/j.1471-6402.1997.tb00108.x
  32. McKinley, N. M., & Hide, J. S. (1996). The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cale.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0(2), 181-215. https://doi.org/10.1111/j.1471-6402.1996.tb00467.x
  33. Murnen, S. K. (2003). Thin, sexy women and strong, muscular men: grade-school children's responses to objectified images of women and men. Sex Roles: A Journal of Research, 49(9), 427-437. https://doi.org/10.1023/A:1025868320206
  34. Strean, P., & Hargreaves, D. (2005). Reasons for Exercise and Body Esteem: Men Responses to Self-objectification. Sex Roles, 53, 495-503. https://doi.org/10.1007/s11199-005-71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