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urvey on the 3D Printer Users' Experiences of 3D Modelling Software and Proposal of 3D Modeling Software Development for Koreans

3D프린터 사용자들의 3D모델링 소프트웨어 사용경험 탐색 및 한국인을 위한 3D모델링 소프트웨어 개발제안

  • 이국희 (이화여자대학교 융합디자인연구소) ;
  • 조재경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학부)
  • Received : 2017.01.02
  • Accepted : 2017.03.27
  • Published : 2017.05.31

Abstract

While the second and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s made it possible a few standardized designs to be extracted and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3D printing technology allowed many individuals to reflect their unique personal characteristics on their creative works and produce them in large quantities-i.e., personally customized designs and mass production of various designs. However, for the customized designs and the mass production of various designs through the 3D printing technology, the individuals should use a 3D modeling software and the supporting features of the software can significantly affect the type and shape of a creative work.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individuals who design the creative works using 3D printers about the type of software that they use and the type of creative works that they design using the software, to propose a possible direction of new software that supports their activities. To do this, we first surveyed sixty members of the OpenCreators, which is the largest 3D printing creator community in South Korea, about the 3D modelling Software that they use for their 3D printing creations, the best 3D modelling software for the 3D printing, and the type of frequently printing creation using the best 3D modelling software. We then analysed the response results. As a result, we found that most of 3D printing creators in South Korea use Rhino and 123D Design. More specifically, the Rhino was being widely used by the people in the 3D printing industry to print prototypes, samples, and mock-ups, while the 123D Design was being mainly used for general purposes such as educational tools, accessories, and home interior accessories. Therefore, we believ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software in two separated categories, i.e. for the business, like the Rhino, and for the beginners, and educational and personal purposes, like the 123D Design. Finally, we stressed and proposed the necessity to support individual creators by developing an industry-specific 3D modeling software.

3D프린팅 기술의 발달은 표준화된 디자인적 요소를 추출하여 소품종 대량생산하던 2차 혹은 3차 산업시대의 생산방식에서 벗어나, 창작자의 개성을 반영한 창작물을 대량으로 제작할 수 있는 다품종 대량생산 및 개인 맞춤형 생산의 시대를 새롭게 만들어 가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3D프린팅을 통해 다품종 대량생산 혹은 개인 맞춤형 제작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3D모델링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야 하며, 이 소프트웨어가 어떤 기능을 지원하는지에 따라 창작물의 형태와 유형이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3D프린터를 사용하여 창작활동을 하는 사람들이 자신의 작업에 활용하는 3D모델링 소프트웨어가 무엇이며, 이 소프트웨어를 통해 어떤 유형의 창작물을 제작하고 있는지를 파악함으로써 3D프린팅 창작자들의 활동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향을 제안하고자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한국 최대의 3D프린팅 창작자 커뮤니티인 오픈크리에이터즈의 회원 60명에게 3D프린팅 창작을 위해 사용해본 3D모델링 소프트웨어, 3D프린팅에 가장 적합한 3D모델링 소프트웨어, 해당 소프트웨어를 통해 자주 출력하는 창작물의 유형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설문조사 참가자들의 응답비율과 응답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한국의 3D 프린팅 창작자들은 Rhino와 123D Design을 주로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Rhino는 3D프린터 산업 종사자들 중심으로 시제품, 샘플, 실물모형을 제작하는 것에 사용하며, 123D Design은 교육보조도구, 액세서리, 가정용 인테리어 소품 등의 교육 및 취미활동에 사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Rhino와 같은 실무형 소프트웨어와 123D Design과 같은 입문자 교육 및 개인 제조형 소프트웨어를 별도로 개발하는 것이 필요함과 특정 산업유형에 특화된 3D모델링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한국의 개인 창작자들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Gao, W., Zhang, Y., Ramanujan, D., Ramani, K., Chen, Y., Williams, C. B., Wang, C. C., Shin, Y. C., Zhang, S. and Zavattieri, P. D. The status, challenges, and future of additive manufacturing in engineering. Computer-Aided Design. Vol. 69. No. C. Elsevier. pp. 65-89. 2015. https://doi.org/10.1016/j.cad.2015.04.001
  2. Rayna, T. and Striukova, L. From rapid prototyping to home fabrication: How 3D printing is changing business model innovation.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Vol. 102. No. C. Elsevier. pp. 214-224. 2016. https://doi.org/10.1016/j.techfore.2015.07.023
  3. 하은아, 조재경. 3D 프린팅 제조방식에 따른 신(新)조형의 표현유형과 특성. 기초조형학연구. 제17권. 제4호. 한국기초조형학회. pp. 583-593. 2016.
  4. 하은아, 송민정, 조재경. 생체모방으로부터 영감을 얻은 3D 프린팅 활용 디자인. 기초조형학연구. 제17권. 제4호. 한국기초조형학회. pp. 475-486. 2016.
  5. Ilan, Z. B. From economy of commodities to economy of ideas: Hardware as social medium. Design Management Review. Vol. 22. No. 3. Wiley Online Library. pp. 44-53. 2011. https://doi.org/10.1111/j.1948-7169.2011.00139.x
  6. Knott, S. Design in the age of prosumption: The craft of design after the object. Design and Culture, Vol. 5. No. 1. College Art Association. pp. 45-67. 2013. https://doi.org/10.2752/175470813X13491105785587
  7. 이국희, 조재경. 3D프린팅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경험 분석과 서비스 방향제안. 한국HCI학회 논문지. 제11권. 제1호. 한국HCI학회. pp. 47-55. 2016.
  8. 고현정. 3D프린팅의 기술. 미래를 바꿀 3D프린팅. 정보문화사. 서울. 한국. 2016. pp. 91-108.
  9. 노수황. 프린터 실무활용 가이드북. 메카피아. 서울. 한국. 2016. pp. 122-159.
  10. 김민정, 김보연. 3D 프린터 국내외 연구 동향. 2014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학술대회 논문집(KODDCO 2014 Conference Proceedings).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pp. 239-240. 2014.
  11. Bradburn, N. M. and Mason, W. M. The effect of question order on respons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1. No. 4.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pp. 57-61. 1964. https://doi.org/10.2307/3150380
  12. 이은지, 이형철, 김신우. Facebook 사용자들의 양면성에 대하여. 한국HCI학회 논문지, 제9권, 제1호, 한국HCI학회. pp. 1-9. 2014.
  13. Olague, H. M., Etzkorn, L. H., Messimer, S. L. and Delugach, H. S. An empirical validation of object‐oriented class complexity metrics and their ability to predict error‐prone classes in highly iterative, or agile, software: a case study. Journal of Software Maintenance and Evolution: Research and Practice. Vol. 20. No. 3. Wiley Online Library pp. 171-197. 2008. https://doi.org/10.1002/smr.366
  14. Wang, F., Ying, Z., Duan, X., Tan, H., Yang, B., Guo, L., Chen, G., Dai, G., Ma, Z. and Yang, L. Histomorphometric analysis of adult articular calcified cartilage zone. Journal of structural biology. Vol. 168. No. 3. Elsevier. pp. 359-365. 2009. https://doi.org/10.1016/j.jsb.2009.08.010
  15. Bak, D. Rapid prototyping or rapid production? 3D printing processes move industry towards the latter. Assembly Automation. Vol. 23. No. 4. Emerald Insight. pp. 340-345. 2003. https://doi.org/10.1108/01445150310501190
  16. Sherman, L. M. Additive manufacturing: New capabilities for rapid prototypes and production parts. Plastic Technology. Vol. 55. No. 3. Gardner Business Media. pp. 35-45. 2009.
  17. 이국희, 박성연. 제품유형에 따른 제조방식 선호가 구매의도와 품질지각에 미치는 효과. 감성과학, 제19권. 제4호. 한국감성과학회. pp. 21-32. 2016.
  18. Moon, S. K., Tan, Y. E., Hwang, J. and Yoon, Y. J. Application of 3D printing technology for designing light-weight unmanned aerial vehicle wing structures. International Journal of Precision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Green Technology. Vol. 1. No. 3. Springer. pp. 223-228. 2014. https://doi.org/10.1007/s40684-014-0028-x
  19. Ventola, C. L. Medical applications for 3D printing: current and projected uses. Pharmacy and Therapeutics. Vol. 39. No. 10. P&T Community. pp. 704-711. 2014.
  20. Eisenberg, M. 3D printing for children: What to build next?. International Journal of Child-Computer Interaction. Vol. 1 No. 1. Elsevier. pp. 7-13. 2013. https://doi.org/10.1016/j.ijcci.2012.08.004
  21. 김은주, 홍찬석, 홍정표. 아동의 디자인 창의성과 TTCT 창의성과의 관계 - 아동의 디자인 창의성 개발을 위한 평가법에 관한 기초연구. 감성과학, 제10권. 제3호. 한국감성과학회. pp. 433-441. 2007.
  22. 송민정, 하은아, 김효정, 조재경. 해외 온라인 3D 프린팅 플랫폼 분석을 통한 국내 온라인 3D 프린팅 마켓플레이스 전망. 기초조형학연구. 제17권. 제4호. 한국기초조형학회. pp. 163-174.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