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lf-Rated Oral Health Status and the Quality of Life in Urban and County Areas Based on 2015 Community Health Survey data

시 지역과 군 지역주민들의 주관적 구강건강인식과 삶의 질 (2015년 지역사회건강조사자료 이용)

  • Received : 2017.08.31
  • Accepted : 2017.09.18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lf-rated oral health status of local residents and their quality of life in urban and county areas in an effort to provide information on how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Method : The 2015 community health survey data for South Gyeongsang Province(10 urban regions and 10 county areas) were analyzed. Result :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self- rated oral health, there were better self-rated oral health, less chewing difficulty, less use of dentures, higher rate of receiving dental checkups and more scaling experience in the urban communities than in the county areas. Concerning EQ-5D and happiness index by region, the two were higher in the urban regions than in the county areas. In regard to EQ-5D and happiness index by the characteristics of self-rated oral health, better self-rated oral health status and less chewing difficulty led to higher EQ-5D and higher happiness index. And the two were higher when dentures were not used, when more dental checkups were received and when there was more scaling experience. Conclusion : Therefore in order to boost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the preparation of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is necessary to raise their awareness of health, and they should be provided with a wide range of medical benefits by dispersing medical institutions that are mostly located in urban communities or by expanding public health services in county areas.

Keywords

References

  1. 고수정(2010). 지역별 건강불평등 영향요인. 한국지방자치연구, 12(3), 169-195.
  2. 김다혜, 황수정(2016). 일부 노인의 저작강도별 음식섭취 능력과 잔존치아수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치위생과학회지, 16(1), 53-61. https://doi.org/10.17135/jdhs.2016.16.1.53
  3. 김지영, 정천수(2015). 일부지역 재래시장 상인들의 구강 보건행태와 주관적인 구강건강인지와의 관련성. 대한치과위생학회, 17(3), 161-174.
  4. 김지희, 홍민희, 정미애(2010). 주관적 구강건강인식수준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1), 57-67.
  5. 박지현, 윤현서(2012). 산업장 근로자의 주관적 인식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치위생과학회지, 12(3), 235-243.
  6. 박정혜, 이민경, 이정화 등(2014). 한국 노인의 보철상태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치위생과학회지, 14(3), 417-423. https://doi.org/10.17135/jdhs.2014.14.3.417
  7. 배지영(2014). 만성질환 보유 노인의 의료비 부담 및 의료 미이용 경험과 건강관련 삶의 질 간 관계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5(4), 109-129.
  8. 서혜영, 백종일(2013). 주관적 건강수준과 삶의 질 사이에서의 주관적인 스트레스 수준의 매개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15(6), 3053-3065.
  9. 손애리, 윤주탁, 고승덕 등(2010). 서울시 지역주민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정신건강상태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7(4), 141-152.
  10. 손애리, 진기영(2008). 여성의 BMI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행동 특성비교.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5(4), 1-11.
  11. 안은숙, 김기은(2016). 구강건강상태와 EuroQol-5 Dimension을 활용한 건강 관련 삶의 질의 관계. 치위생과학회지, 16(5), 378-383. https://doi.org/10.17135/jdhs.2016.16.5.378
  12. 양순옥, 이승희, 조해련(2014). 도시와 농촌 경로당 이용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비교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2(1), 501-510. https://doi.org/10.14400/JDPM.2014.12.1.501
  13. 여지영, 정형선(2012). 구강검진 및 필요치과진료 수진의 결정요인: 경제적 접근성과 지리적 접근성 간의 상호 작용효과 분석.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18(4), 109-126.
  14. 윤현서(2011). 노인의 구강건강과 주관적 행복.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5. 윤현서(2014). 치과병.의원에 내원한 환자들의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8), 257-265. https://doi.org/10.5392/JKCA.2014.14.08.257
  16. 이은우(2015). 지역 간 주관적 건강수준 차이 분석. 한국지역경제학회, 30, 33-53.
  17. 이진희(2016). 지역적 건강불평등과 개인 및 지역수준의 건강결정요인. 보건사회연구, 36(2), 345-384.
  18. 이현옥, 박지영(2016). 노인의 구강보건행태와 행복지수와의 관련성. 치위생과학회지, 16(6), 415-423. https://doi.org/10.17135/jdhs.2016.16.6.415
  19. 장문성, 김혜영, 심연수 등(2006). 한국노인의 자가보고 치주건강상태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연관성. 대한치주과학회지, 36(3), 591-600.
  20. 장영은, 이민영, 박수경 등(2015). 원저 : 연간 스케일링경험률의 지역분포와 차이: 지역사회건강조사 7년(2008년-2014년) 자료 분석.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9(3),201-206.
  21. 질병관리본부(2014). 한국 건강 영양 조사 에서 건강 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는 도구 개발.
  22. 최은실, 유지영, 김혜영(2015). 성인의 구강건강 상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 관련성: EuroQoL-5 Dimension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치위생과학회지, 15(4), 480-487. https://doi.org/10.17135/jdhs.2015.15.4.480
  23. 허윤민, 김형주, 김미나 등(2015). 건강보험 치석제거 수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치위생과학회지, 15(3), 287-294. https://doi.org/10.17135/jdhs.2015.15.3.287
  24. 황선희, 최혜숙, 손소현(2011). 원저 : 범이론적 모델에 근거한 20대 성인의 구강검진 행위에 대한 조사. 치위생과학회지, 11(2), 77-83.
  25. 황수현, 한삼성, 유왕근(2015). 50대 이상 성인의 저작불편감이 골관절염 유병에 미치는 영향. 치위생과학회지, 15(2), 145-152. https://doi.org/10.17135/jdhs.2015.15.2.145
  26. http://kostat.go.kr, 장래인구추계(2010-2060). 통계청, 2011.
  27. http://kostat.go.kr, 기대수명 및 건강수명. 통계청, 2015.
  28. https://qol.kostat.go.kr, 종합상항표, 국민삶의 질지표, 2015.
  29. htps://www.kihasa.re.kr/web/activity/research/view.do?menuId=38&bid=93&ano=29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7.
  30. http://www.kukinews.com/news/article.html?no=441131, KUKINEWS, 2017.
  31. http://kostat.go.kr, 국민보건의료실태조사:지역별 보건의료 기관종별 분포(2006-2011), 통계청, 2016.
  32. Wilson IB, Cleary PD(1995). Linking clinical variables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 conceptual model of patient outcomes. JAMA, 273(1), 59-65. https://doi.org/10.1001/jama.1995.03520250075037
  33. Rogers RG, Everett BG, Onge JM, et al(2010). Social, behavioral, and biological factors, and sex differences in mortality. Demography, 47(3), 555-578. https://doi.org/10.1353/dem.0.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