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nceptual Analysis on Instructional Coaching, Instructional Supervision, and Instructional Consulting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에 대한 개념적 분석

  • Received : 2017.01.31
  • Accepted : 2017.03.23
  • Published : 2017.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conceptually the difference of instructional coaching, instructional supervision, and instructional consulting by analyzing their own characteristics. The practices for instructional improvement are common in that fundamental objectives are improvement of i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teacher's professionalism in instruction. However, each area changed according to the social flow and the demands of the educational field and created a unique activity system. So, in order to get rid of this mixed use of these terms, it is meaningful to distinguish the concepts, attributes, and areas of each activity. The specific study questions were 1) what is the origin of coaching, supervision, and consulting? 2) how are instructional coaching, instructional supervision, and instructional consulting defined in existing research in korea? 3) how can we conceptually distinguish instructional coaching, instructional supervision, and instructional consulting? Based on reviewing various existing studies,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ceptual origins and lexicons of coaching, supervision, and consulting, respectively, in addition reviewd the prior studies conducted in Korea with regard to instructional coaching, instructional supervision, and instructional consulting, and summarized how each concept is defined according to the researcher. Second, this study compared each two concept with another one. Finally, the existing definitions of instructional coaching, instructional supervision, and instructional consulting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inherent and common attributes of each concept.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oncept of instructional consulting needs to be redefined to better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activities, and that studies that rethink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ional coaching and instructional supervision are needed.

이 연구는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의 공통적 속성과 차별적 속성을 밝힘으로써 각각의 수업개선 활동을 개념적으로 구분하고 용어 간 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수업 개선을 위한 지원 활동으로서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은 수업의 개선과 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을 근본적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공통의 속성을 갖는다. 그렇지만 각각의 영역은 사회적 흐름과 교육현장의 요구에 따라 변화하며 고유한 활동 체계를 만들어 냈다. 따라서 각 활동의 개념과 속성, 영역을 구분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로는 첫째, 코칭, 장학, 컨설팅의 유래는 무엇인가?, 둘째, 기존 국내 연구에서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셋째,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의 공통적 속성과 차별적 속성은 무엇인가? 로 설정하였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먼저 코칭, 장학, 컨설팅의 개념적 유래와 사전적 의미를 각각 살펴보았다. 또한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과 관련하여 국내에서 이루어진 선행 연구를 살펴봄으로써, 연구자에 따라 각 개념을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정리하였다.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 개념 간 양자비교도 하였는데, 우선 수업코칭과 수업컨설팅의 행위의 대상, 문제해결 방식, 컨설턴트와 코치의 역할에서 차이를 보였다. 수업코칭과 수업장학의 구분은 참여주체 간 관계, 장학담당자와 코치의 요건, 문제의 정의와 해결과정을 기준으로 볼 때 가능하다. 수업컨설팅과 수업장학은 분석대상, 참여주체 간 관계, 문제 원인과 해결방안, 실행에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의 기존 정의를 분석하여 공통적 속성과 차별적 속성을 찾아내고, 세 개념 간 구분과 관계를 설명하였다. 결론에서는 수업컨설팅의 개념이 활동의 성격을 보다 잘 담아낼 수 있도록 재정의 될 필요가 있으며, 수업장학과 수업코칭 간의 관계를 재고해 보는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