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ofile Analysis of Bacteria in Human Hands Using the Terminal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T-RFLP) Analysis

제한효소 절편길이 다형성(T-RFLP) 분석기법을 이용한 손에 서식하는 세균의 군집조성 분석

  • Park, Jisun (Department of Microbiology and Molecular Bi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Seung Bum (Department of Microbiology and Molecular Bi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박지선 (충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대학 미생물.분자생명과학과) ;
  • 김승범 (충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대학 미생물.분자생명과학과)
  • Received : 2017.12.04
  • Accepted : 2017.12.20
  • Published : 2017.12.31

Abstract

As evidence that can be obtained at the crime scene, the importance of micro-evidences has been recognized in recent years with the development modern molecular-level analytical techniques. These micro-evidences include substances useful for personal identification such as DNA, but it is difficult to collect only the evidences show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every time at the crime scene. Therefore, development of new research approaches for the discovery and application of micro-evidence candidates is in increasing demand. For this purpose, skin microbial communities of bacteria inhabiting the palms of 16 people were collected and terminal-restriction enzyme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T-RFLP) analysis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potential for the application in personal identification. As a result, 16 different electropherograms were obtained, and various taxa including Staphylococcus and Bacillus were shown to produce different T-RF profiles among individuals. These results were analyzed with the factors affecting the microbiota such as sex and working environment of individuals.

사건현장에서 얻어질 수 있는 증거물로써 현대 분자수준의 수사기법에 힘입어 많은 미세증거물들의 가치가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미세증거물에는 DNA처럼 개인 식별에 유용한 물질들도 포함되어 있지만, 실제 현장에서 개별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증거물만을 수집하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에 아직 응용되지 못하거나 발굴되지 않은 증거물 후보군에 대해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16명의 사람으로부터 손에서 서식하는 세균 군집을 채취하였으며 미생물군집분석방법 중 하나인 제한효소 절편길이 다형성(T-RFLP) 기법을 개인 식별에 활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16개의 서로 다른 electropherogram을 얻을 수 있었고, Staphylococcus속과 Bacillus 속을 포함하여 개인마다 종류와 조성의 차이를 보이는 다양한 세균 분류군들이 손바닥에 서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개인을 둘러싼 환경조건과 성별 등의 요인들을 연관하여 해석하고자 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