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Occupational Performance Ability and Leisure Satisfaction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on Parenting Stress

장애아동 부모의 작업수행능력과 여가만족이 장애아동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김덕주 (청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용미현 (경운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Received : 2017.06.01
  • Accepted : 2017.09.13
  • Published : 2017.09.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ccupational performance ability and leisure satisfaction on parenting stress in parents with disabled children.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January 10, 2017 to February 17, 2017, and 7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earch tool was a structured questionnaire which comprised the following components: general characteristics questionnaire, parenting stress measurement tool, occupational performance ability tool, and leisure satisfaction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high parenting stress were as follows: female, age 8-12, developmental and intellectual disability, disability grade 1 and 2, in the case of private treatment institution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occupational performance ability, parenting stress, and leisure satisfaction. Occupation, social integration, and economic independence, and leisure satisfaction were the factors influencing parenting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parenting stress intervention of parents with disabilities.

본 연구는 장애아동을 둔 부모를 대상으로 작업수행능력과 여가만족도, 양육스트레스를 알아보고, 작업수행능력과 여가만족도가 양육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1월 10일부터 2017년 2월 17일까지였으며, 설문지 72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로서 일반적인 특성을 묻는 문항, 양육스트레스 측정도구, 작업수행능력 측정도구, 여가만족을 묻는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아동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양육스트레스는 장애아동이 여자이며, 연령이 8~12세인 학령기인 경우, 장애유형이 발달장애와 지적장애인 경우, 장애등급이 1, 2급인 경우, 치료기관이 병원과 사설치료기관인 경우 높게 나타났다. 장애아동 부모의 작업수행능력, 양육스트레스, 여가만족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는 작업수행능력 항목 중 작업, 사회적 통합, 경제적 자립과 여가만족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들은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최복천, 장애아동 및 가족 실태조사 연구보고서, 한국장애인개발원, 2013.
  2. 김효진, 장애아동 부모의 여가만족이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3. 조인숙, 류현숙,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제21권, 제1호, pp.46-54, 2015. https://doi.org/10.4094/chnr.2015.21.1.46
  4. 조미림, 김덕주, 양영애, "장애아동 부모가 선호하는 작업치료사의 특성에 관한 연구," 열린부모교육연구, 제7권, 제2호, pp.1-14, 2015.
  5. M. J. Hanson and M. F. Hanline, "Parenting a child with a disability: A longitudinal study of parental stress and adaptation,"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Vol.14, pp.234-248, 1990. https://doi.org/10.1177/105381519001400305
  6. 이현숙, 하규수, "장애아 부모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제16권, 제11호, pp.8046-8056, 2015. https://doi.org/10.5762/KAIS.2015.16.11.8046
  7. 김수정, "장애아동 어머니의 영성이 양육부담에 미치는 영향," 교회사회사업, 제16호, pp.7-35, 2011.
  8. 이재혁, 김희영, 이종화, "장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아동간호학회지, 제13권, 제1호, pp.5-12, 2007.
  9. 이현지, 김우호, "장애청소년 부모의 양육부담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가족의사소통과 가족기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재활복지, 제15권, 제3호, pp.131-153, 2011.
  10. B. P. White, S. Mulligan, and K Merrill,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tor and process skills and scores on the sensory profil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61, No.2, pp.154-160, 2007. https://doi.org/10.5014/ajot.61.2.154
  11. S. Klein, I. Barlow, and V. Hollis, "Evaluating ADL measure from an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 Canadian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Vol.75, No.2, pp.69-82, 2008. https://doi.org/10.1177/000841740807500203
  12. W. Nurit and A. B. Rest, "A Qualitative exploration of the phenomenon,"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Vol.10, pp.227-238, 2003. https://doi.org/10.1002/oti.187
  13. L. Jennifer, Clinical decision making: Case studies for the occupational therapy assistant, Delmar, 2011.
  14. L. D. Parham and S. L. Fazio, Play in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Mosby Elsevier, 2008.
  15. 임번창, 김홍설, "대학생의 여가활동 유형과 여가만족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제35권, 제4호, pp.4480-4491, 1996.
  16. 정주영, 정철, 이훈, "장애아 부모의 여가적응 과정," 한국관광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제2011권, 제7호, pp.423-444, 2011.
  17. 김지연, 장애아동 부모의 가족여가활동과 양육스트레스,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8. Abidin,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The stress of parenting,"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Vol.19, pp.298-301, 1990.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1904_1
  19. G. Carig, Craig handicap assessment and reporting technique, Craig Hospital, 1992.
  20. 고영태, 대학생들의 여가 유형별 여가참여 및 생활 만족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21. 김규리, 근로자의 건강수준과 여가활동, 을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2. 박연숙, 자녀의 자폐적 특성에 따른 부모 간 스트레스 차이,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23. 김정자, 오명화,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비교," 제9권, 제1호, pp.187-196, 2015.
  24. 남기자, 장애아동 특성, 사회적 지지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국제신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25. 노은호, 김미경, "초등부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제9권, 제4호, pp.95-112, 2009.
  26. 김윤아,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대처방식에 관한 사례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27. 이경호, 강정화, "장애아동 부모의 여가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제47권, 제3호, pp.119-135, 2008.
  28. 김효진, 장애아동 부모의 여가만족이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9. 양심영, 학령 전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적응유연성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호, pp.280-293,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1.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