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Indicator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Regional Balance of Korea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각 지역별 특정지표 분석

  • 김선재 (배재대학교 전자상거래학과)
  • Received : 2017.05.02
  • Accepted : 2017.05.25
  • Published : 2017.09.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velopment of regional balance of 16 metropolitan councils in Korea, using an indicator index analysis. In each council, 18 indicators of the year 2015 which reflect regional development have been selected to diagnose the performances of the three sectors: economy, social, and cultural infrastructure. For the index of economic indicators, Gyonggi-do records the highest number of the indicators and followed by Chungnam-do which reaches about 94% of Gyonggi-do. The lowest region is Gwangju Metropolitan City which shows only 57% of Gyonggi-do. In the social sector, Gyonggi-do and Seoul City have high indexes while Gyeongsangbuk-do and Gangwon-do show relatively low indexes. This implies that the national economic and social capitals are concentrated in Gyonggi-do and Seoul City. For the index of cultural infrastructure sector, Jeju-do is the highest council and higher about 58% than that of Gangwon-do which is in the second highest level. In particular, the greatest unbalanced sector among the councils is the cultural infrastructure in which Jeju-do is the five times higher than that of Gyonggi-do and Inchon Metropolitan City. As a result, the cultural infrastructure sectors are particularly concerned in establishing the national policy for the development of regional balance of Korea.

본 연구는 광역자치단체를 중심으로 2015년도 분야별 특정지표의 지수측정을 통하여 각 지방정부가 보유하고 있는 경쟁력을 파악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경제 분야 지수의 최고치는 경기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충청남로서 경기도의 약 94%를 보였다. 가장 낮은 지역은 광주광역시로서 경기도의 약 5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분야의 지수에서는 경기도가 역시 전국 광역자치단체 중에서 최고의 지수를 보였으며 다음으로 서울시가 2위, 이어서 울산, 인천, 충남 순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으로는 경북, 전북 등이며 강원도가 가장 낮은 순위를 보였다. 이 같은 결과를 감안할 때 서울과 경기도, 울산 등에 국민의 경제 사회적 자본이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문화기반분야 지수에서는 제주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위를 차지하고 있는 강원도보다도 무려 58%나 높은 수치를 보였다. 특히 지역 간 격차가 심한 영역은 문화기반 부문으로서 제주도가 경기도와 인천광역시보다 무려 5배를 초과하는 높은 지수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향후 국가정책이나 지역 간 균형발전에 있어서 특별히 문화기반지표들의 지수를 충분히 고려한 자원배분 정책들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수, 박형진, 변창욱, 이원빈, 지역발전지표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산업연구원, 2011.
  2. 장재홍, 정종석, 허문구, 정준호, 서정해, 혁신활동의 지역간 비교분석, 산업연구원, 2006.
  3. 김영수, 변창욱, 지역발전지수의 개발과 지역간 발전격차분석, 산업연구원, 2006.
  4. 유재윤, 지역정책 지원을 위한 기반 D/B 구축, 국토연구원, 2009.
  5. 송미령, 김광선, 권인혜, 윤병석, 지역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초생활권 종합진단지표 개발과 활용, 농촌경제연구원, 2011.
  6. R. Florida, "The Rise of the Creative Class: Why cities without gays and rock bands are losing the economic development race," www.washin gtonmonthly.com, 2002.
  7. R. Florida, The Rise of the Creative Class: And How It's Transforming Work, Leisure, Community and Everyday Life, Basic Books, 2004.
  8. 김홍주, "창조성의 공간적 특성과 도시성장의 관계," 계간지역경제, Vol.6, No.3, pp.6-25, 2010.
  9. 송치웅, 장성일, 창의성지수(Creativity Index) 측정을 통한 창의역량 국제비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정책연구, 2010-16-2.
  10. N. Bontis, National Intellectual Capital Index: Intellectual Capital Development in the Arab Region, UNDP, 2002.
  11. C. W. Cobb and C. Rixord, "Lessons learned from the history of social indicators," working paper series Redefining Progress, 1998.
  12. 김선재, 이병엽, 김정숙, 이석기, "지역별 특성에 따른 국민지적자본 측정지표 개발-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19권, 제1호, pp.71-92, 2007.
  13. J. Nunnally,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McGraw-Hill, 1978.
  14. G. A. Jr. Churchill, "A Paradigm for Developing Better Measures of Marketing Construct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6, pp.64-73, 1979. https://doi.org/10.2307/3150876
  15. A. D. Biderman, The Manipulation of Human Behavior, New York and London: John Wiley and Sons, 1961.
  16. R. Wilkinson and K. Pickett, The Spirit Level: Why Greater Equality Makes Societies Stronger, St Martins Press, 2011.
  17. 문화체육관광부, 지역문화지표 지수화를 통한 비교 분석, 2013.
  18. 김선재, 이영화, "뉴 노멀 시대하 한국기업의 R&D투자가 산업간 기술파급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2호, pp.390-399,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2.390
  19. 김선재, 이영화, 임광혁, "인적자본형성으로서의 교육투자와 경제성장과의 관계: OECD 비영어권 국가들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3호, pp.315-325,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3.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