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asibility Exploration of Virtual Reality Programming for SW Intensive Educatio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초·중학교 SW 심화교육을 위한 가상현실 프로그래밍 도입 가능성 탐색

  • Received : 2017.04.27
  • Accepted : 2017.04.30
  • Published : 2017.04.30

Abstract

Th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plans to introduce SW education to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the 2015 curriculum. However, if we examine major foreign countries where SW education strongly implemented it is found that they stress not only coding education but also real life SW education. Especially they emphasized convergence with other different field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SW education in Korea should be differentiated based on levels of students. For the common basic curriculum, it is needed basic concepts and thinking skills of SW development, but for the enriched curriculum, it should be emphasized SW development education that can be applied to real life experiences and other difference fields as wel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lan SW intensive education to develop programs for the enriched program. In this study, I explored how virtual reality programming education can be applied to the level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as an enrichment program.

교육부는 「2015 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SW교육을 필수화하는 방안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학교에서 SW교육을 강화하고 있는 주요 외국들의 사례를 살펴보면 SW교육에서 코딩교육을 강조하고 있기는 하지만 단순히 SW 개발을 위한 코딩보다는 실생활에서 활용이 가능하고 타 분야와 융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궁극적인 목표를 두고 SW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SW교육의 기초 및 공통 교육에서는 SW 개발의 기본 개념과 사고력을 익힐 수 있는 코딩교육이 필요하지만 우수 인재를 위한 SW심화교육을 마련하여 실생활과 타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SW 개발 교육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SW교육의 심화교육으로 가상현실(VR : Virtual Reality) 프로그래밍 교육을 초·중등학교 수준에 맞추어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16년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6S1A5A8019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