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aesoon Jinrihoe's View of Human Beings

대순진리회의 인간관

  • Received : 2017.04.10
  • Accepted : 2017.05.28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Daesoon Jinrihoe's view of human beings within the context of Korean religious history. Here, the context of Korean religious history refers to the view that every religion, including its doctrine, ritual, and organization is created in a specific historical context.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is paper consists of three main parts: firstly, chapter 2, 'An approach to the preceding research,' focuses on the previous studies on Daesoon Jinrihoe's view of human beings. In this part, I have divided the previous studies into psychological, philosophical, educational, and comparative approaches. These prior studies show that studies on the view of human beings started with approaches based on psychology and scriptural interpretations which were later extended to philosophical, educational, and comparative fields of study. However, these studies suggest that there are more suitable explanatory factors to explain the view of human beings. Secondly, chapter 3 (Daesoon Jinrihoe's view of human beings) explains the view of human beings through the utilization of six factors. This six factors are as follows: the origin of human beings, components of human beings, the final judgment after death, the independence and subjectivity of human beings, the purpose(s) of life, and the practices of life. In comparison with previous studies, these explanatory factors may contribute to a more specific explanation of the view of human beings. Thirdly, chapter 4 ('Remaining problems') focuses on future research tasks based on the six factors mentioned above. In this part, I pointed out various research tasks that have to be considered in future studies of Daesoon Jinrihoe's view of human beings, especially in connection to other religions. Finally, in the conclusion, I present two tasks for active research on the Daesoon Jinrihoe's view of human beings. One is the task of incorporating the terms related to humanity into Daesoon Jinrihoe's dictionary of scriptural terms. The other is the task of establishing a department to discuss doctrine and related issues.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종교사의 맥락에서 대순진리회의 인간관을 이해하는 데에 있다. 아울러 향후 대순진리회의 인간관을 연구할 때 필요한 과제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여기서 한국종교사의 맥락은 어떤 종교의 인간관이든지 특정한 역사적 흐름 속에서 만들어진다는 시각을 말한다. 이 연구의 주요 내용은, 연구 목적에 따라, 크게 세 가지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제2장 선행연구의 접근)는 인간관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는 부분이다. 여기서는 대순진리회의 인간관에 대한 선행연구를 심리학, 철학, 교육학, 비교 연구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보면, 인간관에 대한 연구 방식이 심리학적 접근과 경전 해석의 접근으로 시작해서, 철학적 접근, 교육적 접근, 그리고 다른 종교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다변화되고 있지만, 앞으로 인간관의 설명 요인들을 좀 더 다양화해서 인간관을 연구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두 번째(제3장 대순진리회의 인간관)는 6개의 요인들을 활용해서 인간관을 설명하는 부분이다. 6개 요인들은 '인간의 기원, 인간을 구성하는 요소, 죽음 이후 인간의 상태, 인간의 현실 인식, 인간 삶의 목표, 목표에 도달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설명 요인들은 기존의 연구에 비해 인간관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데에 기여하고 있다. 세 번째(제4장 남는 문제)는 인간관 형성 요인들에 비추어봤을 때 앞으로 논의가 필요한 과제들을 추출하는 부분이다. 이 연구에서는 과제를 인간관의 내부 논리를 설명하기 위한 과제, 그리고 인간관 형성 요인들의 배경을 설명하기 위한 과제로 구분하였다. 인간관의 내부 논리와 관련해서는 인간의 기원·출생, 인간의 구성 요소, 사후 심판, 인간의 주체성, 인간이 처한 현실 인식, '선천-후천'의 구도에서 논의가 필요한 부분들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인간관 형성 요인들의 배경과 관련해서 대순진리회와 다른 종교의 연관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끝으로, 결론 부분에서는 인간관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인간관과 관련된 용어들을 '전경용어사전'에 포함시키는 과제, 교리와 그 쟁점에 대해 논의할 기구를 설치하는 과제 등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가 종교학 연구자들이 한국의 주요 종교인 대순진리회의 인간관을 이해하고 연구하는 데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전경』
  2. 『대순지침』
  3. 『대순진리회요람』
  4. 『도헌』
  5. 『대학』
  6. 『맹자』
  7. 『주역』
  8. 『주자어류 』
  9. 강돈구, 「대순진리회의 종교교육」, 『종교연구』 62, 2011. http://uci.or.kr/G704-000716.2011..62.006
  10. 강돈구, 「대순진리회의 신관과 의례」, 『종교연구』 73, 2013. http://uci.or.kr/G704-000716.2013..73.001
  11. 고남식, 「대순진리회의 생사관 연구」, 『신종교연구』 23, 2010. http://uci.or.kr/G704-002036.2010.23.23.005
  12. 고병철, 「대순진리회의 전개와 특징」, 『한국종교교단연구 II』,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와 종교연구소, 2007.
  13. 김 탁, 「증산교단사에 보이는 도교적 영향」, 『도교문화연구』 24, 2006. http://uci.or.kr/G704-001241.2006..24.007
  14. 김태환, 「퇴계의 지각 이론과 자연미 인식의 감성적 계기」, 『정신문화연구』 33-1, 2010. http://uci.or.kr/G704-000772.2010.33.1.011
  15. 김학택, 「종지론에 나타난 인간관 연구」, 『대순사상논총』 6, 1998
  16. 대순종학 교재연구회, 『대순사상의 이해』, 포천: 대진대학교출판부, 2003.
  17. 돈 베이커, 『한국인의 영성』 박소정 옮김, 서울: 모시는사람들, 2012.
  18. 루이스 벌코프, 『벌코프 조직신학』 권수경 옮김, 고양: 크리스천다이제스트, 2005.
  19. 민병삼, 「대순진리회의 지상신선 세계관 연구-여주본부도장을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27, 2016. https://doi.org/10.25050/jdaos.2016.27.0.35
  20. 바티스타 몬딘, 『신학적 인간학』 윤주현 옮김, 서울: 가톨릭출판사, 2011.
  21. 박마리아, 「대순진리회와 도교의 신앙체계에 관한 비교」, 『신종교연구』 24, 2011. http://uci.or.kr/G704-002036.2011.24.24.004
  22. 박범석, 「인간본성에 대한 종교교육적 접근」, 『종교교육학연구』 16, 2003. http://uci.or.kr/G704-000911.2003.16..005
  23. 박상규, 「대순진리회의 조직과 그 특성」, 『종교연구』 70, 2013. http://uci.or.kr/G704-000716.2013..70.008
  24. 박선영, 「대순진리회의 인간관과 인격교육의 성격-한국종교사와 인간평등 실현의 관점에서」, 『대순사상논총』 14, 2002.
  25. 박선영, 「한국종교들의 인간관과 인격교육의 가치요소: 천도교와 대순진리회 및 원불교 등 근대를 전후한 자생종교를 중심으로」, 『종교교육학연구』 4, 1997.
  26. 박성규, 「주자 귀신론에서 '괴이현상(怪)'의 문제」, 『철학연구』 61, 2003. http://uci.or.kr/G704-000154.2003.61..001
  27. 스탠리 그렌즈, 『조직신학』 신옥수 옮김, 고양: 크리스천다이제스트, 2003.
  28. 염기식, 『인간의 본성 탐구』 파주: 한국학술정보, 2009.
  29. 윤기봉, 「한국 신종교의 이상적 인간관」, 『종교교육학연구』 22, 2006. http://uci.or.kr/G704-000911.2006.22..006
  30. 윤용복, 「대순진리회의 조상의례와 특징」, 『종교연구』 69, 2012. http://uci.or.kr/G704-000716.2012..69.010
  31. 윤재근, 「대순진리회와 인존(人尊) 사상」, 『종교교육학연구』 2, 1996.
  32. 윤재근, 「인존(人尊)사상에 대한 인간학적 접근」, 『대순사상논총』 7, 1999.
  33. 윤재근, 『대순사상의 인간형성이론』 동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2
  34. 이경원, 「대순사상의 인간관 연구-인존론(人尊論)을 중심으로」, 『신종교연구』 12, 2005.
  35. 이경원, 『한국 신종교와 대순사상』 서울: 문사철, 2011.
  36. 이경원, 『대순진리회 교리론』 서울: 문사철, 2013.
  37. 이경원, 「동아시아 신종교의 삼교합일론 비교연구-중화 일관도와 한국대순진리회를 중심으로」, 『신종교연구』 31, 2014. http://uci.or.kr/G704-002036.2014.31.31.005
  38. 이길용, 「크리스텐센의 인간이해에 비추어 본 동학의 인간관」, 『동학학보』 13, 2007. http://uci.or.kr/G704-001606.2007.11.1.001
  39. 이덕진, 「불교철학과 대순사상의 사유체계에 대한 일고찰-우주관ㆍ인간관ㆍ이상사회관을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20, 2009.
  40. 장병길, 『대순진리강화 II』 서울: 대순진리회 출판부, 1989.
  41. 장병길, 『증정 대순종교사상』 서울: 대순진리회 출판부, 1989.
  42. 정혜정, 「천도교의 양성적 인간관에 근거한 '호주제' 폐지」, 『종교교육학연구』 14, 2002. http://uci.or.kr/G704-000911.2002.14..008
  43. 조정환, 「현대 가톨릭 교회의 인간관에 대한 고찰」, 『신학전망』 171, 2010. http://uci.or.kr/G704-SER000001505.2010..171.005
  44. 차선근, 「근대 한국의 신선 관념 변용-대순진리회의 지상신선사상을 중심으로」, 『종교연구』 62, 2011. http://uci.or.kr/G704-000716.2011..62.003
  45. 차선근, 「중국 초기 민간도교와 대순진리회의 종교윤리 비교연구」, 『『종교연구』 75-4, 2015. http://uci.or.kr/G704-000716.2015.75.4.003
  46. 차선근, 「대순진리회의 죽음관 연구서설」, 『『종교연구』 76-3, 2016. http://uci.or.kr/G704-000716.2016.76.3.002
  47. 차선근, 「대순진리회의 효 윤리에 나타난 종교성 연구」, 『『대순사상논총』 27, 2016. https://doi.org/10.25050/jdaos.2016.27.0.171
  48. 최동희, 「증산의 인간관-현대적인 이해를 위한 시도」, 『증산사상연구』 4, 1978.
  49. 홍일립, 『인간 본성의 역사』 서울: 한언, 2017.
  50. <전경용어사전> http://www.idaesoon.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