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Values Orientation and Fashion Image in the New Senior Generation

뉴 시니어 세대의 지향 가치관과 지향 패션이미지 연구

  • Park, Jin-Yo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University of Ulsan) ;
  • Lee, Eun-Suk (Dept. of Clothing & Textiles, University of Ulsan)
  • Received : 2017.05.01
  • Accepted : 2017.06.05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lues orientation and fashion image orientation with a focus on the new senior generation. The study conducted data analysis by using the SPSS 17.0 program for the final 397 copies excluding incomplete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values orientation was drawn as the four factors of social orientation, dependent orientation, family-like orientation, and individual orientation. The fashion image orientation was compartmentalized as three factors: urban image, individual image, and feminine image. Second, social orient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feminine image as shown in Photo 1, while only individual orientation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individual image (Photo 2). Social orientation and family-like orientation respectively exercis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individual image and feminine image, and feminine image (Photo 3). Third, the four group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sub-elements of fashion image orientation. It appeared that all four groups were felt as a complex image in which modern, feminine, and individual images were mixed. Fourth, the four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nusual, elegant, refined, youthful, feminine, and modern images among the factors of fashion image orientation.

Keywords

References

  1. 가치관. (2017). 네이버국어사전. 자료검색일 2017.04.24. 자료출처 http://krdic.naver.com.
  2. 고령친화산업. (2017). 매경시사용어사전. 자료검색일 2017.04.03. 자료출처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
  3. 고령인구에 초점맞춘 '뉴스테이' 등장한다. (2017.02.27.). 매일경제신문. 자료검색일 2017.04.15. 자료출처 http://news.mk.co.kr
  4. 김기연. (2002). 한국인의 세대별 가치관에 따른 생활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5. 김유덕, 김미영. (2004). 중 노년층 여성의 의복추구 이미지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6), 746-757.
  6. 김점해, 이영주. (2010). 노인 여성의 패션아이템별 구매실태 및 선호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2(3), 279-290. https://doi.org/10.5805/KSCI.2010.12.3.279
  7. 김재숙, 송민정. (2007). 20대 여성의 의복 스타일과 메이크업 유형에 따른 인상효과. 복식문화연구, 15(5), 127-138.
  8. 김정란, 김경신. (2009). 가족기능과 가족주의 가치관이 대학생의 부모 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4), 133-149.
  9. 노영, 박재옥. (2008). 추구의복이미지에 따른 의류 제품 디자인 설계품질에 관한 연구-QFD를 이용한 중 노년층 여성 정장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2(10), 1522-1533. https://doi.org/10.5850/JKSCT.2008.32.10.1522
  10. 뉴 시니어 세대의 3대 키워드. (2011). 삼성경제연구소 SERI 경영노트/96호. 서울.
  11. 류숙희, 신수래. (2009). 중년여성의 의복이미지와 의복쇼핑성향의 관계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7(3), 35-44.
  12. 박숙현. (2002). 패션이미지메이킹. 서울: 예학사.
  13. 배현숙, 유태순. (1998). 노년층여성의 의복 자아이미지에 따른 소비자 특성분석. 패션비즈니스학회지, 2(4), 112-125.
  14. 백세시대와 노후준비. (2017.04.14.). 백세시대신문 565호. 자료검색일 2017.04.15. 자료출처http://www.100ssd.co.kr.
  15.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로 인한 소비구조 변화와 고령친화산업 활성화. (2016). 산업연구원. 서울: 휴면컬쳐아리랑.
  16. 심정희. (2007).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에 따른 의복 행동, 의복 추구 이미지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1(11), 1574-1585. https://doi.org/10.5850/JKSCT.2007.31.11.1574
  17. 연명흠. (2010). 중국, 일본, 네덜란드, 한국의 개인주의 감성 비교. 감성과학회지, 13(1), 79-90.
  18. 우찬복. (2010). 도시 중장년층의 가치관변화에 따른 은퇴 후 이주의향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저널, 24(1), 159-173.
  19. 이명희, 이미연. (1995). 의복이미지 선호도와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연구 - 30, 40대 기혼여성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생활문화연구소, 125-144.
  20. 이미숙. (2011). 선호의복이미지에 의한 여성 세분 시장의 구매행동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9(1), 93-106. https://doi.org/10.6115/khea.2011.49.1.093
  21. 이숙희, 임숙자. (2003). 선호 의복이미지와 편익에 의한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 (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7(1), 100-110.
  22. 이영란. (2003). 가치관과 성격특성에 따른 한국인의 생활행동.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원지. (2005). 노년기의 자원봉사활동이 심리적복지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은영. (1998). 복식의장학. 서울: 교문사.
  25. 이종한. (2000). 한국인의 대인과계의 심리사회적 특성: 집단주의적 성향과 개인주의적 성향으로의 변화. 한국심리학회지, 6(3), 201-219.
  26. 이현정. (2016). 1.2차 베이비부머 및 에코부머의 세대 간 주택자산효과 차이 비교. 도시행정학보, 29(2), 105-130.
  27. 임경복. (2007). 소비자의 가치 체계가 추구 의복 이미지와 의복 소비 가치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15(5), 810-824.
  28. 정범모. (1976). 가치관과 교육. 서울: 배영사.
  29. 최인영. (2007). 한국 중년세대의 가치관과 성공적인 노화 인식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추태귀. (1994). 노년층 여성들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의복행동. 경북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함인희. (2002). 베이비붐 세대의 문화와 세대경험. 임희섭(편). 한국의 문화변동과 가치관, 8. 서울: 나남출판.
  32. 황상민, 양진영, 강영주. (2003). 세대집단의 가치로 구분된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그에 따른 권위주의 성향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17(2), 17-33.
  33. 사진 1. 자료검색일 2011.08.05. http://sportsworldi.segye.com/
  34. 사진 2. 자료검색일 2011.08.14. http://blog.naver.com/mindy
  35. 사진 3. 자료검색일2011.08.10. http://www.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