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ssessment Guideline of the Simplified Test Maturity Model (TMM) for An Assessor

심사원을 위한 경량화 테스트 성숙도 모델을 위한 평가 가이드 연구

  • 장우성 (홍익대학교 소프트웨어공학) ;
  • 김기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 손현승 (홍익대학교 메카트로닉스 연구센터) ;
  • 박보경 (홍익대학교 소프트웨어공학) ;
  • 김영철 (홍익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공학과)
  • Received : 2016.11.08
  • Accepted : 2017.02.28
  • Published : 2017.08.31

Abstract

In real software business environment, there are required to validate software quality in diverse usage range of software for many small & medium companies. Software quality means both qualities of production and process. In our situation, we focus on better process quality of a test organization than a whole organization. But even the original test maturity model (TMM) does not enough to apply with our domestic venture/small & medium companies. To solve this problem, we suggest the simplified test maturity model for our companies. We redefine this simplified model with the original TMM and a test process improvement next (TPI next) model. The previous models just have provided each definition of maturity level, goal and activity per each level, which not exists an assessment guideline and a formal assessing procedure. Due to this reasons, an assessor is difficult to assess the test organization without them. this paper suggest an assessment guideline of the simplified TMM and also define the procedure which is included with activities and byproducts. With these assessment guideline, an assessor can work possible to formally assess test organizations of small & medium companies, and with self assessment guideline they can be correctly provision before assessment of their organizations.

현실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환경에서 많은 벤처/중소기업의 소프트웨어의 사용 범위가 넓어지고 품질에 대한 검증이 요구되고 있다. 소프트웨어 품질 검증은 제품과 프로세스 품질이다. 그리고 현실에 맞게 전체 조직보다는 테스트 조직의 성숙도(Test Maturity Model)에 초점을 둔다. 하지만 기존 모델은 국내 벤처/중소기업에게 적용이 부적합한 부분이 존재한다. 이를 위해 테스트 성숙도 모델의 경량화를 제안한다. 우리의 경량 모델은 기존 테스트 성숙도 모델과 테스트 프로세스 개선(TPI Next) 모델을 기반으로 재정의된 모델이다. 하지만 대부분 모델은 성숙도 레벨을 정의하고, 레벨을 달성하기 위한 목표 및 세부 활동만 제공할 뿐이다. 평가단을 위한 평가 가이드 및 정형화된 평가 절차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심사위원과 기업이 정형화된 심사 과정 및 평가를 진행하기 어렵다. 본 논문은 경량화된 테스트 성숙도 모델의 평가 가이드를 제안한다. 평가를 위한 진단 절차를 정의와 평가 가이드, 그리고 평가 절차 및 절차별 활동과 산출물의 정의한다. 이 평가 가이드는 심사 위원에게는 정형화된 심사가 가능하게 하고, 자체 평가 가이드는 자체 테스트 조직에 심사 준비를 좀더 빠르고 바르게 진행하게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KwangKeun Oh, TaeHwan Kim, JeonIl Moon, KyeYoung Lim, JinTae Kim, and SooYong Park, "A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W Measurement for Embedded System,"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Vol.30, No.2(II), pp.385-387, Oct., 2003.
  2. NIPA,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 Korea 2013," 2013.
  3. S. Y. Hea and E. G. Kim,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differential contents organization system based on each learner's level", The KIPS Transactions: Part A, Vol.18, No.6, pp.19-31, 2011.
  4. Kidu Kim and R. YoungChul Kim, "A Study of Enhanced Test Maturity Model with Test Process Improvement next,"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Vol.19, No.1, pp.1243-1246, Apr., 2012.
  5.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Information Business Process Review (CMMI) introduced Study Report," 2008.
  6. ZDNet Korea, "CMMI Certification," 2006.
  7. Woo Sung Jang, Bo Kyung Park, Ki Du Kim, R. Youngchul Kim, and C. R. Carson, "Visualization for the Assessment Model of an Simplified Test Maturity Model(TMM)," 201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latform Technology and Service(PlatCon), 2016.
  8. TTA, "A Study for Korea Test Maturity Model Development," 2015.
  9. TMMi Foundation, "Test Maturity Model integration (TMMi), Release 1.0," 2013.
  10. Kidu Kim, Joonsoon Hwang, and R. Youngchul Kim, "A Study on imploving the analysis of common elements on TMMi and TPI NEXT," SMA2013 The 2nd Internatonal Conference On Smart Media and Applications, Vol.2, No.1, pp.593-596,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