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Analysis of Graphical Representations Related to Addition of Fraction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of Korea and Singapore

한국과 싱가포르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분수의 덧셈 관련 시각적 표현에 대한 비교 분석

  • Received : 2017.07.10
  • Accepted : 2017.08.16
  • Published : 2017.08.31

Abstract

This paper compared and contrasted Korean and Singaporean textbooks in order to explore the direction and possibility of teaching the big ideas related to the addition and subtraction of fractions with different denominators proposed by Lee & Pang (2016a). Firstly, we examined the teaching sequences related to the addition of fractions with different denominators in a series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of Korea and Singapore. We then analyzed what types of representations are used and how the representations are presented for the big ideas related to the addition of fractions with different denominato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contents related to fraction addition are addressed more gradually and systematically in Singaporean textbooks compared to Korean counterparts. The graphical representations appeared in the Singaporean textbooks provide specific implications for teaching the big ideas of the addition of fractions with different denominators. Based on such implications, we expect that the big ideas related to the addition of fractions with different denominators will be addressed explicitly and systematically in Korean textbooks.

본 논문은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이분모 분수 덧셈의 핵심 아이디어에 대한 지도 방향과 그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한국과 싱가포르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과 싱가포르에서 분수의 덧셈과 관련된 내용인 동치분수, 분수의 크기 비교, 분수의 덧셈의 지도 계열 및 지도 시기를 살펴보고 이분모 분수 덧셈의 핵심 아이디어인 전체 단위의 고정성, 공통 측정 단위의 필요성, 재귀적 분할과 이분모 분수 덧셈의 알고리즘의 연결과 관련하여 시각적 표현이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에 비해 싱가포르는 분수의 덧셈과 관련된 내용을 보다 점진적이고 체계적으로 지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싱가포르 교과서에 제시된 다양한 시각적 모델은 이분모 분수 덧셈의 핵심 아이디어 지도 방향에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에서 보다 점진적이고 체계적인 분수 덧셈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흥규(2013). 한국의 초등수학 교과서에 나타나는 분수의 개념과 모델의 양상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7(3), 431-455.
  2. 교육부 (2017a). 수학 3-1. 서울: 천재교육.
  3. 교육부 (2017b). 수학 3-2. 서울: 천재교육.
  4. 교육부 (2017c). 수학 4-1. 서울: 천재교육.
  5. 교육부 (2017d). 수학 5-1. 서울: 천재교육.
  6. 김미영, 백석윤(2010). 분수 덧셈, 뺄셈에서 나타나는 인지적 장애 현상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2), 241-262.
  7. 방정숙, 이지영(2009). 분수의 덧셈과 뺄셈에 관한 초등학교 수학과 교과용 도서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3(2), 285-304.
  8. 이지영, 방정숙(2016a). 이분모분수의 덧셈과 뺄셈 교육 재고: 단위 추론 및 재귀적 분할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18(3), 625-645.
  9. 이지영, 방정숙(2016b). 이분모분수 덧셈의 핵심 아이디어에 대한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이해. 학교수학, 18(4), 793-818.
  10. 정영옥, 장경윤, 김구연, 권나영, 김진호, 서동엽외 5인(2016). 수학 교육과정 국제 비교 분석 연구: 미국, 싱가포르, 영국, 일본, 호주의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6(3), 371-402.
  11. Cramer, K., Wyberg, T., & Leavitt, S. (2008). The role of representations in fraction addition and subtraction. Mathematics Teaching in the Middle School, 13(8), 490-496.
  12. Curriculum Planning and Development Division (2012). Primary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syllabus. Singapore: Ministry of Education.
  13. Izsak, A., Tillema, E., & Tunc-Pekkan, Z. (2008). Teaching and learning fraction addition on number line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9(1), 33-62.
  14. Kheong, F. H., Ramakrishnan, C., & Choo, M. (2015). My pals are here! Maths 2B. Singapore: Marshall Cavendish Education.
  15. Kheong, F. H., Ramakrishnan, C., & Choo, M. (2016). My pals are here! Maths 3B. Singapore: Marshall Cavendish Education.
  16. Kheong, F. H., Soon, G. K., & Ramakrishnan, C. (2015). My pals are here! Maths 5A (2nd ed.). Singapore: Marshall Cavendish Education.
  17. Kheong, F. H., Soon, G. K., & Ramakrishnan, C. (2016). My pals are here! Maths 4B. Singapore: Marshall Cavendish Education.
  18. Lamon, S. J. (2012). Teaching fractions and ratios for understanding: Essential content knowledge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eachers (3th ed.). New York: Routledge.
  19.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7).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류희찬, 조완영, 이경화, 나귀수, 김남균, 방정숙 역). 서울: 경문사. (영어 원작은 2000년 출판).
  20. Tunc-Pekkan, Z. (2015).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fractional knowledge depicted with circle, rectangle, and number line representation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89(3), 419-441. https://doi.org/10.1007/s10649-015-960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