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s on Korean Style Medicinal Tea

한방차에 관한 신문기사 내용 분석

  • Park, Soyeon (Department of Korean Medicine,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lock (Department of Korean Medicine,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Chae, Seungbum (Department of Korean Medicine,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jae (Department of Longevity and Biofunctional Medicine,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박소연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한의학과) ;
  • 이상록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한의학과) ;
  • 채승범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한의학과) ;
  • 이상재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양생기능의학부)
  • Received : 2017.08.05
  • Accepted : 2017.08.21
  • Published : 2017.08.31

Abstract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ws contents of Korean style medicinal tea and investigate how it is portrayed in the consumer market. Methods : Total of 355 articles are selected by inputting "Korean style medicinal tea" and analyzed; 108 articles for 2013, 107 articles for 2014, 140 articles for 2015. Results : 175 different tea were found from Jan. $1^{st}$ 2013 to Dec. $31^{st}$ 2015, with ginger tea the most frequently covered for 68 times. Among 175 tea, 117 had one ingredient and 58 had more than one ingredient. The most frequently covered category was "Disease and Health Promotion" followed by "Commercial Ads", "Korean style medicinal tea Culture", and others. From 355 articles, 188 provided the information on the efficacy of Korean style medicinal tea, 88 presented the pharmacological activity, 84 addressed the recipe, 80 explained the taste, and 31 included ancient literature. The most frequently covered tea were ginger tea, omija tea, gugija tea, jujube tea, mogwa tea. Autumn and winter had 109 articles, spring had 89, and summer had 86. Conclusions : This study showed the potential of Korean style medicinal tea as a successful future content. Most of the articles about Korean style medicinal tea contained information about the efficacy but practical information such as the recipe and drinking method were not addressed much. Therefore, future study is needed to investigate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Korean style medicinal tea.

Keywords

References

  1. 박호영, 진선영, 박소연, 이상재. 한방차의 원료로 사용된 한약재 조사연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16:20(3):75-82.
  2. 장영희. 의료계 종사자들의 TV 건강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언론출판학과. 2016.
  3. 한국방송공사. 방송매체의 건강생활실천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건강 프로그램의 효과성 제고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2001:86.
  4. 박준식, 이순영. 석박사 학위논문을 통해 본 한국차문화 관련 연구동향의 분석.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2005:36(2):31-48.
  5. 조헌철. 조선왕조실록 '茶時' 기사에 대한 고찰. 한국차학회지. 2015:21(4):1-12
  6. 오유자. 조선후기 사대부의 書.畵속에 나타난 차문화 연구: 다산과 추사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예문화와다도학과. 2009.
  7. 김지은. 국내 차 전문잡지의 내용분석. 석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예절다도학과. 2005.
  8. 김영욱, 김성해, 이토 요이치, 장궈량. 미디어에 나타난 이웃. 한국언론재단. 2006.
  9. 김진규, 김진아, 이심열. 한국 전통차에 대한 섭취 실태 및 기호도 조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5:49:126-126.
  10. 유양석. '차(茶)'관련 스마트폰 앱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와 특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5:15(3):352-361. https://doi.org/10.5392/JKCA.2015.15.03.352
  11. 이민규, 김영은. 질병 관련 인터넷 정보 이용 효과 연구. 언론과학연구. 2009:9(4):506-539.
  12. 이상록, 윤영민. 스마트 폰 앱 뉴스의 연성화 분석: 동아닷컴, 인터넷한겨레, 네이버, 다음의 인터넷 사이트와 스마트 폰 앱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2012:12(3): 330-354.
  13. 임종수. 포털미디어에 의한 뉴스 미디어의 기능적 대체와 미디어 레퍼토리 연구 : 포털미디어 이용수준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2007:51(4):437-465.
  14. 장미경. 중국 차(茶)음료 브랜드 패키지디자인 개발을 위한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트랜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8.
  15. 이소영. 조선시대 약용차에 대한 고찰. 남도민속연구. 2008:17(0):243-267.
  16. 진화정, 백영화, 이영섭, 이재철, 김명, 김상혁. 미병 연구의 네트워크 분석.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2:26(4):546-550.
  17. 손종연, 김태옥. 한국 전통차의 생리활성 및 항산화작용.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011:27(5):567-575. https://doi.org/10.9724/kfcs.2011.27.5.567
  18. 김종오. 조선시대 약차 연구 - 의학서적과 승정원일기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역사학과. 2010.
  19. 송지성, 신희영. 민속차 고유브랜드 창출을 위한 한국전통차 시장 및 스타벅스 사례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02:8(2):251-262.

Cited by

  1. 한방차 관련 특허 동향 분석 vol.22, pp.1, 2017, https://doi.org/10.25153/spkom.2018.22.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