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유아의 기질과 정서조절능력의 관계: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Temperament and Emotion Regulation: The Mediation Effect of Mother's Parenting Stress

  • 박예랑 (전남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
  • 이주연 (전남대학교 생활복지학과)
  • 투고 : 2017.06.15
  • 심사 : 2017.08.19
  • 발행 : 2017.08.31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young children's temperament, emotional regulation, and their mother's parenting stress.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parenting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ther two variables. Methods: A total of 304 mothers with young children that lived in Gwangju and Jeollanam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obel test. Resul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daptability temperam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mother's parenting stres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 temperament and other variables, whereas regularity temperament had only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motional regul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mother's parenting stress partially mediated between children's adaptability temperament and emotional regula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mother's parenting stress is a very important factor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lso,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children's adaptability temperament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in order to improve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도연 (2015). 유아의 실행기능과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행동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권연희 (2014).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대한 부정적 정서성과 수줍음 및 의도적 통제의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4(4), 215-235.
  3. 김경하 (2013).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소득수준에 따른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의 차이: 저소득가정과 일반가정 비교.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경희 (2004). 아동의 기질과 부정적 정서 및 정서조절전략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5(6), 355-370.
  5. 김미숙, 문혁준 (2005).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과의 관계.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3(8), 25-35.
  6. 김미정 (2010). 걸음마기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숙령, 최항준, 정경화, 이윤이 (2012). 영아기질과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영아의 사회, 정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6(1), 551-575.
  8. 김은영 (2005).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훈육 방식과 아동의 심리적 적응문제 간의 관계에 대한 경로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지윤 (2007). 유아의 기질 및 부부갈등과 유아의 정서조절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지현 (2000). 유아의 정서지능과 어머니 양육행동과의 관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현나, 이경님 (2008). 성별에 따른 유아의 기질, 정서조절능력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유아의 또래유능성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3(5), 71-92.
  12. 김현미 (2004).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현미, 도현심 (2004).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5(6), 279-298.
  14. 김현주 (2009).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신념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혜진 (2015). 부모양육행동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과 인지조절의 매개효과.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문혁준 (2008). 부모-자녀 관련 국내 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 아동학회지, 29(3), 15-31.
  17. 문혜련 (1998).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체계와 양육스트레스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민혜영 (2003). 유아의 확산적 사고 및 정서적 기질과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2), 261-279.
  19. 박성연, 강지흔 (2005). 남.여 아동의 정서조절능력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6(1), 1-14.
  20. 박윤정 (2014). 유아의 기질과 정서조절능력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양육효능감의 매개적 역할.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박재윤 (2013).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기질-양육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박지숙 (2008). 아동의 기질, 정서조절능력,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아동의 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박진성 (2012).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관한 연구: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6(5), 253-275.
  24. 박진성, 박은희 (2010). 유아 가족배경변인과 가족탄력성이 유아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4(1), 203-225.
  25. 박진아 (2011).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모.자의 심리적응 및 모-자녀 관계 관련 연구. 놀이치료연구, 15(1), 43-56.
  26. 서석원, 이대균 (2013).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부부갈등 및 영아의 정서성 기질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지, 33(5), 279-298.
  27. 서주현 (2009).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지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서혜린, 이영 (2008).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9(2), 33-56.
  29. 신지연 (2011). 유아의 기질 및 양육스트레스와 어머니 양육행동 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5(2), 291-312.
  30. 안라리 (2005). 유아의 개인변인 및 어머니의 정서성과 유아의 정서 발달, 사회적 능력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오희옥, 오선영, 김영희 (2007). 유아의 공격성에 관련된 어머니의 성격 특성과 훈육방식 및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5(2), 1-22.
  32. 유명희, 박성연 (1992). 온순한 유아와 까다로운 유아의 울음에 대한 어머니의 지각과 반응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12(2), 173-191.
  33. 유우영, 이숙 (1998).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1), 45-61.
  34. 이경님 (2009). 아동의 정서조절능력과 부모변인 및 또래에 의한 괴롭힘이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7(7), 1-12.
  35. 이경님, 유혜선 (2014).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교사-영아 관계가 어린이집 초기 적응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3(3), 165-190.
  36. 이수미, 민하영 (2007). 유아의 기질 및 아버지 양육 참여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한국생활과학회지, 16(2), 219-225. https://doi.org/10.5934/KJHE.2007.16.2.219
  37. 이영미 (2009).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애정 및 거부적 양육행동에 따른 남녀 유아의 자기조절. 가족과 문화, 21(4), 41-61.
  38. 이정숙, 두정일 (2008). 유아의 적응적 기질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3(2), 1-17.
  39. 이정희 (2000). 초등학교 교사의 열린교육에 대한 인식과 운영실태.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이주리 (2008). 어머니의 수용.거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모형분석-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9(2), 57-71.
  41. 임지혜 (2014).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임희수 (2001).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정서조절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정서조절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3. 임희수, 박성연 (2002). 어머니가 지각한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정서조절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조절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3(1), 37-54.
  44. 장계림 (2010).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자기결정성을 매개로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장미희, 이지연 (2011). 모애착, 거부민감성, 정서조절능력이 아동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4(1), 35-53.
  46. 정은혜 (2014). 호프만의 공감이론을 바탕으로 한 인터넷 윤리교육 방법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조안나 (2012). 유아의 환경변인 및 정서지능,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창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창의력교육연구, 14(1), 49-70.
  48. 조용신, 정영숙 (2000). 어머니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과 양육스트레스. 한국생활과학회지, 9(3), 271-281.
  49. 조윤영 (2014). 걸음마기 아동의 기질 및 어머니의 기질 요구도와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채영문 (2012). 유아 아버지 배경변인과 아버지 애착유형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영유아교육연구, 15, 83-101.
  51. 최미숙, 김미숙 (2005). 유아의 기질과 사회적 능력 및 어머니의 심리적 자세간의 관계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2), 153-172.
  52. 최연희 (2001). 학령 전 아동의 기질, 부모의 훈육방식 및 문제행동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최영희 (1990). 아동의 기질이 모자 상호작용과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4. 최지현 (2001).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기통제와의 관계. 아동교육, 10(1), 133-146.
  55. 최항준 (2010).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구조모형을 중심으로.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6. 한수정 (2016). 유아의 까다로운 기질,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문제행동과의 관계: 유아 탄력성의 중재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7. 허미혜, 이정자 (2010). 사례연구: 부모-자녀 상호작용증진 프로그램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및 모-자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까다로운 기질 아동을 대상으로. 놀이치료연구, 14(2), 61-77.
  58. 허순금 (2006).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 어머니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 요인 분석.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9. 홍지은 (2015). 유아의 기질과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의 역할.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0. 황윤세 (2007). 기질과 사회적 유능감이 유아 놀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모형 분석. 열린유아교육학회지, 12(2), 49-66.
  61. Abidin, R.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rom (PSI/SF). Charlottes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62. Abidin, R. R. (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21(4), 407-412. doi:10.1207/s15374424jccp2104_12
  63.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doi:10.1037/0022-3514.51.6.1173
  64. Calkins, S. D. (1994). Origins and outcome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emotion regulation.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9(2/3), 53-72. doi:10.2307/1166138
  65. Crnic, K. A., & Greenberg, M. T. (1990). Minor parenting stress with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1(5), 1628-1637. doi:10.1111/j.1467-8624.1990.tb02889.x
  66. Crnic, K. A., & Low, C. (2002). Everyday stress and parenting. In M. H. Bornstein (Ed.), Handbook of parenting (Vol. 5, pp. 243-267). Mahwah, NJ: Lawrence Erlbaum.
  67. Denham, S. A., & Burton, R. (2003). Social and emotional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ming for preschoolers. NY: Kluwer/Academic Plenum.
  68. Denham, S. A., Zoller, D., & Couchoud, E. A. (1994). Socialization of preschoolers' emotion understanding. Developmental Psychology, 30(6), 928-936. doi:10.1037/0012-1649.30.6.928
  69. Derryberry, D., & Rothbart, M. K. (1988). Arousal, affect, and attention as components of temperament. Journal of Personality, 55(6), 958-966. doi:10.1037/0022-3514.55.6.958
  70. Eisenberg, N., Liew, J., & Pidada, S. U. (2001). The relations of parental emotional expressivity with quality of Indonesian children's social functioning. Emotion, 1(2), 116-136. doi:10.1037/1528-3542.1.2.116
  71. Park, S., Belsky, J., Putnam, S., & Crnic, K. (1997). Infant emotionality, parenting, and 3-year inhibition: Exploring stability and lawful discontinuity in a male sample. Developmental Psychology, 33(2), 218-227. doi:10.1037/0012-1649.33.2.218
  72. Rothbart, M. K., Ahadi, S. A., & Evans, D. E. (2000). Temperament and personality: Origins and outcom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8(1), 122-135. doi:10.1037/0022-3514.78.1.122
  73. Rothbart, M. K., & Bates, J. E. (2006). Temperament. In N. Eisenberg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Vol. 3, pp. 99-166). NY: Wiley. doi:10.1002/9780470147658.chpsy0303
  74. Shields, A., & Cicchetti, D. (1997). Emotion regulation among school-age childre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new criterion Q-sort scale. Developmental Psychology, 33(6), 906-916. doi:10.1037/0012-1649.33.6.906
  75. Sobel, M. E. (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13, 290-312. doi:10.2307/270723
  76. Windle, M., & Lerner, R. M. (1986). Reassessing the dimension of temperamental individuality across the life span: The Revised Dimensions of Temperament Survey (DOTS-R).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1(2), 213-230. doi:10.1177/074355488612007

피인용 문헌

  1. The Influences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Mother’s Demand, and Mother-child Goodness-of-fits on Young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vol.8, pp.1, 2018, https://doi.org/10.30528/jolss.2018.8.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