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통계청 혼인.이혼통계 결과, 2016.
- 노명숙, "재혼가족을 위한 프로그램개발의 현황과 과제," 한국산학기술학회, 제14권, 제1호, pp.169-175, 2013. https://doi.org/10.5762/KAIS.2013.14.1.169
- 김연옥, "재혼가족의 가족경계모호성과 가족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4권, 제3호, pp.183-202, 2012.
- 김효순, "재혼가족 관계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방향, 새부모.새자녀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2호, pp.262-280,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2.262
- J. Gosselin, "Individual and Family Factors Related to Psychosocial Adjustment in Stepmother Families With Adolescents," Journal of Divorce and Remarriage, Vol.51, No.2, pp.108-123, 2010. https://doi.org/10.1080/10502550903455174
- E. Carter and M. McGoldrick, eds. The expanded family life cycle, 3rd ed. Boston: Alyn and Bacon, 1999.
- 김유정, "재혼가족의 레질리언스 강화를 위한 실천모형 기초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30권, 제4호, pp.147-161, 2012. https://doi.org/10.7466/JKHMA.2012.30.4.147
- E. B. Visher, J. S. Visher, and K. Pasley, Remarriage families & stepparenting: Walsh, F.(2003). Normal family process: Growing diversity & complexity, 3rdEd. The Guilford Press, 2003.
- M. Bowen, Theory in the practice of psychotherapy In P. J. Guerin(Eds.),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New York: Gardner Press, 1976.
- D. Patton and E. M. Waring, "The quality and quantity of marital intimacy in the marriages of psychiatric patients," Journal of Sex and Marital Therapy, 제10권, 제3호, pp.201-206, 1984. https://doi.org/10.1080/00926238408405946
- 유희남, 김영희, "원가족 분화경험이 기혼여성의 자아분화와 부부갈등 대처행동 및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지, 제19권, 제3호, pp.141-158, 2011.
- M. Bowen, On the differentiation of self.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New York: Jason Aronson, 1978.
- 조유리, 김경신, "부부의 갈등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5권, 제2호, pp.1-21, 2000.
- 김형민, 이은경, "재혼가정의 부모와 청소년자녀의 적응과정연구," 청소년학 연구, 제23권, 제2호, pp.243-269, 2016.
- 김효순, 하춘광, "청소년 자녀가 있는 재혼가족의 새부모 역할 경험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학회지, 제23권, 제1호, pp.137-168, 2011.
- 변복수, 박승민, "재혼가정 성인 자녀들의 적응과정,"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7권, 제3권, pp.721-748, 2015.
- L. K. White and A. Booth, "The Quality and Stability of Remarriage: The Role of Stepchildre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50, pp.689-698, 1985. https://doi.org/10.2307/2095382
- G. Spanier and F. Furstenberg, Remarriage and reconstituted families, In M. B. Sussman and S.D. Steinmetz(Ed.), Handbook of Marriage and the family, NY : Plenum, pp.419-432, 1987.
- L. H. Ganong and M. Coleman, "Preparing for Remarriage: Anticipating the Issues, Seeking Solutions," Family Relations, Vol.38, No.1, pp.28-33, 1989. https://doi.org/10.2307/583606
- J. Farrell and H. Markman, Individual and interpersonal factors in the etiology of marital distress: The example of remarital couples. In R. Gilmour & S. Duck(Eds.), The emerging field of personal relationship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pp.251-263, 1986.
- M. E. Kerr and M. Bowen, Family evaluation, New York: Norton, 1988.
- M. E. Kerr, Marital satisfaction and attachment as a function of differentiation of self. Ph.D. Dissertation, School of professional of psychology, 1978.
- E. A. Skowron and M. L. Friedlander, "The Differentiation of Self Inventory: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5, No.3, pp.235-246, 1998. https://doi.org/10.1037/0022-0167.45.3.235
- 권정란, 이인수,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과 자아분화에 따른 부부적응,"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1권, 제1호, pp.35-56, 2006.
- 박형원, "기혼 성인의 가족건강성에 대한 영향요인: 원가족 경험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9호, pp.184-194,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9.184
- 박수진, 이인수, "부부의 원가족건강성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 가족과 가족치료, 제23권, 제2호, pp.381-400, 2015.
- J. H. Brown and C. S. Brown, Marital therapy: Concepts and skills for effective practice, New York; Brooks/Cole, 2002.
- 박봉순, 김영희, "원가족 분화경험이 기혼남녀의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제48권, 제9호, pp.1-11, 2010. https://doi.org/10.6115/khea.2010.48.9.001
- E. Pearlin and M. Schooler, Integrating feminist theory and practice, Feminist Perspectives, 1988.
- 안창현, 김진이, "부부의 자아존중감, 의사소통 및 가족응집성.적응성과 부부갈등대처방식간의 관계," 한국가족치료학회지, 제16권, 제2호, pp.95-114, 2008.
- 김경주, 김영혜, "기혼남녀가 지각한 원가족 부모의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분화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20권, 제3호, pp.93-112, 2015.
- J. Wallastein, The good marriage How and why love lasts, New York: Houghton Muffin, 1995.
- 최규련, "가족체계유형과 부부간 갈등 및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12권, 제2호, pp.140-152, 1994.
- J. H. Grych and F. D. Fincham, "Children's appraisals of marital conflict: Initial investigations of the cognitive-contextual framework," Child Development, Vol.64, pp.215-230, 1993. https://doi.org/10.2307/1131447
- 조지용, 박태영, "갈등으로 이한 이혼위기를 경험하고 있는 부부의 부부치료 사례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제19권, 제2호, pp.41-62, 2011.
- R. A. Lewis and G. B. Spainer, "Theorizing about the Quality and Stability of Marriage," In Burr, W., Hill, Nye, I., & Ress, I.(Eds). Contemporary Theories about the Family. Vo1 Z (New York NY : Free press), pp.268-284, 1979.
- G. B. Spanier and R. A. Lewis, "Marital quality: A review of the seventi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42, No.4, pp.825-839, 1980. https://doi.org/10.2307/351827
- 권정혜, 채규만, "한국판 결혼 만족도 검사의 표준화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8권, 제1호, pp.123-139, 1999.
- 임나현, "노년기 부부의 성역할태도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pp.230-240,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1.230
- 신현정, 부부의 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간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자기효과와 배우자효과,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 정혜정, 조은경, "한국형 자기분화 척도개발과 타당성에 관한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제15권, 제1호, pp.19-46, 2007.
- 이경희, 부인이 지각한 갈등과 친밀감에 따른 부부관계유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 양여진, 중년기 기혼남녀의 원가족 건강성과 자기분화가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D. K. Synder, "Multimensiona assement of martial satifaction," Juou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41, pp.813-823, 1979. https://doi.org/10.2307/351481
- 현정희, Bowen과 대상관계 이론을 통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정재완, "성인애착 및 자아분화와 결혼만족도의 관계: 성적, 정서적 친밀감의 매개효과,"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제17권, 제1호, pp.1-21,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