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ttention Behavior to Mobile Content: Focusing on Exposure and Involvement of Pikicast Content

모바일 콘텐츠에 대한 주목 행동: 피키캐스트 콘텐츠의 노출과 관여 행동을 중심으로

  • 김은미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
  • 박현아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
  • 임소영 (광운대학교 미디어영상학부)
  • Received : 2017.04.17
  • Accepted : 2017.06.13
  • Published : 2017.07.28

Abstract

In this study, we divided attention to mobile contents into two dimensions (i.e., exposure and involvement), and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ention behaviors, using contents data from Pikicast.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and involvement in order to examine whether double-jeopardy effects appear in mobile contents as well. In addition, we examined how different attention behaviors differ according to platform and subject attributes(i.e., soft and hard).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xposure and involvement in mobile platforms. Also, we found that the attention behaviors, especially sharing behaviors, were different in each platform. In terms of subject attributes, the attention indices such as the number of comments and sharing, which were immediate responses, were related to the soft content, whereas the attention indices such as the consumption time and the complete-read rate were related to the hard content requiring cognitive effort.This study is meaningful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the attention behavior in the mobile environment from a content - oriented perspective rather than the most existing research with a user - centered perspective.

이 연구는 주목 행동을 노출과 관여의 두 차원으로 구분하여 모바일 콘텐츠에 대한 주목 행동의 특징을 살펴보고, 주목 행동들 간에 어떤 관계를 갖는지 피키캐스트의 콘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탐구하였다. 우선, 이 연구는 이중위험효과(double-jeopardy)가 모바일 콘텐츠에서도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노출과 관여의 상관관계를 검증했다. 또한 플랫폼별, 주제 속성별(연성 및 경성)로 주목 행동이 어떻게 다른 양상을 띠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모바일 플랫폼에서도 노출과 관여 간에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플랫폼별로 주목 행동, 특히 공유 행동이 다른 양상을 띠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주제 속성별로는, 연성 콘텐츠에 대해서는 즉각적인 반응인 댓글 수, 공유 등의 주목 지표들이 연관되어 있는 반면, 인지적인 노력이 필요한 경성 콘텐츠에 대해서는 소비시간과 완독률 같은 주목 지표들이 연관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이용자 중심의 관점에 치중했던 기존 연구에서 벗어나 콘텐츠 중심의 관점으로 모바일 환경에서의 주목 행동의 본질을 새롭게 이해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원제, 콘텐츠 실크로드 미디어 오디세이, 한국학술정보, 2009.
  2. J. G. Webster, The marketplace of attention: How audiences take shape in a digital age, Mit Press, 2014.
  3. 김은미, 이준웅, 심미선,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시청률과 품질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8권, 제4호, pp.323-350, 2004.
  4. B. E. Barnes, Electronic media audience behavior in the multichannel environment: Patterns of demographic homogeneity and time spent view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orthwestern University, Evanston, IL, 1990.
  5. 임정수, "인터넷 이용자의 웹사이트 이용패턴," 한국방송학보, 제16권, 제4호, pp.310-336, 2002.
  6. 한국콘텐츠진흥원, 경쟁하는 수용자들, 그리고 새로운 측정방법들, 2015.
  7. 최양수, 장성아, "케이블 텔레비전 시청자의 채널 레퍼토리 (repertoire) 분석," 한국방송학보, 통권 제10호, pp.323-353, 1998.
  8. G. Goodhardt, A. Ehrenberg, and M. Collins, The television audience: Patterns of viewing(2nd ed.), Westmead, UK:Gower, 1987.
  9. Litt, E., "Knock, knock. Who's there? The imagined audience,"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56, No.3, pp.330-345, 2012. https://doi.org/10.1080/08838151.2012.705195
  10. 우교혜, 박윤서, 김용식, "구전정보 채널유형이 소비자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6권, 제12호, pp.707-723, 2016.
  11. D. A. Norman, "Affordance, conventions, and design. Interactions," Vol.6, No.3, pp.38-43, 1999. https://doi.org/10.1145/301153.301168
  12. 김근형, 김시연, 이봉규, "모바일콘텐츠 서비스의 성공전략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6권, 제10호, pp.89-98, 2006.
  13. T. Barwise, A. Ehrenberg, and G. Goodhardt, "Glued to the box?: Patterns of TV repeat viewing," Journal of Communication, Vol.32, No.4, pp.22-29, 1982. https://doi.org/10.1111/j.1460-2466.1982.tb02515.x
  14. E. Thorson, "Changing patterns of news consumption and participation: News recommendation engines," Information, Communication & Society, Vol.11, No.4, pp.473-489, 2008. https://doi.org/10.1080/13691180801999027
  15. R. Pieters and M. Wedel, "Attention capture and transfer in advertising: Brand, pictorial, and text-size effects," Journal of Marketing, Vol.68, No.2, pp.36-50, 2004. https://doi.org/10.1509/jmkg.68.2.36.27794
  16. 김관규, "다미디어 환경에서의 뉴스 전파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10권, 제3호, pp.125-156, 2010.
  17. J. Berger and K. Milkman, "Social transmission, emotion, and the virality of online content," Wharton research paper, 106, 2010.
  18. T. Barwise, A. Ehrenberg, and G. Goodhardt, "Audience appreciation and audience siz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Society, Vol.21, pp.269-289, 1979.
  19. 트렌드 워칭, SNS 공유가 잘되는콘텐츠의 5가지 특징, http://trendw.kr/marketing/16-010501.t1m#, 2016.01.05.
  20. 김은미, "다채널 시대 텔레비전 시청자의 채널 이용," 한국방송학보, 통권 제11호, pp.41-75, 1998.
  21. P. Barwise and A. Ehrenberg, Television and its audience, Sage, Vol.3, 1988.
  22. J. W. Treem and P. M. Leonardi, "Social media use in organizations: Exploring the affordances of visibility, editability, persistence, and association," Annal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Vol.36, No.1, pp.143-189, 2013. https://doi.org/10.1080/23808985.2013.11679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