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lectricity Consumption and Output in Manufacturing Sectors of Korea

국내 제조업종별 전력소비와 경제산출간 인과관계 분석

  • Received : 2017.06.01
  • Accepted : 2017.06.27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lectricity consumption and economic output (GDP) for Korea from 2001 to 2014 employing the vector error-correction model estimation by manufacturing sector. The results of unit-roots tests show that all sectoral GDP and electricity consumptions were not stationary. And cointegration tests show that processed foods, Wood Pulp Paper, electricity apparatus, Precision Medical sectors had a linear combinations in the long run between electricity consumptions and economic growth.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causality, manufacturing sector has a uni-directional running from economic output (GDP) to electricity consumption in short term. The results of study show that sectoral causal relation were different each other in short term and long term. These findings imply that electricity demand management policy focusing on efficiency improvement is necessary to minimize negative impacts on economic growth and to adopt suitable structural policies can induce energy conservation.

단위근검정, 공적분검정, 오차수정모형을 이용하여 2001년~2014년 기간 중 한국의 11개 제조업종별 분기별 전력소비량과 산출(GDP)간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단위근 검정 결과 전업종에서 단위근이 존재하다는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못하여 불안정한 시계열들임을 확인 하였다. 공적분 검정에 있어서 식료품, 목재종이 인쇄, 전기전자, 정밀기기 등 4개 업종에서 공적분 관계가 존재함을 확인하였으며, 공적분 관계가 있는 4개 업종은 장기 인과관계가 있다는 의미이므로 오차수정모형(VECM)을 통해 장기 인과관계를 검정하고 나머지 7개 업종은 표준 그랜저 인과관계 검정을 통한 단기인과관계를 검정하였다. 오차수정 모형을 통한 인과관계 검정결과 전기전자는 보존가설을, 식료품은 성장가설을, 정밀기기는 장호의존 가설을 그리고 목재 종이 인쇄는 독립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각각 나타났다. 표준 Granger 인과관계 검정결과 보존가설은 1차 금속 등 3개 업종이, 성장가설은 식료품, 섬유의복 업종이, 상호의존 가설은 석유화학, 전기전자 업종이, 독립가설은 목재 종이 인쇄, 비금속광물, 정밀기기, 운송장비에서 각각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조업 전체적으로 경제성장이 전력소비를 이끄는 보존가설을 지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가 제시하는 시사점은 요금 현실화, 효율향상 투자 등을 통한 전력수요관리정책이 에너지 생산성 향상과 기후변화 대응 측면에서 중요하나, 제조업종별 특성을 반영하여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신중한 추진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철환, "한국의 에너지소비와 경제성장 사이의 인과관계: 오차수정모형," 한국경제연구, 제1권, 1998, pp129-155.
  2. 모수원, 김창범, "에너지소비와 경제성장의 동태적 인과관계" 자원⋅환경경제연구, 제12권 제2호, 2003.
  3. 박기현, 김진경, "부문별 에너지소비와 경제성장의 인과관계 분석," 에너지경제연구, 제12권 제2호, 2013, pp59-82.
  4. 박민혁, 노건기, 이승은, "한국의 산업별 전력소비와 경제성 장간 인과관계 분석," 조명전기설비학회, 제30권 제3호, 2016, pp39-45. https://doi.org/10.5207/JIEIE.2016.30.3.039
  5. 박민혁, 문양택전, 박중구, "전력계통한계가격(SMP)과 기저 발전비율, LNG도입가격, 환율간 인과관계 분석," 조명전기설비학회, 제28권 제7호, 2014, pp97-105. https://doi.org/10.5207/JIEIE.2014.28.7.097
  6. 박훈, "국내 제조업의 에너지 효율성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산업경제분석, 2009, pp27-36.
  7. 백문영, 김우환, "한국의 경제성장과 전력수요간의 인과성에 관한 연구: 분기별 자료를 이용하여," 응용통계연구, 제25권 제1호, 2012, pp89-99. https://doi.org/10.5351/KJAS.2012.25.1.089
  8. 오완근, 이기훈, "다변량 오차수정모형을 이용한 에너지와 국민소득간의 인과관계 분석," 경제학연구, 제51집 제1호, 2003, pp257-271.
  9. 유승훈, 정군오, "전력소비와 경제성장의 인과관계 분석," 산업경제연구, 제17권제1호 통권51호, 2004, pp81-94.
  10. 이기훈, 오완근, "에너지소비와 경제성장간의 인과관계 재분석: 디비지아 에너지지수와 $CO_2$ 배출량의 적용," 경제학연구, 제49권 제1호, 2001.
  11. 이성인, "저소비 고효율 경제사회 구축을 위한 국가에너지 효율화 추진전략 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기본보고서 12-15, 2012.
  12. 임재규 외, "산업부문의 전력수요관리정책 추진방향에 대한 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2013.
  13. 임재규, 김종익, "제조업 생산활동과 전력소비간의 인과관계 분석," 자원.환경경제연구, 제23권 제2호, 2014, pp349-364.
  14.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통계연보, 2012.
  15. 조정환, 강만옥, "자원․ 환경위기 시대에 대비한 에너지가격 개편 추진전략 연구," 한국 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본연구 보고서, 2012.
  16. 최봉석 외, "거시계량 모형을 이용한 전력요금 파급효과 분석," 에너지경제연구, 제13권 베1호, 2014, pp23-56.
  17.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통계연보. 2015.
  18. 한기주, "주요국 제조업의 에너지소비구조.가격 및 에너지 비용 비교분석," 산업경제, 2015.10, pp38-46.
  19. 한국전력공사, 2015, 한국전력통계.
  20. 통계청, e-나라통계, 2015.
  21. Chowdhury B., "re causal relationships sensitive to causality tests," Applied Economics, Vol. 19, 1987, pp.459-465. https://doi.org/10.1080/00036848700000016
  22. Engle, R. F. and Granger, C. W. J., "ointeration and Error correction: Representation, Estimation and Testing," Econometrica, Vol. 55, No. 2, 1987, pp.251-276. https://doi.org/10.2307/1913236
  23. Granger, C. W. J., "ome Recent Development in a Concept of Causality," Journal of Econometrics 39, 1988, pp.199-211. https://doi.org/10.1016/0304-4076(88)90045-0
  24. Huang, Hwang, and Yang: Causal relation between energ and GDP growth revisited: A dynamic panel data approach, Ecological Economics vol.67, 2007.
  25. Kraft, J., Kraft,A, Note and Comments: On the relaltionship between Energy and GNP. The Journal of Energy and Development 3, 1978, pp.401-403.
  26. Phillips,P.C.B: "Testing for a unit root in time series regression", Biometrika, Vol.75, 1988.
  27. Soytas,U and R. Sari: Energy consumption and GDP: causality relationship in G-7 countries and emerging markets, Energy Economics, Vol.25, 2003.
  28. Toda, H. Y. and Phillips, P. C. "Vector Autoregressions and Causality." Econometrica, 61, 1993, pp.1367-1393. https://doi.org/10.2307/2951647
  29. Yoo and Lee: Electricity consumption and economic growth: A cross country Analysis, Energy Policy 38,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