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Dietary Education Program Based on Learning Cycle Model for Young Children'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Behavior, Science Process Skill and Scientific Attitude

순환학습모델에 기반한 유아 식생활 프로그램이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Jang, Suk Hyun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Myong Ji University) ;
  • Kim, Ji Hyun (Dept. of Child Development & Education, Myong Ji University)
  • 장숙현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학과) ;
  • 김지현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 Received : 2017.10.30
  • Accepted : 2017.12.22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using a dietary education program based on learning cycle model has any significant effect on enhancing their nutrition knowledge, dietary behavior, science-process skill and scientific attitud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hildren in H and G daycare center in G City. The experiment group of this study was 16 children in the class of five-year-olds and 7 children in the class of four-year-olds who passed their birthday and became five-year-olds in H daycare center. The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and Pared t-test was conducted using SPSS WINDOWS 20.0 program. The results of applying dietary education program were as follows. Experimental group indicated enhancements between pre and post test of Nutrition Achievement Test, Nutrition Quotient for Preschooler, Science Process Skill and Scientific Attitude Assessment compare to comparative group.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the dietary education program does have effects on enhancing of nutrition knowledge, dietary behavior, science process skill and scientific attitud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study dietary related factors that present importance of health dietary life of young children and need to provide educational experience of healthy diet for young children.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바람직한 식생활을 형성하기 위해 개발된 순환학습모델에 기반한 식생활 프로그램이 유아의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G시에 위치한 H어린이집 만 5세반 유아 16명과 만 4세반 유아 중에서 생일이 지나 만 5세가 된 유아 7명을 실험집단으로, G어린이집의 만 5세반 유아 17명과 만 4세반 유아 중 만 5세가 된 유아 7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효과에서 두 집단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 WINDOW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 식생활 프로그램 실시여부를 독립변인으로,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및 과학적 태도의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및 과학적 태도의 사후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고,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각각의 사전 사후 검사시기에 따른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과학적 태도의 실제적인 향상이 있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과학적 태도의 사전 사후 점수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순환학습모델에 기반한 식생활 프로그램이 유아의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과학적 태도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보육현장에 적용 가능한 식생활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현장 교사가 식생활과 관련하여 겪는 어려움을 지원하고, 식생활과 관련된 변인들과 관련한 연구를 통해 유아기 식생활의 중요성을 제시하며 유아들이 기관에서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식생활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형숙(2002). 소아비만에 관한 문헌 고찰. 한국체육학회지, 41(5), 927-943.
  2.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가족부(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권영례(2015). 유아과학교육. 서울: 학지사.
  4. 권영주(2015). 실천 문제 중심 학습을 적용한 녹색식생활 교육이 유아의 영양지식 및 식생활태도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경아, 이현진, 김영숙(2007). 일상생활의 대화에서 나타난 아동의 생물 지식 발달. 한국심리학회지, 20(3), 57-81.
  6. 김길숙(2016). 유치원.어린이집에서의 영양.식생활 교육과 신체활동 현환 및 문제점. 육아정책연구소.
  7. 김미지(1993). 소화에 대한 중학생 성취도에 미치는 순환 학습과 전통적 설명식 학습의 효과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상희, 김옥선, 최해연, 박수선, 권수연(2013). 아동영양학. 서울: 파워북.
  9. 김선영, 강의정(2007). 유아의 연령과 성별 및 비만도에 따른 놀이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7(2), 73-89.
  10. 김순식(2016). 탐색을 강조한 순환학습이 초등학생들의 과학학습 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1), 54-64.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1.54
  11. 김승희(2015). (교수-학습 모형과 방법을 활용한) 유아과학교육. 서울: 학지사.
  12. 김일옥, 최경순(2011). 아동영양학. 고양: 공동체.
  13. 김정미, 안지영(2015). 학습주기를 활용한 건강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건강 인식, 지식 및 실천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20(6), 379-403.
  14. 김정원, 최정옥(2006). 가정과 연계된 요리활동이 유아의 기초과학개념 및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7(2), 39-53.
  15. 김주나(2015). 구성주의 요리활동이 유아의 호기심과 과학과정기술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김진희(2012). 아동의 과체중, 비만과 정신건강문제의 관계-집단따돌림의 매개효과. 한국아동복지학, 40(7), 201-228.
  17. 노은호, 김정신(2007). 유아 편식지도를 위한 통합적 요리프로그램 개발. 한국보육학회지, 7(1), 81-93.
  18. 노은호, 김정주(2004). 통합적 유아 조리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4(1), 85-107.
  19. 동효관, 송미영, 신영준(2010). 5E 순환학습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 성취도와 탐구 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29(4), 567-575.
  20. 류희자(2007). 요리활동이 유아의 영양지식 및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박고운, 김선영(2011). 구성주의 접근의 요리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2(1), 141-156. https://doi.org/10.5723/KJCS.2011.32.1.141
  22. 박금희(2001). 유아요리활동을 통한 영양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1), 127-145.
  23. 박진성(2009). 가정과 지역사회를 연계한 유아교육기관의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엄정애, 이성희(2004). 유아교사의 유아 영양에 대한 태도 및 영양지식의 정도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4(3), 5-22.
  25. 위성백, 백성혜(1997).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순환학습 모형의 적용이 과학 개념과 탐구능력 및 흥미.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16(1), 11-24.
  26. 유경숙(2000). 구성주의에 기초한 밀가루점토활동 구성방식에 따른 유아의 과학적 개념, 과정기술 및 태도의 차이분석. 유아교육학논집, 4(1), 175-197.
  27. 유윤영(2011). 지식구성의 특정 영역적 관점에서 본 영유아기 생물이론 발달에 대한 논의. 한국보육학회지, 11(2), 173-196.
  28. 윤영주(2008). 초등학생의 인체에 관한 선개념 유형별 5E 순환학습모형의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경민(2001). 상호작용적 교수법에 의한 과학교육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 탐구능력, 태도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21(4), 261-284.
  30. 이미영(2011). 5E 순환학습모형을 적용한 중학교 1학년 '식물의 영양' 단원 수업 모듈 개발 및 적용 효과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신숙(2005). 구성주의에 기초한 요리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연정, 이혜진, 이경혜(2014). 16 차시 식생활 교육이 중학생의 식행동과 영양지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7(5), 826-836. https://doi.org/10.9799/ksfan.2014.27.5.826
  33. 이정숙, 강명희, 곽동경, 정해랑, 권세혁, 김혜영, 황지윤, 최영선(2016). 취학전아동 대상 영양지수 개발. 한국영양학회지, 49(5), 378-394.
  34. 이현정(2007). 구성주의 이론에 근거한 전통식문화교육 과정 안 개발 : 요리활동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임춘금, 이순영, 연선영(2003). 학습주기에 따른 유아교사의 교수행동 유형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3(1), 127-140.
  36. 장진숙(2012). 인천지역 초등학교 고학년의 식행동 및 영양지식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37. 정연희(2006). 요리활동에서의 과학적 탐구를 통한 유아의 이해구축과정. 유아교육학논집, 10(4), 181-200.
  38. 정은실(1999). 요리활동이 유아의 과학개념 및 영양지식개념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조유나, 최윤이(2010). 유아의 식습관이 자기 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9(1), 137-156.
  40. 조홍자(2015). 유아 과학적 탐구능력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1. 조희형, 김희경, 윤희숙, 이기영(2014). 과학 교재연구 및 지도법. 경기: 교육과학사.
  42. 채인숙(1994). 탁아기관 유아와 교사를 위한 영양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최용득, 김명숙(2010). 영유아의 건강과 영양. 서울: 파란마음.
  44. 최인숙(2000). 유아과학교육. 서울: 학지사
  45. 최재숭(2004). 순환학습 모형이 과학적 태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하지영, 김양은(2014). 보육교사의 영양지식, 급식태도와 급식지도 행동과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4(4), 71-85.
  47. 홍미애, 최미숙, 한영희, 현태선(2010). 보건소 영양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영양지식, 식습관 및 부모의 식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5(5), 593-602.
  48. 홍연홍(2014). 요리활동을 중심으로 한 유아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9. 홍혜인(2005). 중학교 2학년 전기 단원에서 순환학습 수업 전략의 개발 및 적용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황윤세(2011). 학습주기를 활용한 그림책 통합 요리활동에 따른 유아의 과학적 태도와 탐구능력의 차이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67, 245-271.
  51. Banet, E, & Nunez, F.(1997). Teaching and learning about human nutrition: A constructivist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9(10), 1169-1194. https://doi.org/10.1080/0950069970191005
  52. Cason, K. L.(2001). Evaluation of a Preschool Nutrition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Journal of nutrition education. 33(3), 161-164. https://doi.org/10.1016/S1499-4046(06)60186-3
  53. Clark, H. R., Goyder, E., Bissell, P., Blank, L., & Peters, J.(2007). How do parents' child-feeding behaviours influence child weight? Implications for childhood obesity policy. Journal of Public Health, 29(2), 132-141. https://doi.org/10.1093/pubmed/fdm012
  54. Faith, M. S., Scanlon, K. S., Birch, L. L., Francis, L. A., & Sherry, B.(2004). Parent-child feeding strategies and their relationships to child eating and weight status. Obesity, 12(11), 1711-1722. https://doi.org/10.1038/oby.2004.212
  55. Gallenstein, N. L.(2003). Creative construction of mathematics and science concepts in early childhood. association for childhood education international. Olney, MD: Association for Childhood Education International.
  56. Karplus, R., & Butts, D. P.(1977).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reason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4(2), 169-175. https://doi.org/10.1002/tea.3660140212
  57. Lawson, A. E.(1989). A theory of instruction: Using the learning cycle to teach science concepts and thinking skills. NARST Monograph, Number One. ERIC, ED324204.
  58. Lawatsch, D. E.(1990). A comparison of two teaching strategies on nutrition knowledge, attitudes and food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Nutrition Education, 22(3), 117-123. https://doi.org/10.1016/S0022-3182(12)80605-4
  59. Llewellyn, D.(2013). Inquire within. CA: Corwin Press.
  60. Marek, E. A., & Cavallo, A. M. (1997). The learning cycle: Elementary school science and beyond. NH: Heinemann.
  61. Martin, D. J.(1996). Elementary science methods: A constructivist approach. Albany, NY: Delmar.

Cited by

  1. 신체움직임을 활용한 순환학습기반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과학적 태도, 물체조작능력 및 공간능력에 미치는 효과 vol.15, pp.6, 2019, https://doi.org/10.14698/jkcce.2019.15.06.139
  2. 미취학아동 대상 영양·식생활교육의 효과 메타분석 vol.26, pp.2, 2020, https://doi.org/10.14373/jkda.2020.26.2.153
  3. 초등학생의 김치 인식이 호의적 태도와 섭취에 미치는 영향 vol.21, pp.7, 2017, https://doi.org/10.5392/jkca.2021.21.07.6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