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tion and Actual State on Cooperative Art Activities

협동미술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

  • Received : 2017.07.29
  • Accepted : 2017.09.22
  • Published : 2017.07.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actual condi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the activities of cooperative ar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80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Y city. The research method was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perception and actual condition of the cooperative art activities. For the research problems, frequency, percentage, and average were calculat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t - test, F - test, and ${\chi}^2$ - test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need for cooperative art activiti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as highly perceived,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in educational goals, contents and metho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in the actual cooperative art activities in terms of frequency, method, time, evaluation method, teacher training and suppor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various supporting methods such as activities plan and method, teacher education and training appropriate for the cooperative art activity program and the presentation of young children are sought so that more desirable and efficient cooperative art activities can be operat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uggesting that it should be done.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하는 협동미술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에 대하여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Y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교사 280명이다. 연구방법은 협동미술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에 대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를 위해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문항별로 빈도, 백분율, 평균을 산출하였으며,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t검증, F검증, ${\chi}^2$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육기관의 협동미술활동에 대한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육목표 및 내용, 방법적인 부분에 있어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동미술활동에 대한 실태에 있어서도 실제 협동미술활동에 있어 실시횟수 및 방법, 시간, 평가방법, 교사연수 및 지원 등에서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현장에서 보다 바람직하고 효율적인 협동미술활동이 운영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협동미술활동 프로그램과 유아의 발달에 적절한 활동계획 및 방법, 교사교육 및 연수 등 다양한 지원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함을 시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민, 부정민(2013). 컴퓨터를 활용한 동화 재구성 협동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3(1), 155-177.
  2.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3. 김수영(1991). 유치원 교사의 교육신념과 교수행위에 관한 연구;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4. 김숙희, 손은경(2016). 유아의 협동신체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실태 및 요구 조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3), 189-224.
  5. 김안나(2015). 협동미술활동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창의적 리더십의 변화 및 교사의 변화.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6. 김영옥(2000). 유아의 협동작업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연구: 대안적 학습형태의 설계. 유아교육연구, 20(2), 201-222.
  7. 김영옥(2001). 미술공동작업에 있어서 유아의 협동에 관한 질적연구. 유아교육연구, 21(2), 397-426.
  8. 김영옥, 오숙현(2001). 유아 협동활동의 현장적용- 미술협동작업의형태와 구성. 서울: 양서원.
  9. 김영옥, 엄정애, 최윤정, 박경희(2000). 유아사회교육의 통합적 운영. 서울: 창지사.
  10. 김영주, 김정원, 박명금, 홍기묵(2003). 유아의 통합적 발달을 위한 소집단 활동. 서울: 정민사.
  11. 김정연(2006). 협동조형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2. 박순자(2010).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적응행동 기술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3. 박인숙(2015). 동화를 활용한 배려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조절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5(4), 45-66.
  14. 박은영, 신은수, 김현진(2012). 유아의 사회적 놀이행동과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 혼자놀이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2(4), 249-268.
  15. 박일수(2005). 협동학습이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변영계, 김광휘(2002). 협동학습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17. 손기준(2010). 짝 구성방법에 의한 또래협동학습이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학습수행과 성격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0(3), 131-148.
  18. 이경민, 이은희(2017). 세대통합 유아인성교육프로그램의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7(2), 115-136.
  19. 이나영(2003). 또래 인기도에 따른 미술 협동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나영(2008). 유아의 협동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1. 이상희(2000). 자연과 수업에서 협동학습이 과학지식, 탐구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2. 이수기(2005). 협동미술 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3. 이숙희, 이주리(2000). Portfolio를 통한 표현생활영역의 유아평가. 열린유아교육연구, 5(1), 227-246.
  24. 이은화(2005).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5. 이현정(2013). 협동교수학습을 적용한 유아사회교육수업의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3(1), 179-202.
  26. 정세호(2010). 또래협동에 기초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7. 전효정(2013).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리더십과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8. 조수진(2013). 만 3, 4세 혼합연령학급의 협동적 미술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9. 지성애, 박찬옥, 유구종, 조형숙 (2010).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유아미술교육프로그램 개발. 유아교육학논집, 14(5), 99-133.
  30. 최기영, 전명자(1994). 유치원의 대집단활동을 통한 약속 정하기에 관한 참여관찰 연구. 교수논총, 10(2), 69-102.
  31. 한국유아교육학회(1996). 유아교육사전. 서울: 한국사전연구사.
  32. Alansari, E. M.(2006). Implementation of cooperative learning in the center for community service and continuing education at Kuwait University. Australian Journal of Adult Learning, 46(2), 264-282.
  33. Brodkin, A. M.(2007). "I do it better": Working with the child who is always competing for attention. Early Childhood Today, 21(4), 17-19.
  34. Dollman, L., Morgan, C., Pergler., Russell, W., & Watts, J.(2007). Improving social skills though the use of cooperative learn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int Xavier University, Chicago, Illinois.
  35. Foyle, H. C., ,Lyman, L. & Thies, S. A.(1991). Cooperative learning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of the United States.
  36. Gillies, R. M.(2003). Structuring cooperative group work in classrooms.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9(1-2), 35-49. https://doi.org/10.1016/S0883-0355(03)00072-7
  37. Gillies, R. M.(2007). Cooperative learning: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CA: Sage Publications.
  38. Johnson, D. W., & Johnson, R. T.(1994). Learning together and alone: Cooperative, competitive, and individualistic learning. MA: Allyn and Bacon.
  39. King, N.(2007). Developing imagination, creativity, and literacy, through collaborative story making: A way of knowing. Harvard Educational Review, 77(2), 204-227. https://doi.org/10.17763/haer.77.2.0u63476x37122g67
  40. Koster, J. B.(2001). Growing artist teaching art to young childrens:(2nd ed). NewYork: Delmar.
  41. Mayesky, M.(2004). Creative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New York: Delmar Publisher.
  42. Moran, J. D.(1990). Creativity in young children. ERIC/EECE Digests related to the education and care of children from birth through 12 years of age. IL: ERIC Clearinghouse on Elementar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319537.
  43. Pate-Clevenger, R., Dusing, J., Houck, P., & Zuber, J.(2008). Improvement of off-task behavior of elementary and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the use of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int Xavier University, Chicago, Illinois.
  44. Sapon-Shevin, M.(2004). Introduction. In E. G. Cohen, C. M. Brody & M. Sapon-Shevin(Eds.), Teaching cooperative learning.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45. Sapon-Shevin, M. & Cohen, E. G.(2004). Conclusion. In E. G. Cohen, C. M. Brody & M. Sapon-Shevin (Eds.), Teaching cooperative learning.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46. Schirrmacher, R., & Fox, J. E.(2012). Art and creative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7th). NY: Delmar Pub.
  47. Walker, L.(2005). Reading stories to change the world. Principal Leadership, 6(2), 42-47
  48. Young, S.(2008). Collaboration between 3-and 4-year-olds in self-initiated play on instru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7(1), 3-10. https://doi.org/10.1016/j.ijer.2007.1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