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lf-Encouragement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Entry Motivation and Teaching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교직수행능력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 Lee, Hyun Ju (Devision of Teacher Training Course, Pai Chai University)
  • Received : 2017.07.03
  • Accepted : 2017.09.22
  • Published : 2017.07.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entry motivation and teaching competence by examining the role of self-encouragement as a mediator. Data were collected from 202 students at university(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Daeje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ing competence level by self-encouragement and teaching entry motivation styles. Second, It was also found that students with intrinsic motivation conceived higher teaching competence than others. The more students self-encouraged, the higher teaching competence they conceived.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elf-encouragemen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teaching entry motivation and teaching competence. Also, it was analyzed that the self-encouragement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insic teaching entry motivation and teaching competence. Finall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of the teaching entry motivation styles and of the importance of the self-encouragement.

본 연구는 4년제 대학에서 유아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202명의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교직선택동기(내재적, 외재적) 수준과 자기격려 수준에 따른 교직수행능력의 차이를 분석하고, 교직선택동기와 교직수행능력의 관계에서 자기격려가 매개효과를 갖는지 분석하는데 주된 목적을 두고 있다.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Baron과 Kenny(1986)의 절차에 따라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여기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재적 교직선택동기 수준이 높고, 자기격려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교직수행능력을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5). 그러나 외재적 교직선택동기 수준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내재적 교직선택동기와 교직수행 능력의 관계에서 자기격려는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z=7.64, p<.001). 이 때, 교직수행능력에 대한 독립변인과 매개변인의 전체효과는 직접효과와 간접효과가 더해져 상당히 증가하였다. 셋째, 외재적 교직선택동기와 교직수행능력의 관계에서 자기격려는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z=4.24, p<.001). 즉, 외재적 교직선택동기의 교직수행능력에 대한 직접효과는 사라지고 자기격려를 매개함으로써 교직수행능력에 대한 간접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유아교사양성 직전교육과정에서부터 교직선택동기에 따른 차별화된 상담과 생활지도의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자기격려가 긍정적 심리적 기제로 작용함으로써 개인의 부정적 심리적 특성을 완화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호, 홍혜영(2012). 부모애착과 불안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 청소년학연구, 19(7), 51-77.
  2. 구신실(2015). 특수학교 교사의 교직선택 동기와 교직헌신도의 관계. 특수아동교육연구, 17(4), 189-210.
  3. 권보영(2013). 영어교사의 교직 선택 동기 및 효능감 수준 분석: 국어 및 수학교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홀리스틱교육연구, 17(1), 1-24.
  4. 김경철, 정혜승(2016).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교직적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1(6), 135-153.
  5. 나종남(1987). 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노안영, 정민(2007). 자기격려-낙담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3), 675-692.
  7. 박지연(2012). 부모연계 격려집단상담이 초등학교 아동의 학업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박희영(2014). 예비유아교사의 교직 적성 및 교직선택동기가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심복심(2012). 부정적 생활사건 경험으로 인한 스트레스, 분노 및 공격행동 간의 관계: 자기격려와 타인격려의 완충효과.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연합뉴스(2016, 12, 20). 학생 희망직업 1위 '교사'...보안전문가 등 IT직종 약진.http://www.yonhapnews.co.kr에서 2017년 6월 6일 인출.
  11. 오수진, 장영숙(2011). 공립유치원 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직무만족도 및 직무능력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3), 1-24.
  12. 위수경(2006). 유아교사 직업과 교사 생활에 대한연구. 육아지원연구, 1(1), 95-116.
  13. 유미림, 탁수연(2010). 예비 영.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만족기대의 인식. 한국보육학회지, 10(1), 127-141.
  14. 이선희, 곽정현(2016). 생활체육 참여 노인의 자기격려가 스포츠자신감과 운동지속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0(2), 93-107.
  15. 이쌍철, 김혜영, 홍창남(2012). 초등학교 교사의 교직 선택 동기가 직무수행 및 교사만족에 주는 영향 분석. 초등교육연구, 25(4), 239-260.
  16. 장정은(2007). 예비과학교사를 위한 교직수행능력검사의 개발과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장해순, 이만제(2017). 대학생의 부정적 평가 두려움과 스피치 불안감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커뮤니케이션학연구, 25(1), 63-83.
  18. 장현진(2016). 2016년도 진로교육센터 운영사업(IV): 진로교육현황조사(2016). 교육부.전라북도교육청.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 정순현(1998). 초등학교 여교사의 교직관과 직업만족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조남근, 양윤종(1998). 교원양성배경.교직선택동기와 직무수행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학연구, 4(2), 1-16.
  21. 조영주, 박익열(2015). 무용수행의 자기격려 인식과 차이. 한국체육학회지, 54(5), 651-662.
  22. 최병임, 홍창남(2013). 중등교사의 교직선택 동기와 교사헌신의 관계. 지방교육경영, 17(1), 21-43.
  23. 최은숙(2001). 중등교사의 교직 선택 동기와 직업 만족도와의 관계.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탁수연, 유미림(2010). 유치원교사의 교직 인식과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 한국보육학회지, 10(4), 147-166.
  25. 홍화연(2015). 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교사 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Baron, R. M., & Kenny, D. A.(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27. Depape, A-M. R., Hakim-Larson, J., Voelker, S., Page, S.. & Jackson, D. L.(2006). Self-talk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university students. Canadian Journal of Behavioural Science, 38(3), 250-260. https://doi.org/10.1037/cjbs2006012
  28. Dinkmeyer, D., & Losoncy, L.(1996). The skills of encouragement. Delray Beach, FL: St. Lucie Press.
  29. Dinkmeyer, D., & Eckstein, D.(1996). Leadership by encouragement. New York: St. Luice Press.
  30. Ferguson, E. D.(2003). Social processes, personal goals, and their intertwining: Their importance in Adlerian theory and practice. Journal of Individual Psychology, 59(2), 136-144.
  31. Gueguen, N., Martin, A., & Rio Andrea, C.(2015). "I am sure you'll succeed": When a teacher's verbal encouragement of success increases children's academic performance. Learning and Motivation, 52, 54-59. https://doi.org/10.1016/j.lmot.2015.09.004
  32. Hatzigeorgiadis, A., Zourbanos, N., Mpoumpaki, S., & Theodorakis, Y.(2009). Mechanisms underlying the self-talk-performance relationship: The effects of motivational self-talk on self-confidence and anxiety.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10(1), 186-192. https://doi.org/10.1016/j.psychsport.2008.07.009
  33. Kolovelonis, A., Goudas, M., & Dermitzaki, I.(2011).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and motivational self-talk on students' motor task performance in physical education.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12(2), 153-158. https://doi.org/10.1016/j.psychsport.2010.09.002
  34. Oxford, R. L.(1999). Anxiety and the language learner. In Arnold, J. (2005). Affect in language learn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4th). 58-67.
  35. Pintrich, P. R.(1990). Implications of the psychological research on student learning and college teaching for teacher education. In R. Houston(Ed.), The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pp. 826-857. New York: Macmillan.
  36. Rathvon, N. W.(1990). The effects of encouragement on off-task behavior and academic productivity. Elementary School Guidance Counseling, 24, 189-199.
  37. Sinclair, C., Dowson, M., & Mcinerney, D. M.(2006). Motivations to teach: Psychometric perspectives across the first semester of teacher education. Teachers College Record, 108(6), 1132-1154. https://doi.org/10.1111/j.1467-9620.2006.00688.x
  38. Van Hecke, M., & Tracy, R. J.(1987). The influence of adult encouragement on children's persistence. Child Study Journal, 17(4), 251-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