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 및 민감성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 : 만 3~5세 담임교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Difference of Teacher-Child Interaction in Relation to Professionalism Awareness Level and Sensitivity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With a Focus on 3~5 year old Homeroom Teacher's

  • 투고 : 2017.04.19
  • 심사 : 2017.06.24
  • 발행 : 2017.04.30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 및 민감성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는 어떠한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북지역 유아교사 226명을 대상으로 전문성 인식, 민감성,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평정척도를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전문성 인식, 민감성,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연령, 경력, 학력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교사 전문성 인식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는 어떠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집단별 평균을 비교한 결과, 전문성 인식이 높은 수준의 교사는 낮은 수준의 교사에 비해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의 평균이 높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민감성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는 어떠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집단별 평균을 비교한 결과, 민감성이 높은 수준의 교사는 낮은 수준의 교사에 비해 정서적, 언어적 상호작용의 평균이 높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와 유아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의 질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며, 교사의 전문성과 민감성의 수준 향상은 교사의 전문적인 역할수행능력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veal the difference of teacher-child interaction in relation to professionalism awareness and sensitivity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 this end, we used professionalism awareness, sensitivity, teacher-child interaction as parameters for 226 early childhood teachers in Jeonbuk province. Here are the results : First,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professionalism awareness, sensitivity, teacher-child interaction in relation to the background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it differs by the age, career, educational level of the teachers. Second, we made group comparison to see the difference of teacher-child interaction depending on professionalism awareness level of teachers, and teachers with high professionalism awareness showed meaningfully higher emotional, verbal, behavioral interaction level than lower group. Third, we made group comparison to see the difference of teacher-child interaction depending on sensitivity level, and teachers of high sensitivity shows meaningfully higher emotional, verbal interaction than lower group. This result could be potential data to ameliorate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it implies that the improvement of professionalism and sensitivity level could contribute to professional performance capability of teacher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인숙(2002). 교사 반응성 프로그램이 교사 및 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고지민(2011). 걸음마기 영아-어머니 간 상호작용의 반응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곽승주(2003). 영아-교사간 상호작용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2세 영아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곽희경(2011). 유아-교사 행복감 및 자아정체감과 교사효능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권미성(2013).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전문성 수준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카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권미성, 문혁준(2013).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전문성 수준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4), 277-296. https://doi.org/10.14698/jkcce.2013.9.4.277
  7. 권세경, 연선영(2015). 교사의 감성지능과 사회적 배경 변인이 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5(4), 1-18.
  8. 김경화, 박재학(2016).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경로탐색. 한국보육학회지, 16(2), 1-16.
  9. 김기철, 신애선(2016). 영아교사의 전문성, 민감성, 행복감과 영아-교사 상호작용의 관계 및 영향력. 한국보육학회지, 16(2), 57-82.
  10. 김기철, 이선채(2016). 영아교사의 성인애착과 교사효능감 및 민감성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6(4), 201-226.
  11. 김남희(2009). 보육실습 경험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직 전문성에 대한 인식 변화. 생태유아교육연구, 8(4), 85-14.
  12. 김민선(2015).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복희(2004). 유치원 교육환경의 질적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김수미(2013). 어린이집 교사의 인성 및 전문성 발달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숙령, 김선희, 육길나, 조숙진(2006). 영아와 교사의 집단 활동 상호작용에 있어서 영아교사의 민감성에 관한 연구. 아동교육학회, 10(4), 125-150.
  16. 김안나(2014). 유치원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전문성 및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질과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4(3), 153-175.
  17. 김연수(2014). 영아 보육교사의 직무환경 및 민감성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김정원, 김유정, 배인자(2002).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의 현직교육의 실태와 요구에 관한 연구. 영유아교육연구, 5, 139-159.
  19. 김정희, 김동준(2012). 유아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직무성과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6(5), 77-96.
  20. 김지영, 윤진주(2010).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에 따른 이야기 나누기와 조형 활동의 수업 전문성평가. 한국영유아보육학, 60, 39-61.
  21. 김현지(2005).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평가 척도 개발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 1(1), 1-19.
  22. 김현지(2006).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김현지(2008). 영아-교사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보육교사 교육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김현진(2008).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에 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8(4), 17-30.
  25. 김혜정(2014). 유아교사의 애착실행모델과 교사 민감성 및 교사 효능감 간의 관계.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나은숙, 황혜경(2003). 1, 2, 3세 영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교사의 반응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2(1), 141-165.
  27. 노수래(2011).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요인. 안양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노진형(2013). 영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 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7(2), 74-93.
  29. 문영경, 최선녀(2015). 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5(2), 1-20.
  30. 민재철(2012). 유아체육교사의 행복감과 자아정체감이 교사효능감과 상호작용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박경임(2013).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이미지 관리 관계 연구.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박창현(2012). 유아교육과정 실행과 영향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변길희, 김나림(2010).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교수효능감 및 사회인구학적 변인과의 관계. 아동교육, 19(2), 87-102.
  34. 배진희(2013). 보육교사의 보육신념과 영아의 사회.정서행동간의 관계: 교사민감성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백경순(2011).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8, 223-240
  36. 백은주, 조부경(2004).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 자기 평가도구 개발. 유아교육연구, 24(4), 95-117.
  37. 서유현(2002). 유치원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손미현(2014). 유아교사의 전문성인식과 교사효능감이 유아의 학습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송미선, 김소양(2009).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4), 99-119.
  40. 신희이(2011). 영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영아교사의 민감성, 교직헌신을 중심으로.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1. 안선희(2005). 유아교사의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집단적 교사효능감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4), 147-163.
  42. 안수연(2000).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나타난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유아 상호작용.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안지송(2004).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어머니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아지각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양수빈(2016).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오연주, 한유미(2005). 스웨덴과 한국 보육교사의 직무 만족도와 전문성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2(1), 99-122.
  46. 유지연(2011).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윤주연(2013).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유아의 성별 및 보육기간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행동.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이경돈(2010). 영아보육교사의 영아발달지식과 보육효능감이 전문성 발달수준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이근주(2013). 영아전담 어린이집 교사의 전문성 증진을 위한 자율장학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0. 이미나, 장정백(2015).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과 유아인권의식의 관계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5(3), 251-264.
  51. 이선미, 차정윤, 변해윤(2009). 유아교육현장에서 요구하는 유아 교사상에 대한 질적 연구: 원장, 시설장, 유아교사와의 면담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1), 299-337.
  52. 이선희(2010). 만 1세반 자유놀이시간에서의 영아-교사의 상호작용과 교사의 민감성.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이수련(2013).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계 분석. 어린이미디어연구, 12(1), 221-239.
  54. 이수정(2008). 보육교사의 직업선택 동기, 전문성 인식 및 역할수행에 대한 연구. 남서울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55. 이숙자, 공병호, 성영화(2011).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역할수행능력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1(1), 1-18.
  56. 이숙희(2005). 보육교사에 대한 원장의 신뢰성과 보육교사의 역할수행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1), 57-76.
  57. 이영희(2008).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전문성 발달과의 관계. 중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8. 이은정(2008). 유아교사의 구성주의 인식 및 실천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상호작용.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9. 이재진, 최나야(2013). 영유아 교사의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3(3), 183-203.
  60. 이정미(2007).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대한 보육교사의 신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1. 이정숙(2003). 교사경력과 유아연령에 따른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2. 이태무(2016,2,16). 보육교사가 행복해야 아이들이 즐겁다. 한국일보 http://www.hankookilbo.com/v/b4030e8d451c4716b2b0cb017caed769에서 2016년 2월 16일 인출.
  63. 이현정(2010). 유아교사의 효능감과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4. 이현주(2015). 보육교사 효능감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5(4), 93-112.
  65. 이형민, 박성연, 서소정(2008). 어머니의 양육유형 및 민감성이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46(2), 97-111.
  66. 이희선(2004). 보육교사의 교직 전문성에 대한 인식. 한국보육학회지, 4(2), 79-90.
  67. 임동호(2012).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2(1), 1-17.
  68. 임영미, 정희정(2016).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정서노동, 정서표현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6(4), 77-105.
  69. 장현주(2004). 보육시설의 교수-학습 환경이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0. 조부경, 백은주, 고영미(2005). 유치원 교사의 발달 수준과 관련된 교사 배경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수논총, 10(2), 131-161.
  71. 채화영(2012). 육아기 맞벌이 남성의 일.가정 양립 경험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2. 최미애(2000). 유치원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3. 최선희(2008).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아 부적응 행동 간의 관계.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4. 최혜영(2004). 아동의 또래상호작용과 교사의 신념 및 행동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5. 홍은숙(2013). 영아-교사 간 상호작용에 교사의 민감성과 민감성 인식 및 영아의 적응 행동.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6. Arnett, J.(1989). Caregivers in Day-Care Centers: Does Training Matter?, Jounal of Appu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0. 541-552. https://doi.org/10.1016/0193-3973(89)90026-9
  77. Berk, L, E.(1985). Relationship of Caregiver Education to child-Orienred Attitudes, Job Satisfaction, and Behavior Toward children. Child Care Quarterly, 14(2), 103-129. https://doi.org/10.1007/BF01113405
  78. Bigelow, A. E., MacLean, K., & Proctor, J.(2004). The role of joint attention in the development of infants' play with objects. Developmental Science, 7(5), 518-526. https://doi.org/10.1111/j.1467-7687.2004.00375.x
  79. Gerber, E, B.(2003). Predictors of teacher sensitive caregiving in center-based child car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80. Hestens, L., Kontos, S., & Bryan, Y.(1993).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in child care centers varying in quality.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 295-303. https://doi.org/10.1016/S0885-2006(05)80069-9
  81. Holloway, S. D., & Reichhart-Erickson, M.(1998). The relationship of day care quality to children's free play behavior and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3(1), 39-53. https://doi.org/10.1016/0885-2006(88)90028-2
  82. Howes, C.(1997). Children's experiences in center-based child care as a function of teacher background and adult: Child ratio. Mettill-Palmer Quarterly, 43(3), 404-425.
  83. Kim & Mahoney.(2004). Family and Parental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2), 281-296.
  84. McNairy, M. R.(1988). Multiple staffing and teacher actions: The effect of team teach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30, 1-15. https://doi.org/10.1080/0300443880300101
  85. Saracho, O. N., & Spodek, B.(1993). Professionalism and the prepa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tioners.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89, 1-17. https://doi.org/10.1080/0300443930890101

피인용 문헌

  1. The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Happin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vol.22, pp.6, 2017, https://doi.org/10.24231/rici.2018.22.6.414
  2.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vol.39, pp.6, 2019,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6.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