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유아의 기초학습능력과 어머니의 성취기대불안에 따른 군집화: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어머니의 학습관여의 군집 예측가능성

Cluster Analysis by Children's Basic Learning Ability and Mother's Achievement Expectation Anxiety:Predictability of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and Mother's Learning Involvement

  • 전은옥 (가톨릭대학교 생활문화학과) ;
  • 최나야 (가톨릭대학교 아동학전공)
  • Jun, Eun Ock (Dept. of Living Culture Studie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Choi, Na ya (Dept. of Child & Family Studie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투고 : 2017.01.30
  • 심사 : 2017.03.20
  • 발행 : 2017.03.30

초록

본 연구는 취학 직전 만 5세 유아의 기초학습능력과 어머니의 성취기대불안에 따른 군집화 가능성을 살펴보고,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어머니의 학습관여가 각 군집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서울, 인천, 경기 지역 9개 유치원의 만 5세 유아 239명(남아 120명, 여아 119명)과 해당 유아의 어머니 23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비계층적 군집분석,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첫째, 유아의 기초학습능력과 어머니의 성취기대불안의 수준에 따라 '고학습능력-고기대불안', '고학습능력-저기대불안', '저학습능력-고기대불안', '저학습능력-저기대불안'의 4군집이 분류되었다. 둘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하위 요인인 '자기점검', '자기통제'와 어머니의 학습관여 하위 요인인 '존중과 사랑'은 '고학습능력-저기대불안' 군집이 '저학습능력-고기대불안' 군집보다 높고, '학업성과압력'은 '고학습능력-고기대불안' 군집이 '저학습능력-저기대불안' 군집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셋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자기점검'과 어머니의 학습관여의 '학업성과압력', '가정학습활동', '존중과 사랑'이 학습능력-기대불안 군집 구분을 예측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y of clustering using 5-year-old children's basic learning ability and mothers' achievement expectation anxiety, and compared the impact of the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and mothers' learning involvement for each cluster. The subjects were 239 children (120 boys & 119 girls) aged 5 and attending 9 kindergarten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nd also their mot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non-hierarchical (K-means) cluster analysis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child pairs were classified into four clusters of 'high learning ability-high expectation anxiety', 'high learning ability-low expectation anxiety', 'low learning ability-low expectation anxiety', or 'low learning ability-high expectation anxiety'group. Second, the level of child's self-monitoring, self-control, and mother's respect and lov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igh learning ability-low expectations anxiety' group than the 'low learning ability-high expectation anxiety' group. Also, pressure for academic achievement was higher in the 'high learning ability-high expectation anxiety' group than the 'low learning ability-low expectations anxiety' group. Third, child's self-monitoring, mother's pressure for academic achievement, home learning activities, and respect/love for child predicted the clustering using children's basic learning ability and mothers' achievement expectation anxiety.

키워드

참고문헌

  1. 곽아정(2006). 유아의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 척도의 타당화 및 학습 능력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곽효경, 이종승(2011). 유아 기본학습기능 진단검사의 성취수준 설정. 교육연구논총, 32(1), 1-20.
  3. 권재기(2001). 아동의 지각된 부모의 교육적 기대와 과외학습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경근(1996). 한국 중학생의 학업 성취 결정요인. 교육문제연구, 8, 83-103.
  5. 김남희, 황해익(2005). 유아기초학습능력검사 개발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0(4), 277-296.
  6. 김동일, 이대식, 신종호(2009). 학습장애아동의 이해와 교육(2판). 서울: 학지사.
  7. 김동일, 최종근(2004). 학습장애 조기선별을 위한 읽기 전 능력검사의 현황과 개발 방향. 교육학연구, 42(3), 275-299.
  8. 김마리아(2013). 부모의 교육적 기대수준이 자녀의 자아개념 및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2), 117-139.
  9. 김연수(2008). 어머니의 학습관여와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학업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영희, 장래수(2004). 부모의 완벽주의, 우울, 양육행동과 아동의 부적응행동. 놀이치료연구, 8(1), 118-138.
  11. 김종백, 김준엽(2009). 학업 성취 관련 요인과 자아개념을 매개로한 부모의 교육기대와 학업관여가 학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종단적 분석. 교육심리연구, 23(2), 389-412.
  12. 도현심, 이희선, 김상희, 최미경, 이사라(2011). 인간발달과 가족. 서울: 교문사.
  13. 박영신, 김의철(2003). 한국 청소년의 성취동기와 학업 성취에 대한 부모-자녀관계의 영향: 토착심리학적 접근. 청소년학연구, 10(1), 139-165.
  14. 박영신, 김의철, 정갑순(2004). 한국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가 성취에 대한 종단 연구: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사회문화제, 10(3), 37-59.
  15. 백은정, 김자경(2012). 자기점검전략이 쓰기학습장애 학생의 철자쓰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장애연구, 9(1), 67-88.
  16. 변수용, 김경근(2008).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가정배경의 영향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18(1), 39-66.
  17. 손영미(2016). 어머니의 양육불안이 자녀의 부정정서 표현에 대한 반응과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송명숙, 옥선화(2010). 취학 직전 유아기 자녀의 학업 교육에 대한 부모 신념과 참여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5(6), 361-384.
  19. 심미옥(2003). 초등학교 학부모의 자녀 교육지원활동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16(2), 333-358.
  20. 오경자, 이혜련, 홍강의, 하은혜(1997). K-CBCL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서울: 중앙적성연구소.
  21. 위지희(2014). 양육불안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위지희, 채규만(2015). 양육불안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34(4), 945-970.
  23. 이문정(2003). 어머니의 취업유모에 따른 영아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3), 173-195.
  24. 이민경(2007). 중산층 어머니들의 자녀교육 담론: 자녀교육 지원태도에 대한 의미분석. 교육사회학연구, 17(3), 159-181.
  25. 이영주(2005). 완벽주의와 특성불안이 진로 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정란(2003). 유아의 자기조절 구성 요인 및 관련 변인데 대한 구조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이정실(2011). 부모 학습관여와 자녀의 심리적 안녕감, 성취목표가 학습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임선아(2013). 부모의 양육태도가 학생의 자기조절능력과 자존감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 초등교육연구, 26(1), 121-138.
  29. 임종석(2000). 부모의 학업압력과 아동의 성취불안 및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장유진(2016). 어머니의 불안, 심리적 통제 양육과 성취관심이 유아의 과제 재도전 반응에 미치는 영향-과제수행 효능감의 매개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정명숙, 고은미(2007). 교사와 부모의 유아에 대한 학습적.일반적 기대와 유아의 기초학습수행과의 관계. 아동권리연구, 11(3), 497-514.
  32. 정현숙(2002). 학교생활에 대한 부모의 행동이 자녀의 학업동기와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조진주(2008). 청소년의 애착과 완벽주의성향이 특성불안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최순자, 심공창지, 이광형(2006). 육아불안 구조의 국제비교-한국.일본.대만 어머니의 자녀양육 의식을 중심으로. 한국일본교육학연구, 11(1), 163-176.
  35. 최은아, 이희선(2012). 어머니의 성인애착과 분이불안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2(4), 133-150.
  36. 추상엽, 임성문(2008). 부모의 성취압력과 학업 성취 간의 관계: 부모의 교육지원행동,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학업적 지연행동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15(7), 347-368.
  37.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5). 제 2차 '공교육 정상화' 정책 포럼; 초등학교 취학 직전 아동의 기초학습능력의 실태. 한국교육과정평가원(ORM 2015-7).
  38. 한성열(2008). 한국문화의 맥락에서 본 교육의식.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4(1), 33-46.
  39. 현정환(2007). 한국의 부모자녀관계와 관련된 최근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보육학회지, 7(1), 95-110.
  40. 홍영주, 이지연(2012). 부모의 학업 성취압력과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 간의 관계에서 부모의 학습관여와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아동교육, 21(2), 325-342.
  41. Barkley, R. A.(1997). Behavioral inhibition, sustained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s: constructing a unifying theory of ADHD. Psychological bulletin, 121(1), 65-94. https://doi.org/10.1037/0033-2909.121.1.65
  42. Blair, C.(2002). School readiness: Integrating cognition and emotion in a neurobiological conceptualization of children's functioning at school entry. American Psychologist, 57(2), 111-127. https://doi.org/10.1037/0003-066X.57.2.111
  43. Bronson, M. B.(2000). Self-regulation in early childhood: Nature and nurture. New York: Guilford Press.
  44. Brownell, C. A., Etheridge, W., Hungerford, A., & Kelley, S.(1997). Socialization of Self-Regulation: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ver Age and Context. Paper Presented at the Biennial Meeting of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45. Gallagher, K. C.(2002). Does child temperament moderate the influence of parenting on adjustment?. Developmental Review, 22(4), 623-643. https://doi.org/10.1016/S0273-2297(02)00503-8
  46. Ginsburg, G. S., Grover, R. L., Cord, J. J., & Ialongo, N.(2006). Parenting behaviors among anxious and non-anxious mothers: Relation with concurrent and long-term child outcomes. Journal of Clinical Childand Adolescent Psychology, 35, 323-328.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3502_16
  47. Kopp, C. B.(1982). Antecedents of self-regulation: A developmental perspective. Developmental Psychology, 18(2), 199-214. https://doi.org/10.1037/0012-1649.18.2.199
  48. O'Shaughnessy, T. E., Lane, K. L., Gresham, F. M., & Beebe-Frankenberger, M. E.(2003). Children placed at risk for learning and behavioral difficulties.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24(1), 27-35. https://doi.org/10.1177/074193250302400103
  49. Sluyter, D., & Salovey, P.(1997).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Implications for educators. New York: Basic Books.
  50. Wilhelm, S., & Steketee, G. S.(2006). Cognitive therapy for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A guide for professionals. New Harbinger Publications.

피인용 문헌

  1.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 정서표현성에 미치는 효과 vol.17, pp.2, 2017, https://doi.org/10.21213/kjcec.2017.17.2.1
  2. Mothers’ Educational Beliefs and Preschoolers’ English Learning Attitudes: The Mediating Role of English Experiences at Home vol.10, pp.4, 2017, https://doi.org/10.1177/2158244020970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