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World Cultures' Project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Caring Thinking

세계 여러나라 프로젝트 활동이 유아의 다문화 수용성과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7.01.19
  • Accepted : 2017.03.20
  • Published : 2017.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World Cultures' project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caring thinking. This study's research questions are: 1) How do 'World Cultures' project activities affect young children'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2) How do 'World Cultures' project activities affect young children's caring thinking? The participants were thirty-five five year olds in a day care center in Y city, Gyounggi-do and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World Cultures' project, whereas the control group performed activities of 'Fall' and 'World Cultures' themes of Nuri Curriculum. The measurement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was developed by Kim and Jung (2010)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for young children by Bak (2013). The instrument of caring thinking originated with Lipman (2003) and was translated and modified by Lee (2007).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Win 18.0, and t-tests were performed to compare the means of the two groups. Results of this study are: first,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multicultural openness and multicultural relationship skills between the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score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empathy.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 thinking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score for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e score for the comparative group. This result verified that "World Cultures" project activities show a positive impact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the proper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foreign cultures. In addition, the project activities have a positive impact on caring thinking, which was related, not only to understanding and accepting other races, but also to respecting and understanding others' emotions.

본 연구는 다문화 시대를 살아가는 유아들에게 필요한 타인종과 타문화에 대한 바른 이해와 수용에 기초한 배려적 사고 형성의 중요성을 근거로, 세계여러나라 프로젝트 활동이 유아의 다문화 수용성과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Y시에 소재한 A어린이집의 만5세 유아 35명이며, 세계여러나라 프로젝트 활동을 경험하는 실험집단과 누리과정의 생활주제로 운영하는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세계여러나라 프로젝트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가 생활주제로 수업한 통제집단의 유아보다 다문화 수용성의 하위영역 중 다문화 개방성과 다문화 관계형성 능력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배려적 사고에 있어서도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세계여러나라 프로젝트 활동은 유아의 다문화 수용성과 배려적 사고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수영(2009). 다문화교육 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 강희경(2013). 동화를 통한 유아의 배려적 사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2012). 5세 누리교육과정 해설서.
  4. 구정화, 박윤경, 설규주(2009). 다문화교육 이해. 서울: 동문사.
  5. 김미연(2012). 다문화적 접근에 의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6. 김미영(2008). '혼혈'에 대한 편견감소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프로젝트 접근법을 중심으로. 청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7. 김미진(2010). 아동의 다문화수용성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8. 김미진, 정옥분(2010). 아동의 다문화 수용성 척도개발과 타당화 연구. 인간발달연구, 17(4), 69-88.
  9. 김범수, 김현희, 정명희(2010). 알기 쉬운 다문화교육. 파주: 양서원.
  10. 김서진(2014). 철학놀이 활동이 유아의 도덕성, 배려적 사고 및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 강릉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1. 김선희(2015). 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육태도가 다문화 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9(6), 199-220.
  12. 김유정, 남 규, 이정아(2013). 다문화 교사교육 이후 그림책으로 하는 다문화교육의 실시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 한국보육학회지, 13(4), 73-101.
  13. 김혜경(2013). 유아의 흥미가 반영된 식물기르기 활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 및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4. 김환남, 이선애, 이은경(2013). 한국형 다문화수용성척도(KMCI)를 활용한 보육교사와 예비교사의 다문화수용성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3(2), 123-144.
  15. 류방란, 김경애(2014). 중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교육 인식. 다문화교육연구 7(3), 87-111.
  16. 문성은(2013). 유아교사의 다문화 수용성이 다문화교육 실제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7. 민무숙 외(2010). 한국형 다문화 수용성 진단도구 개발연구. 대통령 소속 사회통합위원회 연구보고, 28-31.
  18. 박경희(2016).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이 다문화교육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9. 박윤경, 성경희, 조영달(2008). 초, 중등 교사의 문화다양성과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태도. 시민교육연구, 40(3), 1-28.
  20. 박인숙(2015). 유아교사 다문화소양과 다문화교육태도와의 관계: 다문화교육 내용과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5(1), 93-111.
  21. 박재옥(2013). 통합적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유아의 다문화 수용성 및 창의적 놀이행동.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2. 박재옥, 이완정(2013). 통합적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3), 93-112. https://doi.org/10.7466/JKHMA.2013.31.3.093
  23. 박찬옥 외(2015). 유아 다문화 교육. 서울: 창지사.
  24. 박찬옥, 이예숙(2010).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내용 및 방법 분석. 유아교육학연구, 14(6). 383-403.
  25. 박찬옥, 한지희, 이예숙(2011). 다문화 교육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 29(2), 157-179.
  26. 박현지(2015). 인성동화를 활용한 협동활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청구논문.
  27. 배지현(2013). 시민교육을 위한 '글로벌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적용에 관한 실행 연구. 다문화교육연구, 6(2), 59-81.
  28. 배화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2008). 교재교구를 활용한 다문화 교육의 실제. 서울: 다음세대.
  29. 석창훈(2011). 동아시아 신화의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다문화이해교육 연구. 다문화콘텐츠연구, 10, 195-213.
  30. 성용구, 송의열, 정혜승(2014). 유아 다문화교육의 이해. 서울: 태영출판사.
  31. 소성숙, 박승순(2012). 다문화적 반편견 미술활동이 유아의 편견개념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2(4), 25-43.
  32. 손경란(2012). '세계여러나라' 프로젝트를 통한 다문화교육이 유아의 창의성, 대인 문제해결력과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3. 신현경(2009). 유아기에 적합한 다문화교육: 유아교육기관의 다문화교육활동 사례. 다문화콘텐츠연구, 2(7), 81-97.
  34. 신혜경(2006). '유아철학놀이' 프로그램의 이해를 높이기 위한 부모교육의 효과.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5. 양옥승(1997). 유아교육과정 연구의 재개념화 III: 다문화주의의 적용. 교육연구, 5, 49-66.
  36. 양옥승(2010). 유아 다문화교육: 다문화주의의 의미와 적용. 유아교육연구, 30(4), 305-318.
  37. 유승희, 성용구(2011). 프로젝트 접근법: 레지오 에밀리아의 한국적용(개정판). 파주: 양서원.
  38. 육경민(2016). 중등교사의 다문화교육 태도 및 실천효능감에 대한 통합적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39. 윤갑정, 고은경(2011). 유아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를 통해 본 유아 다문화교육.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1), 233-257.
  40. 이강훈(2016). 교사 다문화 태도와 유아 다문화 인식의 관계에서 교사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6(1), 21-51.
  41. 이규림(2011).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 다문화교육이해 및 태도의 관계: 다문화교수 효능감의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42. 이규림, 김영옥(2012). 유아교사의 다문화 감수성, 교수효능감 및 유아 다문화 인식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7(4), 299-318.
  43. 이수연(2013). 감성능력 증진 프로그램 적용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 및 도덕적 판단력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4. 이승은(2014).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가정 유아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4(1), 139-164.
  45. 이용승(2016). 다문화 수용성 제고, 왜 그리고 어떻게 해야 하는가? 현대사회와 다문화, 6(1), 1-26.
  46. 이지연(2016).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인권 교육활동이 유아의 인권의식 및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7. 이진희(2009). 프로젝트 접근법을 활용한 다문화 교육활동이 유아의 인종 편견 감소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교육, 11, 271-298.
  48. 이춘희(2007).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을 통한 유아의 배려적 사고 증진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49. 이춘희(2009). 유아의 배려적 사고 교육. 서울: 창지사.
  50. 이춘희, 정대련(2008).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을 통한 유아의 배려적 사고 증진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8(3), 225-242.
  51. 이현숙(2000). 유아교육에서의 반편견 교육의 적용. 경복논총, 4, 299-321.
  52. 이현이(2014). 다문화 프로젝트 활동이 유아의 다문화 수용성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53. 임명희, 최안복(2007). 다문화 교육과정과 관련변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보육학회지, 7(1), 1-24.
  54. 임성민(2016). 광고를 활용한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와 언어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55. 임희옥(2015). 이웃선대를 가르치는 다문화교육. 서울: 나루.
  56. 자연교육연구소(2007). 세계를 이해하는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용인: 제이솔.
  57. 장인실, 이혜진(2010).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다문화교육연구, 3(1), 55-87.
  58. 장혜진(2010). 유아를 위한 다문화교육의 새로운 방향성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4(2), 101-123.
  59. 정경자(2001). 다문화적 접근에 의한 요리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60. 정서연 외(2016).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배려적 사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6(4), 263-288.
  61. 조남두(2013). 창의적 글로벌 인재 양성을 위한 다문화교육. 서울: 동문사.
  62. 조인영(2016). 여섯 색깔 사고 모자 기법을 활용한 그림책 중심의 배려교육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63. 지옥정(2015).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프로젝트 접근법. 서울: 창지사.
  64. 지종화, 정명주, 김도경(2012). 한국의 다문화 국가 현상과 새로운 정책모형. 부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편). 다문화 수용성과 정책 (pp. 43-85). 서울: 박영사.
  65. 홍길희, 박재옥(2013). 유아 다문화교육의 실제. 서울: 창지사.
  66. Boutte, G.(1999). Multicultural education: Raising consciousness. Bolmont, C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67. Derman-Sparks, L.(1993). Empowering children to create a caring culture in a world of differences. Childhood Education, 70(2), 66-71. https://doi.org/10.1080/00094056.1993.10520994
  68. Derman-Sparks, L., & the A. B. C. Task Force. Anti-Bias Curriculum: Tools for empowering young children. NAEYC 1989; (1999) 이경우 이은화 역. 반편견 교육과정. 서울: 창지사.
  69. Helm, J. H., & Katz, L.(2001). Young investigators: The project approach in the early years.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70. Katz, L. G., & Chard, S. C.(1989) Engaging children's minds: The project approach. Northwood, NJ: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71. Katz, L. G., & Chard, S. C.(2013). Engaging children's minds: The project approach (2nd ed.). Katz와 Chard의 프로젝트 접근법. 윤은주, 이진희 역.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72. Robles de Melendes, W. J., & Beck, V.(2007). Teaching young children in multicultural classrooms: Issues, concepts and strategies. New York: Thomson Delmar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