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the Factors Influencing on Retail-Premium

상가권리금의 가치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 Shin, Eun-Jung (Dept. Real Estate Studies, The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
  • Yoo, Seon-Jong (Dept. Real Estate Studies, The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
  • Kim, Myeong-Gi (Dept. Real Estate Studies, The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 Received : 2017.05.01
  • Accepted : 2017.06.20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In this study, collecting data in real retail-premium market and the influencing factors were extracted explored the formation of retail-premium. This should identify the level of retail-premium through an objective estimate of expenses, revenues, etc.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how the operating profit affected the formation of retail-premium. Store operators will have to be accompanied by the management of the operating profit to keep the initial payment and in order to receive a raise retail-premium. Through this proces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ap between retail-premium calculated through the appraisal and market practices. Ultimately, I believe and achieve the objective, transparent, the advancement of retail-premium market.

본 연구에서는 상가권리금의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하여 고찰하고 영향의 정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제 권리금 거래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영업이익이 권리금의 형성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결과 상가권리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월영업이익이었으며, 두 번째로 영향이 큰 변수는 월환산임대료로 나타나 권리금의 형성은 영업이익의 크기에 의하여 주로 결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권리금을 지불하고 점포를 임차하는 경우 매출, 제반 비용 등에 대한 객관적인 추정을 통해서 권리금수준을 파악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점포 운영자는 당초 지급한 권리금을 유지하고 상향된 권리금을 수수하기 위해서는 영업이익의 관리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법제화 이후 상가권리금 제도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권리금에 대한 인식의 대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통하여 시장관행상 형성된 권리금과 감정평가를 통해 산정한 권리금과의 괴리를 방지하고 권리금 시장이 객관화, 투명화, 선진화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오승. 2010. 상가건물의 권리금에 관한 연구. 비교사법. 17(4):111-140. (Kwon Oh Seung. 2010. A Study on the Foregift of Business Building Comparative Private Law . 7(4):111-140.)
  2. 김기진. 2006. 영업용 건물의 임대차에 수반하여 지급된 권리금에 대한 판례비평. 법학연구. 14(2):251-265. (Kim Ki Jin. 2006. Criticism of Related Judgment on the right of payment for the lease in Business Building. Legal Research. 14(2):251-265.)
  3. 김철호, 정승영. 2010. 상가권리금의 특징에 관한 연구: 단지 내 상가를 중심으로. 부동산학보. 한국부동산학회. 41:138-148. (Kim Chol Ho, Jeong Seung Young. 2010.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oodwill- Evidence from Retail in Apartment Complexes. Real Estate School Newspaper 41:138-148.)
  4. 김학환, 정승영. 2010. 부동산중개사무소의 상가권리금 결정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보. 43:91-101 (Kim. Hack Hwan . Jeong. Seung Young. 2010.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Real Estate Office's Goodwill. Real Estate School Newspaper. 43:91-101)
  5. 박준모. 2014. 상가권리금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주거환경. 12(4):23-37. (Park Jun Mo. 2014. An Empirical Study on Determinants of Goodwill in Retail Store. Journal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stitute of Korea. 12(4):23-37.)
  6. 양기철. 2014. 상가권리금 가치산정 방안. 권리금 법제화에 따른 권리금가치 산정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부동산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p. 23-58. (Yang Ki Chul. 2014. How to calculate the right value of the goodwill by estimation of the value of Goodwill in Retail Store and the legalization of the right price. Korean Society for Real Estate and Information Science. The fall conference Resources. p. 23-58.)
  7. 이덕진. 2011. 상가권리금의 감정평가에 관한 연구: 역삼동,신월동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Lee Duck Jin. 2011. A Study on the Appraisal of Premium on Commercial Building Lease : Focused on the case of Yeoksam-dong and Sinwol-dong[Thesis]. The University of Seoul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
  8. 임윤수. 2014. 상가권리금의 거래행태 분석 및 법제화 방안. 법학연구. 56:309-326. (Yim Yoon-Soo. 2014. An Analysis of Shopping district Premiums and Legislative Measures. Legal Research. 56:309-326.)
  9. 정주희. 2014. 상가권리금 법제화와 보상. 한국부동산연구원. 이슈브리핑 13:2 (Jung Ju Hee. 2014. Issues on legalization of the store key money and compensation. Korea Real Estate Research Institute. Issue Briefing 13:2)
  10.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개정안 마련. 2014. 9.24. 법무부 보도자료. (The Revision of a law for protection of commercial building tenants. 2014. 9. 24. Ministry of Justice 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