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3-D Flow Model for Porous Media with Scenario-based Ground Excavation

지반굴착 시나리오 기반의 다공성 매질에 대한 3차원 유동해석모델 구축

  • Cha, Jang-Hwan (Infra Research Institute, INCITY CO., LTD.) ;
  • Lee, Jae-Young (Infra Research Institute, INCITY CO., LTD.) ;
  • Kim, Woo-Seok (Geotechnical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 차장환 ((주)인시티 인프라연구소) ;
  • 이재영 ((주)인시티 인프라연구소) ;
  • 김우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소)
  • Received : 2017.06.12
  • Accepted : 2017.06.27
  • Published : 2017.07.05

Abstract

In recent years, ground subsidence has been frequently occurred by underground cavities due to the excessive groundwater inflow, caused by poor construction and management, during tunnel excavation and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In this study, a numerical model (SEEFLOW3D) was developed to estimate groundwater fluctuations for saturated-unsaturated poros media, evaluates the impact on ground excavation with open cut and non-open cut scenarios. In addition, the visual MODFLOW was applied to demonstrate the verification of the model compared with both results.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RMSE and NRMSE was obtained to range over -3.95~5.7% and 0.56~4.62%, respectively. The developed model was expected to estimate groundwater discharges and apply analysis tool for optimum design of waterproof wall in future.

최근 도심지에서 상하수도 등의 지중매설관 노후 및 접합 불량에 따른 누수에 의해 일어나거나, 터널굴착 및 지하구조물 시공 시 부실시공 또는 관리 부실로 인한 지하수의 유입으로 지중공동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지반침하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포화-불포화 다공성 매질에 대한 지하수 변동을 예측할 수 있는 수치모델(SEEFLOW3D)을 개발하였으며 개착식 및 비개착식 굴착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지반굴착에 따른 영향을 모사하였다. 또한, 개발모델의 검증을 위해 범용수치해석 프로그램(Visual MODFLOW)과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평균 오차는 -3.95~5.72%이며 정규화 된 RMSE는 0.56~4.62%로 나타났다. 향후 본 연구의 개발모델은 지반굴착 공사 시 지하수 유출량을 예측하고 이에 따른 차수벽의 최적 설계 등을 위한 해석툴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중휘, 박재용, 이성호, 이용일, 김준모 (2016), COMSOL Multiphysics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도시 지역 강우에 의한 포화-불포화 지하수 유동 및 지반 변형 통합 수치 모델링, 대한지질공학회 추계학술대회, pp. 73-74.
  2. 박재용, 이성호, 이용일, 김준모, 김중휘 (2016), 충적 대수층 내 지하 공동 형성에 의한 지하수 유동 및 지반 변형에 대한 초기 지하수면 위치의 영향 통합적 수치 모델링, 대한지질공학회 춘계학술대회, pp. 43-44.
  3. 전선금, 구민호, 김용제, 강인옥 (2005), 국가지하수 관측망의 양수시험 자료를 이용한 국내 대수층 특성의 통계적 분석,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0(6), pp. 32-44.
  4. 차장환, 장호준, 안현석, 주정웅, 이명재 (2014), 강변여과수의 수리지질 및 지화학적 특성 연구: 안성천지역, 춘계 지질과학기술 공동학술대회, 356.
  5. Carsel, R. F. and Parrish, R. S. (1998), Developing joint probability distributions of soil water retention characteristics, Water Resources Research, 24(5), pp. 755-769. https://doi.org/10.1029/WR024i005p00755
  6. Lin H. C., D. R. Richards, G. T. Yeh, J. R. Cheng, H. P. Cheng, and N. L. Jones (1997), FEMWATER: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Computer Model for Simulating Density-Dependent Flow and Transport in Variably Saturated Media. Report CHL-97-12, U. S. Army Corps of Engineers, 3909 halls Ferry Road, Vicksburg, MS39180-6199.
  7. van Genuchten, M. T. (1980), A closed-form equation for predicting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unsaturated soil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44, 892-898. https://doi.org/10.2136/sssaj1980.03615995004400050002x
  8. Yeh, G. T. (1987), 3DFEMWATER: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of Water Flow through Saturated-Unsaturated Porous Media. Report 2904,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 U.S.A.
  9. Yeh, G. T., J. R. Chang, J. P. Gwo, H. C. Lin, W. Martin, and D. Richards (1994), 3DSALT: A Three-dimensional Salt Intrusion Model in Saturated-Unsaturated Media. Instruction Report HL-94-1. Waterway Experiment Station, U.S. Army Corps of Engineers, Vicksburg, 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