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교육과학기술부(2011a).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
- 교육과학기술부(2011b).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 [별책8].
- 교육부(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 강현영(2012). 통계적 소양의 교육적 의미 고찰. 한국수학사학회지, 25(4), 121-137.
- 강현영, 신보미, 고은성, 이동환, 심송용, 김정자, 구나영, 정인수, 최경식, 홍지혜, 이상배 (2014). 통계교육활성화를 위한 수학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 2014A039.
- 고은성(2014). 통계 교수학습에서 스토리텔링의 적용방안.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자료집, 37-49.
- 고호경, 김응환, 양순열, 권세화, 권순학, 정낙영, 장인선, 임유원, 최수영, 이성재, 노솔, 백형윤, 홍창섭(2014). 중학교 수학(3). (주)교학사.
- 김남희, 나귀수, 박경미, 이경화, 정영옥, 홍진곤 (2011).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위한) 수학교육과정과 교재연구. 서울: 경문사.
- 김세화(2013).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수학교과서 분석 및 스토리텔링 학습 지도 방안-통계단원중심으로.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원경, 조민식, 방금성, 김수미, 배수경, 오혜정, 지은정, 최형권, 황정하(2014). 중학교 수학(3). 비상교육.
- 류진하(2015). 한 초등수학영재학생이 보이는 수학적 소양에 관한 분석. 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류희찬, 류성림, 이경화, 신보미, 강순모, 윤옥교, 김명수, 조성오, 천태선, 김철호(2014). 중학교 수학(3). 천재교과서.
- 배혜진(2015). 초등수학교과서 통계영역 분석-통계적 문제해결 과정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서승희(2016). 2015개정 고등학교 과목의 대수영역 성취기준에 따른 수업 설계 및 적용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송미영, 임해미, 최혁준, 박혜영(2013).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연구 : PISA 2012 결과보고서.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 신항균, 황혜정, 이광연, 김화영, 조준모, 최화정, 윤기원(2014). 중학교 수학(3). 서울: 지학사.
- 우정호, 박교식, 이종희, 박경미, 김남희, 임재훈, 남진영, 권석일, 김진환, 강현영, 조차미, 최은자, 김준식, 허선희, 전지영, 고현주, 이정연(2014). 중학교 수학(3). 서울: 두산동아.
- 우정호(2007). 학교 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 윤현진(2009). 수학과 교육 내용 개선 방안 연구 : '이산 수학', '확률과 통계'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 이강섭, 최상기, 왕규채, 이강희, 송교식, 안인숙, 송영준, 윤상호, 김보현, 황현태, 황현균(2014). 중학교 수학(3). 서울: (주)미래엔.
- 이기용(2017). 한․미 고등학교 수학교과서 비교-통계적 소양을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이정무(2016). 수능에서 통계적 소양 평가의 가능성 모색-SAT 통계문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지, 26(3), 527-542.
- 이영하(2009). 통계적 소양의 증진방안, 교과교육 내용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워크숍.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43-61.
- 이혜연(2016). 프로이덴탈과 PISA 맥락의 유형에 따른 수학 교과서 분석 : 2009개정 교육과정 미적분 I 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장아름(2016). 통계적 사고를 중심으로 한 교과서 문항 비교 분석-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정상권, 이재학, 박혜숙, 홍진곤, 박부성, 강은주, 오화평(2014). 중학교 수학(3). 서울: (주)금성출판사.
- 조지민, 김수진, 이상하, 김미영, 옥현진, 임해미, 박연복, 이민희, 한희진, 손수정(2011). 국제학업성취도 평가 연구(PISA/TIMSS) : PISA 2012 예비검사 시행보고서.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 허민, 김선희, 도종훈, 조혜정, 조숙영, 이경은, 양서윤, 이규희, 김소연(2014). 중학교 수학(3). 서울: 대교.
- 황선옥, 강병개, 한길준, 한철형, 권혁천, 김의석, 유의종, 정종식, 김민정(2014). 중학교 수학(3). 서울: 좋은책 신사고.
- 황혜정, 나귀수, 최승현, 박경미, 임재훈, 서동엽 (2016). 수학교육학신론. 서울: 문음사.
- Franklin, C., Kader, G., Mewborn, D., Moreno, J., Peck, R., Perry, M., & Scheaffer, R. (2007). Guidelines for assessment and instruction in statistics education (GAISE) report: A pre-K-12 curriculum framework. Alexanddria, VA: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 Freudenthal, H.(1991). Revisiting mathematics education.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 Garfield, J. B., delMas, R. C., & Chance, B. L (2003). A model of classroom research in action : Developing simulation activities to improve students' statistical reasoning. Journal of Statistics Education, 7(3), 247-265.
- OECD(2013). PISA 2012 Assessment and Analytical Framework : Mathematics, reading, science, problem solving and financial literacy. OECD Publishing.
- Stein, M. K, Smith, M. S., Henningsen, M. A., & Silver, E. A. (2017). 수학과제가 수학수업을 만났을 때. (김남균, 조완영, 권성룡 역), 서울: 경문사. (영어 원작은 2009년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