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 소비자의 모바일 패션 쇼핑에서의 구매경험과 패션 쇼핑성향, 모바일 쇼핑특성, 지각된 가치

Fashion Shopping Orientation, Mobile Shopping Characteristics, Perceived Value, and Mobile Purchase Experience in Male consumer's Mobile Fashion Shopping

  • 채진미 (한성대학교 글로벌 패션산업학부)
  • Chae, Jin Mie (School of Global Fashion Business, Hansung university)
  • 투고 : 2016.12.17
  • 심사 : 2017.02.03
  • 발행 : 2017.02.28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shion shopping orientation and mobile shopping characteristics on consumer's perceived value. In addition, mobile purchase experiences of male consumers in their 20s~30s were analyzed. Questionnaires were carried out from November 10, 2015 to November 20, 2015 and 230 useful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OVA, duncan test,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21.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ashion shopping orientation of male consumers was composed of five factors, which were 'brand ostentatious orientation', 'pleasure/trend orientation', 'economic orientation', 'impulse orientation' and 'time-saving orientation'. Second, mobile shopping characteristics were divided into three factors including 'ease of use', 'personalization', and 'security'. Third, fashion shopping orientation factors such as 'pleasure/trend orientation', 'economic orientation', and 'time-saving orienta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erceived value, while all the factors of mobile shopping characteristics affected the perceived value significantly.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classsified groups based on the level of purchase frequency and the period of using mobile shopping mall in fashion shopping orientation factors.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 classified by the level of purchase frequency in mobile shopping characteristics factors. These results suggested the differenciated strategies for customer management to make male consumers lead to mobile purchas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규동, 유영목, 김정래. (2013). 모바일 커머스 특성 인식이 모바일 쇼핑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13(6), 297-303.
  2. 김민기. (2004). 모바일 커머스 이용 소비자의 특성과 구매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본수, 배무언. (2010). 인터넷 오픈마켓의 e-서비스 품질이 지각된 가치, 고객만족 및 e-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15(4), 83-101.
  4. 김세희. (2005). 의복 쇼핑 성향의 개념적 구조 모형에 대한 타당성 확인 연구: 성별에 따른 세부 구조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9(3/4), 535-546.
  5. 김여원, 최종명. (2009). 디지털세대 남성소비자의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패션트렌드 수용도와 패션정보원. 복식문화연구, 17(2), 238-254.
  6. 김용숙. (2009). 남성들의 패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향수 구매 및 사용행동. 한국생활과학회지, 18(4), 933-944. https://doi.org/10.5934/KJHE.2009.18.4.933
  7. 김주희, 박옥련. (2005). 남성소비자의 패션의식에 따른 쇼핑행동연구: 구매행동, 쇼핑성향, 정보원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14(1), 167-178.
  8. 김지현, 홍금희. (2000). 남성집단의 의복추구혜택에 따른 쇼핑성향과 정보원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1), 43-54.
  9. 노현지, 정성지. (2004). 20-30대 남성 소비자의 의복구매행동수준에 따른 쇼핑성향과 정보원 활용에 관한 연구. 디자인포럼21, 7, 19-38.
  10. 문태현. (2003). 한.일 모바일상거래 소비자 이용행태 비교 연구. 창업정보학회지, 6(3), 267-291.
  11. 박인택. (2014). 모바일 상거래(Mobile Commerce)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성희원. (2013). 패션 앱을 이용한 모바일 쇼핑 태도 및 사용의도 영향요인 연구: 성별과 연령집단별 차이 비교. 한국의류학회지, 37(7), 1000-1014. https://doi.org/10.5850/JKSCT.2013.37.7.1000
  13. 신수연, 김용덕. (2000). 20, 30대 성인남성의 캐주얼 의류 쇼핑 성향과 자기 이미지 및 점포 속성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8(2), 305-314.
  14. 이은경. (2007). 모바일 패션 쇼핑의 특성과 지각된 위험이 지각된 가치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개인 혁신성과 모바일인터넷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전양진, 성희원. (2008). 인터넷 패션 구매경험자와 무경험자의 특성 비교: 패션 쇼핑성향과 쇼핑사이트 서비스에 대한 태도의 차이. 한국의류학회지, 32(9), 1387-1396. https://doi.org/10.5850/JKSCT.2008.32.9.1387
  16. 정원진. (2012). 지각된 모바일 쇼핑의 가치가 쇼핑몰 충성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e-비즈니스연구, 13(5), 203-226.
  17. 정원진, 정석균. (2012). 스마트폰 사용자가 지각한 모바일 쇼핑몰의 정보보안 수준이 쇼핑몰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업경영연구, 19(4), 261-282.
  18. 정재은, 정성지. (2004). 인터넷 패션 소비자의 의복 쇼핑성향과 판촉활동에 대한 수용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8), 1037-1047.
  19. 채수한. (2013. 10. 28). 남성 고객 구매력 높아졌다. 어패럴뉴스. 자료검색일 2016. 7. 25, 자료출처 http://www.apparelnews.co.kr
  20. 채진미. (2015). 패션 쇼핑성향 유형별 모바일 커머스 특성 인지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예술포럼, 20, 441-453.
  21. 채진미. (2016). 모바일 패션 쇼핑 특성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적용.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8(1), 38-47. https://doi.org/10.5805/SFTI.2016.18.1.38
  22. 통계청. (2015). 2015년 10월 소매판매 및 온라인 쇼핑 동향. 자료검색일 2016. 2. 1, 자료출처 http://kostat.go.kr
  23. 한국인터넷진흥원. (2015). 2015년 모바일인터넷 이용실태조사 요약보고서. 자료검색일 2016. 2. 1, 자료출처 http://isis.kisa.or.kr
  24. 한준형, 강성배, 문태수. (2013). 스마트폰의 지각된 가치와 지속적 사용의도, 그리고 개인 혁신성의 조절효과.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23(4), 53-84. https://doi.org/10.14329/apjis.2013.23.4.053
  25. 홍세빈. (2013). 모바일 커머스의 특성과 소비자 특성이 모바일 패션 쇼핑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Agarwal, R., & Karahanna, E. (2000). Time flies when you're having fun: Cognitive absorption and beliefs about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MIS Quartly, 24(4), 665-694. https://doi.org/10.2307/3250951
  27. Clarke, I. (2001). Emerging value propositions for m-commerce. Journal of Business Strategies, 18(2), 133-148.
  28. Davis, F. D., Bagozzi, R. P., & Warshaw, P. R. (1989). User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A comparison of two theoretical models. Management Science, 35(8), 982-1003. https://doi.org/10.1287/mnsc.35.8.982
  29. Howell, R. D. (1979). A multivariate examination of a patronage model: The impact of values and life styles on shopping orientatio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Arkansas, Fayetteville.
  30. Huang, D.-L., Rau, P.-L. P., & Salvendy, G. (2010). Perception of information security. Behaviour & Information Technology, 29(3), 221-232. https://doi.org/10.1080/01449290701679361
  31. Kim, H. W., Chan, H. C., & Gupta, S. (2007). Value-based adoption of mobile internet: An empirical investigation. Decision Support Systems, 43(1), 111-126. https://doi.org/10.1016/j.dss.2005.05.009
  32. Muller-Veerse, F. (1999). Mobile commerce report. London: Durlacher Research Ltd.
  33. Olson, W. P. (1997). Lessons from the new institutional economics. The Electricity Journal, 10(5), 46-60. https://doi.org/10.1016/S1040-6190(97)80529-5
  34. Siau, K., Lim, E.-P., & Shen, Z. (2001). Mobile commerce: Promises, challenges, and research agenda. Journal of Database Management, 12(3), 4-13. https://doi.org/10.4018/jdm.2001070101
  35. Sweeney, J. C., & Soutar, G. N. (2001). Consumer perceived value: The development of a multiple item scale. Journal of Retailing, 77(2), 203-220. https://doi.org/10.1016/S0022-4359(01)00041-0
  36. Westbrook, R. A., & Black, W. C. (1985). A motivation-based shopper typology. Journal of Retailing, 61(1), 79-103.
  37. Woodruff, R. B. (1997). Customer value: The next source for competitive advantage.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5(2), 139-153. https://doi.org/10.1007/BF02894350
  38. Zeithaml, V. A. (1988). Consumer perceptions of price, quality, and value: A means-end model and synthesis of evidence. Journal of Marketing, 52(3), 2-22. https://doi.org/10.1177/00222429880520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