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보텀 팬츠의 실루엣 변화와 시각적 평가

Silhouette Changes in Bell Bottom Pants and Visual Evaluation

  • 조은혜 (경성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 이영주 (경성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Cho, Eunhye (Dept. of Fashion Design & Merchandising, Kyungsung University) ;
  • Lee, Young ju (Dept. of Fashion Design & Merchandising, Kyungsung University)
  • 투고 : 2016.11.22
  • 심사 : 2017.02.10
  • 발행 : 2017.02.28

초록

A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were conducted regarding the silhouette changes in bell bottom pants and the overall visual evalu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The survey was disseminated from December 2015 to January 2016 to 245 women in their 20s living in Busan. The variables used for the silhouette changes in bell bottom pants were the volume of flare and the flare's starting point, and 20 pairs of terms were selected for visual evalu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Visual evaluations according to the volume of flare in bell bottoms indicated that females in their 20s appraised pants with a flare volume of 54 cm close to a straight silhouette and flare volume of 62 cm (recognized clearly as characteristic of bell bottom pants) to be more attractive and sophisticated than pants with flare volumes of 70 cm and 78 cm. 2.Visual evaluations according to the starting point of the flare in bell bottom pants showed that women appraised their legs as looking thinner when the flare started near the thighs. In a vertical visual evaluation, women appraised that their legs looked longer when the flare started near the knees and pants fit tightly around them. 3.The analysis of silhouette factors affecting the visual evaluation of bell bottom pants indicated that the volume of flare has more effect visually than the starting point of the flare.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윤희, 이연순, 나미향. (1998). 블루진의 설계와 피복압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6(2), 121-130.
  2. 김경희. (1993). 플리츠 스커트의 플리츠 수와 스커 트 길이 변화에 따른 시각적 평가.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경희, 소연정. (2009) 청바지 패턴제작에 따른 시각적 이미지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3(10), 1541-1551. https://doi.org/10.5850/JKSCT.2009.33.10.1541
  4. 김미정. (1987). 바지패션에 관한 고찰- 1978년에서 1987년까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선숙. (2013). 패션 주기 이론 구성을 위한 팬츠 스타일 트렌드 분석 : 1967-2012년을 대상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7(6), 86-798.
  6. 김정미. (2012). 와이드 팬츠의 시각적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4(2), 147-156.
  7. 김지영. (2005). 베이직 팬츠의 허리선 위치와 라운드 벨트 폭의 변화에 따른 시각적 평가.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나미향. (2000). 산업패턴설계. 서울: 교학연구사.
  9. 메릴린 드롱, 금기숙 옮김. (1997). 복식조형을 보는 시각. 서울: 이즘.
  10. 안인숙. (2014). 여성 스커트 길이 스타일 변화주기에 관한 연구 : 1950년부터 2013년까지 Vogue자료를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22(4), 543-554.
  11. 유지헌. (2004). 패션 주기의 터닝 포인트 분석 : Vogue 1997년과 2002년도를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2(3), 327-338.
  12. 이승렬. (2004). 이승렬의 패턴이야기2. 서울: 기술과 감성.
  13. 이영주, 최경옥. (2010). 스커트 형태에 따른 남녀 대학생의 이미지 평가.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2(5), 626-632. https://doi.org/10.5805/KSCI.2010.12.5.626
  14. 이정순. (2012). 플레어 팬츠의 바지부리 폭과 허리선 위치의 변화에 따른 시각적 평가.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4(4), 127-137.
  15. 이정순. (2013). 와이드 팬츠의 실루엣 변화에 따른 시각적 평가.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5(1), 21-30.
  16. 이정순. (2014). 벨 버텀 팬츠의 시각적 평가.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6(1), 15-25.
  17. 이형숙, 남윤자. (2007). 여성복 구성. 서울: 교학연구사.
  18. 일본문화복장학원 외 2명, 조영아 옮김. (2010). 스커트 팬츠2. 서울: 시사출판사.
  19. 임병렬. (2003). 팬츠 제도. 서울: 전원문화사.
  20. 전수정. (2015.12 25). 시대별로 즐기는 복고 패션-1970년대, 자료검색일 2016. 7.12, 자료출처 http://fashion.chosun.com
  21. 정삼호. (1998). 현대패션모드. 서울: 교문사.
  22. 정지년, 권기영. (2008). 팬츠장식의 변천과 내적 의미 연구 : 1969년부터 2005년까지 국내 잡지에 나타난 장식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6(10), 59-69.
  23. 정진숙. (2011). 여성복을 중심으로 본 한국 현대 패션의 흐름 ; 1950년대에서 현재까지. 한국콘텐츠학회, 9(2), 17-24. https://doi.org/10.20924/CCTHBL.2011.9.2.017
  24. 채금석, 千村典生. (2007). 세계패션의 흐름. 서울: 지구문화사.
  25. 최진. (2008). 부츠 컷 청바지 패턴 설계 : 3차원 가상착의평가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패션서울. (2016). 미리 보는 2016 S/S 데님트렌드. 자료검색일 2016.12.23, 자료출처 http://www.fashionseoul.com
  27. 패션전문자료편찬위원회. (1997). 패션전문자료사전. 서울: 한국사전연구사.
  28. 패션큰사전편찬위원회. (1999). 패션큰사전. 서울: 교문사.
  29. http://www.fashionnetkorea.com/
  30. http://fashionn.com/index.php/
  31. http://navercast.naver.com/
  32. http://section.blog.naver.com/
  33. http://www.auction.co.kr/
  34. https://univ20.com/
  35. http://m.blog.daum.net/
  36. http://www.donga.com/
  37. http://www.wkorea.com/
  38. http://www.missp.co.kr/
  39. http://www.dint.co.kr/
  40. http://www.vogu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