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eoul Cosmetic Retail Store from 1960s to 1990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Distribution Trends of AMOREPACIFIC-

1960년대에서 1990년대까지 서울의 화장품 판매공간 연구 -아모레퍼시픽의 유통 전략 추이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 이다솔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과)
  • Received : 2017.04.14
  • Accepted : 2017.05.25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e retail store, which appears in various ways of the modern city, is the architectural result that the merchandise is finally delivered to consume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erce based on manufacturing and distribution and the retail store as urban architecture can be understood not only from the viewpoint of economics and business administration but also the problem of the formation of urban history and urban organization. The modern industrial development in Korea had been progressed by the state led, as the manufacturing and distribution developed in turn. This social and economic situation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retail store of the city. This is different from the West, which the development has been conducted together. The cosmetics sales space,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has changed in various forms from the 1960s to the 1990s. Cosmetics brand retail shop is a corporate brand-based space, but paradoxically, it has a historical characteristic of urban architecture in that it is branding city street. This specificity of Seoul is unexplained by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Western and does not exist as a physically huge or special construction sometimes. However, it operates as a urban architecture in Seoul where the complicated.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영.배유경.이은주.김수미.김은애.안선례, 에센스 화장품학, 메디시언, 2013
  2. 김병도.주영혁, 한국 백화점 역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3. 박찬욱, 한국의 소매업태 및 업종별 유통경로, 한국생산성본부, 2014
  4. 서용구.구인경, 브랜드 마케팅, 학현사, 2015
  5. 안드레아 셈프리니, 브랜드, 이은령 역,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6. 이건호, 디자인 개론: 디자인 영역의 어휘, 디자인 운동, 산정사, 1979
  7. 이성근.배수현, 새유통관리론, 무역경영사, 1996
  8. 이우채, 마케팅원론, 도서출판 두남, 2011
  9. 최윤경, 7개의 키워드로 읽는 사회와 건축공간, 시공문화사, 2003
  10. 태평양50년사편찬위원회, 태평양50년사, 주식회사태평양, 1995
  11. 대한화장품공업협회 한국장업사편찬위원회, 한국장업사, 대한화장품공업협회, 1986
  12. 한미자, 미의 여정 샘.내.강.바다: AMOREPACIFIC 1945-2008, (주)아모레퍼시픽, 2008
  13. Peter Corrigan, 소비의 사회학, 이성룡 외 역, 그린, 2000
  14. 식품의약품안전처, 2016 식품의약품통계연보 제18호, 2016
  15. (주)아모레퍼시픽, ARITAUM 뉴스레터, 2008.9.
  16. 태평양, 난초(蘭蕉), 54-60호, 1963
  17. 태평양, 1976년 방문판매 보고서, 1976
  18. 강지은, 대형소비공간의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복합상업시설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9. 이주형, 브랜드 인지도 향상을 위한 화장품 판매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대형 백화점 화장품매장을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20. 정수아, 방문판매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1. 정혜진.신병윤.김광현, 현대 도시건축의 '가로의 내부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5권, 12호, 2009
  22. 조미나, 현대 상업공간에 있어서 표피의 투명성 표현방법과 이미지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3. Ahmed M. Alawadhi, Retail branding through sensory experience: local case-study at Chocolaterie Stam, Master's Thesis, Iowa State University, 2009
  24. 미샤 뷰티넷 (http://missha.beautyne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