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ies on the technique of cultivating Gastrodia elata using small diameter log

참나무 소경목(小徑木)을 이용한 천마재배기술 연구

  • Jo, Woo-Sik (Gyeongbuk Province Agricultural Technology Administration) ;
  • Lee, Seonghak (Gyeongbuk Province Agricultural Technology Administration) ;
  • Choi, Herim (Gyeongbuk Province Agricultural Technology Administration) ;
  • Sul, Pilgeom (Gyeongbuk Province Agricultural Technology Administration) ;
  • Lee, Suk-Hee (Gyeongbuk Province Agricultural Technology Administration) ;
  • Son, Jin Wook (Yecheon Gugsabong Cheonma) ;
  • Lim, Myeong Ho (Yecheon Agriculture Technology Center)
  • 조우식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농업환경연구과) ;
  • 이성학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농업환경연구과) ;
  • 최혜림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농업환경연구과) ;
  • 설필금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농업환경연구과) ;
  • 이숙희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농업환경연구과) ;
  • 손진욱 (예천국사봉천마작목반) ;
  • 임명호 (예천군농업기술센터)
  • Received : 2017.05.23
  • Accepted : 2017.06.28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Diversification to develop oak pruned neck utilization technology reduction of operation cost of cheonma(Gastrodia elata) farmers i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but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The soil chemistry of the plantation was very weak in 2015 when the pH was 5.7, weakly acidic and EC was 0.41 (ds/m), but the faux spring area was very sunny, but at the end of May, early June, late July And so on were at a maximum temperature of $25^{\circ}C$ or more, and underground temperature fell below freezing in late January 2016. In the content of the survey of the harvested volume, treatment with a diameter of 6 to 10 cm appeared in 1,366 g total weight and in treated plots with a diameter of 20 cm or more, appeared in 1,542 g, confirming that the number and weight of the interspaces from the small neck is higher than the practice.

참나무 전정목이용 기술개발로 재배기질의 다양화를 통한 천마농가의 경영비 절감이 연구의 목표로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천마는 한번 심으면 2~3년동안 한곳에서 재배하여야하며, 중간에 장소를 옮기기도 곤란하다. 그러므로 재배장소의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 더욱이 천마는 난과에 속하므로 과습이나 건조피해를 많이 받는 등 천마는 땅속에서 뽕나무버섯균(Armillaria gallica) 와 공생하므로 토양의 물리화학성이 매우 중요하다. 재배지의 토양화학성은 pH는 5.7로 약산성이었으며, EC는 0.41(ds/m) 로 나타났다. 나. 2015년의 경우 재배시험장소인 예천지역은 매우 가물었는데, 5월말, 6월초, 7월하순 등이 최고온도 $25^{\circ}C$ 이상이었으며, 2016년 1월 중하순에 지중온도가 영하로 떨어져다. 다. 1년차 생육상황의 경우 종균활착율은 두처리 모두 100%로 나타났고, 수량은 지름 6~10 cm 처리가 원목 1본당 52 g, 지름 20 cm 이상 처리구에서는 46.6 g으로 나타났다. 2년차 생육상태는 2016년 6월 2일에 조사하였으며 지름 6~10 cm 처리가 원목 1본당 87.9g, 지름 20 cm 이상 처리구에서는 132.6 g으로 나타났다. 라. 수확량을 조사한 내용으로 지름 6~10cm 처리가 전체무게 1,366g, 지름 20 cm 이상 처리구에서는 1,542 g으로 나타났고, 소경 목에서 자마의 숫자와 무게가 관행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참나무원목 75%, 과수전정가지 25% 조합 시 관행(참나무 원목 100%) 대비 수량이 복숭아나무 24% 증수하였고, 배나무는 동등하게 나타났다는 내용과 유사하였다. 한국에서 천마는 경상북도 상주에서 1984년 은척면 봉중리 박종구농가가 천공 접종법으로 처음 재배하였으며 이후 강원도, 경북, 전북 등지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다. 고소득 작목인 천마는 종자를 이용한 유성번식 등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Hong, Y.P., Kwon, H.Y., Yang, B.H., Lee, S.W., Kim, C.S. and Han, S.D. 2004. Genetic status of an isolated relict population of dwarf stone pine in Mt. Seorak. Kor J Forest. 93:393-400.
  2. Kim, C.S., Yu, I.Y., Kim, D.W., Kim, J.Y., Kim, J.M. and Lee, W.H. 2017. Effect of Yield and Quality for Cultivation Type and Mulching Materials on Gastrodia elata Blume. Kor J Plant Res. 30:78-87. https://doi.org/10.7732/kjpr.2016.30.1.078
  3. Kim, H.J., Ko, M.K., Yi, C.K., Sung, J.M. 1992. Short Cultivation of Armillaria mellea Mushrooms on a Sawdust medium in Polypropylene Bags. Kor J Mycol. 20:273-276.(in Korean)
  4. Oh, J.A., Lee, C.J., Cheong, J.C., Yoo, Y.B. 2012.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Armillaria spp. On the basis of ITS region sequences. J Mushroom. 10:143-149.
  5. Park, E.J., Lee H. Y., Ahn, J. K., Kim, S.T. 2010. In-flight production method for disease-free Gastrodia elata. pp. 75. Forestry Agency Report.
  6. Sung, J.M., Jung, B.S., Yang, K.J., Lee, H.K., T. Harrinton. 1995. Production of Gastrodia elata Tuber using Armillaria spp. Kor J Mycol. 23:61-70.(in Korean)
  7. Sung, J.M., Yang, K.J., Lee, H.K. and Harrigton, T.C. 1994. Studies on Korean species of Armillaria. Kor J Plant Pathol. 10:261-269.
  8. Sung, J.M., Yang, K.J., Kim, S.H, T. Harrinton. 1997. Taxonomic Study of Korean Armillaria Species based on 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NA Analyses. Kor J Mycol. 25:46-67.
  9. Yoo, Y.B., Oh, J.A., Oh, Y.L., Moon, J.W., Shin, P.G., Jang, K.Y., Kong, W.S. 2013. Investigation on ecological habitats in Armillaria gallica mushrooms. J Mushroom. 11:36-40.(in Korean) https://doi.org/10.14480/JM.2013.11.1.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