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Maejeong-Bogam (梅亭寶鑑, The Book of Treasured Mirror of Japanese Apricot Pavilion) of Dr. HAN Bangryeol

한방렬의 매정보감 연구

  • Received : 2017.05.07
  • Accepted : 2017.05.24
  • Published : 2017.05.31

Abstract

Although Maejeong-Bogam (梅亭寶鑑) is a manuscript, it has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from academia because of the clear authorship and relevant treatment methodologies. This article is the result of an extensive study on the author and the contents of the manuscript through the use of various data. This article revealed facts which include: 1) Author HAN Bangryeol (韓昉烈) is a Confucian doctor who lived in Namwon area, Jeolla province of Korea. 2) Dr. HAN's other manuscript of Bongseong-Shinbang (鳳城神方) was written before 1814. 3) Maejeong-Bogam (梅亭寶鑑) collects pediatric medical records only and is focused on outbreaks and treatment of smallpox among children. 4) Smallpox was a national concern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doctors of the day developed corresponding therapies. 5) Smallpox Inoculation was carried out in Jeolla Province as early $19^{th}$ in Korea.

Keywords

References

  1. 공정현 저. 주갑덕 역. 국역 만병회춘(하). 서울:계축문화사. 1977:331-332.
  2. 광주시립민속박물관. 1798년 광주의 과거시험.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2015:1-116.
  3. 대한감염학회. 한국전염병사. 서울:군자출판사. 200:236, 287-304, 341.
  4. 박진희. 두창경험방. 필사지미상. 개인소장본.
  5. 서울대학교 천연물연구소 편. 마진기방 마진편 마과회통. 서울:오롬시스템. 1995:571.
  6. 저자미상. 봉성신방. 필사지미상.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古7671-91-26.
  7. 저자미상. 봉성신방. 필사지미상. 개인소장본.
  8. 월리엄 맥닐 저. 허정 역. 전염병과 인류의 역사. 파주:한울. 1992:272-279.
  9. 이천. 편주의학입문 외집권지오. 전주:전라감영. 1820.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무구재 古7673-38.
  10. 임원준 등 원저, 이우성 편. 창진집(영인). 성남:아세아문화사. 1997:441-450.
  11. 청주한씨대동족보편찬위원회. 육교 정묘 청주한씨대동족보 11. 대전:회상사. 1993:58-60.
  12. 풍천노씨세보편찬위원회. 풍천노씨세보 상. 대전:회상사. 1975:106.
  13. 한방렬. 매정보감. 필사지미상.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古7671-91.
  14. 허준 저. 동의보감국역편찬위원회 역. 대역 동의보감. 서울:법인문화사. 1999:1719.
  15. 허준 저. 안상우, 권오민 역. 국역 언해두창집요(국역 허준의학전서 3). 대전:한국한의학연구원. 2011:3-176.
  16. 김상현. 두창경험방에 나타난 두창 치료의 특징과 그 의의.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6;29(4):37-52. https://doi.org/10.14369/skmc.2016.29.4.037
  17. 김중권. 매정보감: 이귀복. 선본해제 15. 서울:국립중앙도서관. 2013:107-108.
  18. 양영준, 안상우. 조선의서 증보만병회춘에 대한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06;19(2):119-143.
  19. 이선아. 19세기 고창지방 은수룡이 남긴 경험의안. 한국의사학회지. 2005;8(2):63-91.
  20. 이정현. 신규 발굴 의안 명의경험록 연구. 한약정보연구회지. 2016;4(3):51-61.
  21. 홍세영, 안상우. 우잠잡저에 관한 일고. 호남문화연구. 2009;46:277-323.
  22. 김희태. "1754년의 전통의서, 한방열의 매정보감" (2017.1.23)
  23. 안상우. (2013.8.1) "매정보감(1)" 고의서 산책(596) [민족의학신문]
  24. 안상우. (2013.8.15) "매정보감(2)" 고의서 산책(597) [민족의학신문]
  25. 안상우. (2013.8.22.) "매정보감(3)" 고의서 산책(598) [민족의학신문]
  26. 안상우. (2013.8.29.) "봉성집" 고의서 산책(599) [민족의학신문]
  27. 안상우. (2003.9.1.) "봉성신방" 고의서 산책(170) [민족의학신문]
  28. 국립중앙도서관. 자료검색DB(ttp://www.nl.go.kr)
  29.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
  30. 해남윤씨중앙종친회. 전자족보(http://www.haenamyun.com).
  31.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고전명저총서 데이터베이스(http://jisik.kiom.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