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 Factors for Predicting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수술 후 오심과 구토의 영향요인

  • Received : 2017.03.08
  • Accepted : 2017.05.11
  • Published : 2017.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nfluence factors for predicting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PONV) for postoperative 24hr. Participants were 332 general surgery(GS), neurosurgery(NS), orthopedic surgery(OS), obstetrics and gynecology(OBGY), otorhinolaryngology (ENT) surgical patients at one hospital in G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014 to December 2015,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x^2$-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non smoking (p=.011), history of motion sickness (p=.020), history of PONV (p=.001), post operative pain (p=.001) were influence factors for PONV. Preoperative intensive management of PONV is necessary if there is a history of non smoker, history of motion sickness and history of PONV before surgery, and postoperative pain should be actively intervened.

본 연구의 목적은 수술 후 24시간 동안 수술 후 오심과 구토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은 G시에 소재한 일 대학병원 일반외과, 신경외과, 정형외과, 산부인과, 이비인후과 수술을 받은 332명의 환자였다. 자료수집은 2014년 12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자료는 t-test, $x^2$-test와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 중 수술 후 오심과 구토가 발생한 유발군은 41.0%였다. 다변량 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흡연을 하지 않는 경우(p=.009), 멀미 과거력이 있는 경우(p=.016), 수술 후 오심과 구토 과거력이 있는 경우(p=.006), 수술 후 통증(p=.001)이 수술 후 오심과 구토 발생의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흡연, 멀미 과거력, 수술 후 오심과 구토 과거력이 있는 경우 수술전부터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수술 후 통증에 대한 적극적인 중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미운, "수술 후 오심 및 구토," 동국의학, 제11권, 제1호, pp. 151-156, 2004.
  2. A. C. Silva, F. O'Ryan, and D. B. Poor,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PONV) after orthognathic surgery: a retrospective study and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Vol. 64, No. 9, pp. 1385-1397, 2006. https://doi.org/10.1016/j.joms.2006.05.024
  3. T. J. Gan, T. Meyer, C. C. Apfel, F. Chung, P. J. Davis, S. Eubanks, A. Kovac, B. K. Philip, D. I. Sessler, J. Temo, M. R. Tramer, and M. Watcha, "Consensus guidelines for managing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Anesthesia and Analgesia, Vol. 97, No. 1, pp. 62-71, 2003.
  4. C. C. Apfel, E. Laara, M. Koivuranta, C. A. Greim, and N. Roewer, "A simplified risk score for predicting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conclusions from cross-validations between two centers," Anesthesiology, Vol. 91, No. 3, pp. 693-700, 1999. https://doi.org/10.1097/00000542-199909000-00022
  5. 남미옥, 윤혜상, "Ondansetron 과 Dexamethasone의 병합 투여가 복강경하 전자궁 적출술 환자의 수술 후 오심 및 구토, 통증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제39권, 제1호, pp. 44-52, 2009. https://doi.org/10.4040/jkan.2009.39.1.44
  6. G. N. Kenny, "Risk factors for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Anesthesia, Vol. 49, pp. 6-10, 1994. https://doi.org/10.1111/j.1365-2044.1994.tb03576.x
  7. 손재순, 수술 후 오심 및 구토에 대한 위험요인, 가천의과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8. 이윤영, 수술 후 자가통증조절기 사용 환자의 오심 및 구토 유발요인에 관한 예측모형,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9. A. Brack, B. W. Bottiger, and M. Schafer, "New aspects in postoperative pain theraphy," Anesthesiol Intensivmed Notfallmed Schmerzther, Vol. 41, No. 3, pp. 184-192, 2006. https://doi.org/10.1055/s-2006-925141
  10. 이성희, 홍성정, 김화선, 전영훈, "복강경 수술 환자의 수술 후 오심과 구토 관리를 위한 근거중심실무 가이드라인 적용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제27권, 제5호, pp. 481-492, 2015. https://doi.org/10.7475/kjan.2015.27.5.481
  11. 어혜정, "구강 냉요법이 복강경 수술대상자의 오심과 구토에 미치는 효과," 간호과학, 제21권, 제1호, pp. 1-10, 2010.
  12. L. A. White, M. Vanarase, K. Brockbank, and R. F. Barrett, "Patient-controlled analgesia and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efficacy of a continuous infusion of ondansetron," Anaesthesia, Vol. 56, No. 4, pp. 365-369, 2001. https://doi.org/10.1046/j.1365-2044.2001.01708-5.x
  13. F. Faul, E. Erdfelder, A. G. Lang, and A. Buchner,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 39, No. 2, pp. 175-191, 2007. https://doi.org/10.3758/BF03193146
  14. V. A. Rhodes and R. W. McDaniel, "The index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a new format of the index of nausea and vomiting," Oncology Nursing Forum, Vol. 26, No. 5, pp. 889-894, 1999.
  15. 김영재, 김지영, 최인령, 김미원, V. Rhodes, "오심, 구토, 구역질 측정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성인간호학회지, 제2권, 제2호, pp. 278-285, 2000.
  16. S. J. Seo and K. H. Kim, "Effect of low dose dexamethasone upon the prevention of postoper ative nausea and vomiting after thyroidectomy,"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 Vol. 45, No. 5, pp. 636-640, 2003. http://dx.doi.org/10.4097/kjae.2003.45.5.636
  17. 박상일, 고영권, 윤희석, 윤석화, 이원형, 이정은, "복강경하 자궁절제술 후 오심과 구토 유발 관련 요인 분석," 대한마취과학회지, 제49권, 제2호, pp. 210-215, 2005.
  18. D. H. Cho, J. S. Ko, H. J. Ahn, and J. A. Kim, "A Korean predictive model for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 20, No. 5, pp. 811-815, 2005. https://doi.org/10.3346/jkms.2005.20.5.811
  19. W. S. Beattie, T. Lindblad, D. N. Buckley, and J. B. Forrest,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in women undergoing laparoscopy is influenced by the day of menstrual cycle," Canadian Journal of Anaesthesia, Vol. 38, No. 3, pp. 298-302, 1991. https://doi.org/10.1007/BF03007618
  20. D. S. de Souza, A. F. Costa, and G. V. Chaves, "Predisposing factors for postoperative nausea a nd vomiting in gynecologic tumor patients," Sup portive Care in Cancer, Vol. 24, No. 11, pp. 4661-4667, 2016. http://dx.doi.org/10.1007/s00520-016-3311-2
  21. 김은진, 안현주, 박상현, 방시라, 최덕환, "전신 마취 환자의 수술 후 오심과 구토에 영향을 주는 위험인자," 대한마취과학회지, 제48권, 제4호, pp. 380-386, 2005.
  22. 신경림, 김옥수, 김귀본, 박지원, 소희영, 김춘길 외, 성인간호학 I, 현문사, 2010.
  23. 신영근, 나병수, 박정원, 우영철, 김진윤, 박선규, "정맥내 통증자가조절장치로 투여된 Fentanyl과 Ketorolac이 수술 후 오심 구토에 미치는 영향," 중앙의대지, 제28권, 제2호, pp. 121-126, 2003.
  24. 박선희, 장희정, "국소마취 환자의 수술시 손잡아주기, 내관지압이 불안과 통증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 378-388,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378
  25. 정미영, 최효선, 박경연, "냉요법을 이용한 수술 후 구강간호가 복강경 자궁근종절제술 환자의 오심, 구토 및 구강 불편감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제19권, 제3호, pp. 292-301, 2012. https://doi.org/10.7739/jkafn.2012.19.3.292
  26. 변순현, 복강경 담낭절제술과 개복 담낭절제술의 비용분석,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27. A. L. Kovac,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Drugs, Vol. 59, No. 2, pp. 213-243, 2000. https://doi.org/10.2165/00003495-200059020-00005
  28. 김진숙, 최하연, 박차흔, 나현우, 홍성숙, "Wrist Band를 이용한 내관 지압이 갑상선 절제술 환자의 수술 후 오심과 구토에 미치는 영향," 임상간호연구, 제13권, 제1호, pp. 79-89, 2007.
  29. 김남초, 유제복, 조명숙, 신은주, 함태수, "내관혈 지압이 통증 자가 조절(PCA)을 만족하는 부인과 수술환자의 오심과 구토 억제 및 환자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제40권, 제3호, pp. 423-432, 2010. https://doi.org/10.4040/jkan.2010.40.3.423
  30. 정경숙, 박진옥, "수술 전 정보제공이 학령전기 편도선절제술 환아 어머니의 불안, 불확실성 및 수술 후 간호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pp. 158-166,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1.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