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Choice Theory Focus Group Work on Housewives' Mental Health

선택이론 포커스 그룹 활동이 주부들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17.03.02
  • Accepted : 2017.04.27
  • Published : 2017.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choice theory focus group work on improving housewives' mental health. To achieve this goal. the book 'Warning: Psychiatry can be hazardous to your mental health' was utilized as a media to educate and debate.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24 housewives divided by 2 group. The instrument utilized were the Korean versions of Trait Anger Scale, Trait Anxiety Scale, 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instruments before, after and in 5 weeks after the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oice Theory Focus Group Work decreased trait anger, trait anxiety and depression compared to control group. Second, Choice Theory Focus Group Work increase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compared to control group. The effect of the program was significant in improving mental health of the housewives and the effect was maintained up to 5 weeks after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d that Choice Theory Focus Group Work could be effective in improving mental health.

본 연구의 목적은 선택이론 포커스 그룹 활동이 주부들의 정신건강 증진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Glasse의 저서인 '경고: 정신과 치료가 당신의 정신건강을 해친다' 를 교육 및 토론의 매체로 활용하였다. 참여자는 2개 그룹 24명의 주부들이었으며 이들 중 12명은 실험군으로, 다른 12명은 대조군으로 배정하였다. 집단 활동 시작 시기에 각 집단을 대상으로 특성분노, 특성불안, 우울 및 심리적 안녕감 척도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집단 활동 후, 그리고 5주 후 다시 같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군의 특성분노, 특성불안, 우울의 수준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험 직후 및 추후 조사에서 모두 낮았다. 둘째, 실험군의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험 직후 및 추후 조사에서 모두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선택이론 포커스 집단은 정신건강의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석만,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학지사, 2010.
  2. C. L. M. Keyes, "Promoting and protecting mental flourishing: A complementary strategy for improving national mental health," American Psychologist, Vol. 62, pp. 95-108, 2007. https://doi.org/10.1037/0003-066X.62.2.95
  3. M. E. P. Seligman, "Positive psychology, positive prevention, and positive therapy," In C. R. Snyder, & S. J. Lopez(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pp. 3-9),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4. 김현정, 긍정적 정신건강 모형의 타당화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5. C. L. M. Keyes, "Complete mental health: An agenda for the 21st century," In C. L. M. Keyes & J. Haidt (Eds.), Flourishing: Positive psychology and the life well-lived (pp. 293-312),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3.
  6. C. L. M. Keyes, "Mental illness and/or mental health? investigating axioms of the complete state model of health,"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 73, No. 3, pp. 539-548, 2005. https://doi.org/10.1037/0022-006X.73.3.539
  7. J. E. Maddux, C. R. Snyder, and S. J. Lopez, "Toward a positive clinical psychology: Deconstructing the illness ideology and constructing an ideology of human strengths and potential," In P. A. Linley & S. Josep (Eds.), Positive Psychology in practice (pp. 320-334), Hoboken, NJ: Wiley, 2004.
  8. 김지영, "강점개입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강점집단, 통합집단, 약점집단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20권, 제3호, pp. 495-513, 2015.
  9. W. Glasser, 행복의 심리, 선택이론[The choice theory: A new psychology of personal freedom], (김인자, 우애령 역), 한국심리상담연구소(원전은 1998에 출판), 2010.
  10. C. L. M. Keyes and S. J. Lopez, "Toward a science of mental health: positive directions in diagnosis and interventions," In C. R. Snyder, & Lopez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 45-59, 2002.
  11. R. E. Wubbolding, 21세기와 현실요법[Reality therapy for the 21st century], (박애선 역), 시그마프레스(원전은 2000에 출판), 2001.
  12. R. E. Wubbolding, 현실치료의 적용 II [Reality Therapy], (박재황, 김은진 역), 한국심리상담연구소(원전은 2011에 출판), 2013.
  13. 고영건, 김진영,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프로그램, 학지사, 2012.
  14. M. H. Bornstein, L. Davidson, C. L. M. Keyes, and K. A. Moore, Well-being: Positive development across the life course, New York: Lawrence Erlbaum, 2003.
  15. D. McCarthy, "Mental fitness," American Psychologist, Vol. 19, pp. 201-202, 1964.
  16. 박재황, "정신건강과 행복 증진을 위한 현실치료 상담의 접근," 현실치료연구, 제4권, 제1호, pp. 13-25, 2015.
  17.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220/en/
  18. R. E. Wubbolding, Understanding reality theraphy, New York: Harper & Row, 1991.
  19. W. Glasser, 경고: 정신과 치료가 당신의 정신건강에 피해를 줄 수 있다[Warning: Psychiatry Can Be Hazardous to Your Mental Health], (박재황 역), 한국심리상담연구소(원전은 2003에 출판), 2009.
  20. G. Corey,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조현춘, 조현재, 문지혜, 이근배, 홍영근 역), 시그마프레스(원전은 2009에 출판), 2010.
  21. 이장호, 강숙정, 집단상담의 기초: 원리와 실제, 박영사, 2011.
  22. 강둘순, 현실요법을 적용한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우울과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23. 김순업, 박재황, "현실요법을 적용한 교사 정신 건강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상담학연구, 제7권, 제3호, pp. 789-802, 2006.
  24. 박동순,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만성질환 노인의 감사성향, 무망감 우울증 및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2011.
  25. 조명실, "한국의 현실치료 연구 동향," 현실치료 연구, 제1권, 제1호, pp. 17-30, 2012.
  26. R. E. Wubbolding, 현실요법의 적용[Using reality therapy], (김인자 역), 한국심리상담연구소(원전은 1988에 출판), 2008.
  27. 서울시립대학교, 정신건강을 위한 의료비 지출액에 대한 조세지원방안 연구, 국립서울병원, 2015.
  28. C. D. Spielberger, Professional manual for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research ed.). Tamp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Inc. 1988.
  29. 전겸구, 한덕웅, 이장호, "한국판 STAXI 척도개발: 분노와 혈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2권, 제1호, pp. 60-78, 1997.
  30. 김정택, 신동균, "STAI의 한국 표준화에 관한 연구," 최신의학, 제21권, pp. 69-75, 1978.
  31. C. D. Spielberger, R. L. Gorsuch, and R. E. Lushene,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Test manual,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1970.
  32. 이영호, 송종용,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0권, 제1호, pp. 98-113, 1991.
  33.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 개념 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15권, 제2호, pp. 19-40, 2001.
  34. 김진영, 고영건, "한국인의 정신건강 교양 함양을 위한 긍정심리학적 고찰," 인문사회과학연구, 제40권, pp. 5-34, 2013.
  35. M. Argyle, 행복심리학, (김동기, 김은미 역), 학지사(원전은 2001에 출판), 2005.
  36. 이성배, 박재황, "내적 통제성과 우울 및 행복의 관계에서 부정적 기분조절 기대치의 조절효과," 교육학연구, 제31권 제2호, pp. 163-182, 2015.
  37. S. Lyubomirsky, L. A. King, and E. Diener,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Does happiness lead to success?," Psychological Bulletin, Vol. 131, No. 6, pp. 803-855, 2005. https://doi.org/10.1037/0033-2909.131.6.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