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Couple Breast-feeding Education Program for the Enhancement of Primipara Suyu

초산모 모유수유를 위한 부부교육프로그램의 효과

  • Received : 2017.02.27
  • Accepted : 2017.05.30
  • Published : 2017.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ouple breast-feeding education program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gram on breast-feeding self-efficacy, spouse support and breast-feeding satisfaction of primipara. The 3 session(20-40 min/one day) the breastfeeding spouses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an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quasi-experiment design was used. Sixty-three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 (n=32) or the control group (n=31). A pre-test and post-test were done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Effects were tested using $x^2$-test, t-test. Scores for breast-feeding self-efficacy(t=3.44, p=.001), spouse support(t=3.03, p=.004) and breast-feeding satisfaction(t=3.64, p=.001) of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program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scores. The effects of the couple breast-feeding education program for elevating breast-feeding self-efficacy, spouse support and breast-feeding satisfaction of primipara were validated. Therefore, this program can be recommended for vigorous use in clinical practice.

연구목적은 초산모 모유수유를 위한 부부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여 초산모에게 모유수유 자기효능감과 배우자 지지 및 모유수유 만족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였다. 연구대상은 임신 34주 이후에 출산하고 모유수유를 희망한 초산모였다. 모유수유를 위한 부부교육프로그램대상은 출산모 부부였으며, 프로그램은 출산 후 1일째부터 3일 동안 매일 1회 20분~40분간 총 80시간을 운영하였다. 대상자 수는 실험군 32명, 대조군 31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Win을 활용하여 $x^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서 부부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초산모는 참여하지 않은 초산모보다 모유수유 자기효능감(t=3.44, p=.001), 모유수유 관련 배우자 지지(t=3.03, p=.004), 모유수유 만족감(t=3.64, p=.001) 점수가 더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므로, 초산모의 모유수유를 위한 부부교육프로그램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을 임상실무에서 초산모 모유수유를 촉진하는 교육적 중재로 적용할 것을 권한다.

Keywords

References

  1. S. H. Chung, H. R. Kim, Y. S. Cho, and C. W. Bae, "Trends of breastfeeding rate in Korea (1994-2012): Comparison with OECD and other countries," J. Korean Medicine Science, Vol. 28, No. 11, pp. 1573-1580, 2013. https://doi.org/10.3346/jkms.2013.28.11.1573
  2. World Health Organization, Infant and young child feeding: Model chapter for textbooks for medical students and allied health professionals, Geneva, pp. 4-5, 2009.
  3. J. M. Cernades, G. Noceda, L. Barrera, A. M Martinez, and A. Gars, "Maternal and perinatal factors influencing the duration of exclusive breastfeeding during the first 6 months of life," J. Human Lactation, Vol. 19, No. 2, pp. 136-144, 2003. https://doi.org/10.1177/0890334403253292
  4. United Nations Children's Fund. Nutrition, Breastfeeding, recommendations for optimal breastfeeding, UNICEF, 2015.
  5. 이수연, 권인수, "영아모의 수유방법에 따른 어머니 역할 수행 자신감과 양육스트레스,"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2권, 제3호, pp. 231-239, 2006.
  6. 김보혈, 김진현, "빠른 젖물리기 프로그램이 모유 수유 실천율에 미치는 영향,"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제10권 제2호, pp. 97-110, 2013.
  7. J. H. Choi and M. Yu, "A study on the employment status, educational level, and breastfeeding among Korean mothers," Indian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Vol. 8, No. 26, pp. 1-6, 2015.
  8. 장군자, 김선희, 정경순, "간호사의 모유수유 지지가 모유 수유 실천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제38권, 제1호, pp. 172-179, 2008.
  9. 김윤경, 영아기 어머니의 모유수유 적응과 자기 효능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0. K. Otsuka, M. Taguri, C. L. Dennis, K. Wakutani, M. Awano, T. Yamaguchi, and M. Jimba, "Effectiveness of a breastfeeding self-efficacy intervention: Do hospital practices make a difference?," Maternal and Child Health Journal, Vol. 18, No. 1, pp. 296-306, 2014. https://doi.org/10.1007/s10995-013-1265-2
  11. 강혜련, 보건소 산전 모유수유교육에 참가한 산모들의 산후 모유수유 지식과 실천 양상,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2. 송선미, 박미경, "모유수유 임파워먼트프로그램이 초산모의 모유수유 자기효능감, 적응 및 지속에 미치는 효과," 제46권 제3호, pp. 409-416, 2016. https://doi.org/10.4040/jkan.2016.46.3.409
  13. 윤지원, 직장여성을 위한 모유수유 자기효능강 화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고려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06.
  14. 유은광, 김명희, 서원심, "모유수유 교육과 분만 후 지속적인 전화 상담에 따른 모유수유 실천률 조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8권, 제3호, pp. 424-434, 2002.
  15. 김선희, "어머니의 모유수유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5권, 제4호, pp. 270-279, 2009. https://doi.org/10.4069/kjwhn.2009.15.4.270
  16. C. L. Dennis, "Breastfeeding Indication and Duration: a 1990-2000 literature review," J. Obstetrics Gynecology and Neonatal Nursing, Vol. 31, No. 1, pp. 12-32, 2002. https://doi.org/10.1111/j.1552-6909.2002.tb00019.x
  17. 박미경, "산모수발과 신생아 돌봄을 위한 산관자의 교육요구 조사," 한국모자보건학회지, 제6권, 제2호, pp. 229-243, 2002.
  18. Cl. L. Dennis and S. Faux,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testing of the breastfeeding self-efficacy scale,"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Vol. 22, pp. 399-409, 1999. https://doi.org/10.1002/(SICI)1098-240X(199910)22:5<399::AID-NUR6>3.0.CO;2-4
  19. E. W. Leff, S. C. Jefferis, and M. P. Gagne, "The development of the maternal breastfeeding evaluation scale," Journal of Human Lactation, Vol. 10, pp. 105-111, 1994. https://doi.org/10.1177/089033449401000217
  20. W. Hatamleh, The Effect of A Breast-feeding Self-efficacy Intervention on Breast Feeding Self-efficacy and Duration, University of Cininnati, Doctoral Sissertation, 2006.
  21. 연승은, 초산모를 위한 모유수유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개발과 적용,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22. 진성희, 모유수유에 대한 배우자의 인식과 태도.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