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청소년의 통일·인성교육을 위한 전통문화와 차문화(茶文化) 적용의 탐색

A Study on the Traditional Culture and Tea Culture, for Reunification and Human Nature Education

  • 곽미숙 (성신여자대학교 생활문화소비자학과) ;
  • 주영애 (성신여자대학교 생활문화소비자학과)
  • 투고 : 2017.03.03
  • 심사 : 2017.04.05
  • 발행 : 2017.06.28

초록

70여년 남북 분단은 기성세대에서 발생하였지만, 통일은 지금의 청소년 세대가 담당하게 된다. 따라서 통일시대의 주도적 주역세력으로서의 청소년이 자기의 시대적 소임을 성실하고 책임성 있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성적인 정치 경제 이론의 학습과 연구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인성의 훈련도 필요하다. 이는 분단으로 인한 정서적 이질감과 반목을 극복할 수 있는 내적인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사회통합과 통일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완화하고 조절하며 타협할 수 있는 인성교육은 공감이 용이하며 가치 지향적이어야 한다. 남북한 공동의 역사를 바탕으로 한 전통문화는 한 민족의 정체성과 언어의 유사성을 토대로 공감이 용이하므로 통일 인성교육에 있어서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고에서는 통일과 사회 문화적 통합을 지향하는 인성교육에서 전통문화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전통문화의 구체화 된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되고 있는 차문화를 청소년의 통일 인성교육을 위해 적용 가능한 콘텐츠로서 제안하고자 한다.

The division of the South and North of 70 years has occurred in the old generation, but the reunification is now handled by the youth gener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ain basic human nature as well as learning and research of rational political and economic theory in order for young adolescents as leaders in the unification era to carry out their own duties faithfully and responsibly. In this paper, I rediscover the value of traditional culture in the human nature education that aims for reunification, social and cultural integration, and propose tea culture as contents that can be applied to reunification and the human nature education of youth as reunification culture contents as a concrete program of traditional culture do.

키워드

참고문헌

  1. 정은미, "남북한 주민들의 통일의식변화," 통일과 평화, 제5권, 제2호, pp. 74-100, 2013.
  2. 변종현, "청소년의 통일의식과 학교 통일교육의 진화," 윤리교육연구, 제29권, pp. 165-186, 2012.
  3. 오기성, "학교 통일교육의 주요 방향에 대한 성찰," 통일문제연구, 제57호, pp. 187-219, 2012.
  4. http://www.scourt.go.kr/supreme/
  5. 통일부, 2004 통일교육기본지침서, 통일부, 2003.
  6. 조휘제, 통일교육이론과 실제방법론, 선인, 2011.
  7. 통일부통일교육원, 2014 학교용 통일교육지침서, 통일교육원, 2014.
  8. 배한동, 새로운 통일교육론, 경북대학교출판부, 2009.
  9. 김형주, 권재기, 남북한 청소년 교류 및 상호이해에 대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10. 박보영, "청소년 통일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관점 전환의 필요성-학습자의 체험을 중심으로 한 자기주도학습으로-," 교육의 이론과 실천, 제15권, 제2호, pp. 69-92, 2010.
  11. 강원택, 통일 이후의 한국 민주주의, 나남출판사, 2011.
  12. 임혁백,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안보와 평화, 한울 아카데미, 2014.
  13. 홍경자, 청소년의 인성교육, 학지사, 2004.
  14. 강선보, 박의수, 김귀성, 송순재, 정윤경, 김영래, 고미숙, "21세기 인성교육의 방향설정을 위한 이론적 기초 연구," 교육문제연구, 제30집, pp. 1-38, 2008.
  15. 남궁달화, 인성교육론, 문음사, 1999.
  16. 맹소윤, 청소년 인성교육의 특성화 방향에 관한 연구-다도교육과 관련하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7. 김정효, 아동 리더십-인성교육의 열쇠-, 교육과학사, 2006.
  18. 이길표, 주영애, 1999, 전통가정생활문화연구, 신광출판사, 1999.
  19. 유태용, 문화란 무엇인가, 학연문화사, 1999.
  20. 전경수, 문화의 이해, 일지사, 1994.
  21. 조지훈, 한국문화사서설, 탐구당, 1972.
  22. 이기백, "한국의 전통문화 : 어떻게 볼 것인가 - 전통문화와 현대문화," 서강인문논총, 제7권, pp. 3-20, 1997.
  23. 주영애, 이현숙, 최배영, 박성선, 김진숙, 이향숙, 최진영, 세계의 차문화, 성신여자대학교출판부, 2011.
  24. 정영선, 한국차문화, 너럭바위, 2007.
  25. 김효은, 한국차문화 활성화를 위한 콘텐츠화 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6. 이일희, 생태적 관점에서 본 차문화 공간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27. 김완주, 차문화가 동아시아인의 공예문화관 및 조형성에 끼친 영향 연구-한․중․일 차문화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28. 정동주, 차와 차살림, 한길사, 2013.
  29. 류건집, 한국차문화 상, 이담북스, 2009.
  30. 최진영, 동다의식의 형성과 전개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31. 정서경, 한국 차문화 기능의 전승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32. 한기정, 조선후기 지식인의 차문화 연구, 보고사, 2014.
  33. 석용운, 한국다예, 초의, 2005.
  34. 초의 의순 저, 정영선 역, 동다송, 너럭바위, 2007.
  35. 육우 저, 김진숙 역, 다경, 국학자료원, 2014.
  36. 김용오, 한국의 문화와 차, 동인출판문화원, 2012.
  37. 조희선, 이순실, "다도교육이 여고생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제7권, 제1호, pp. 1-17, 2004.
  38. 백현기, "인성교육을 위한 다도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예다학, 제2호, pp. 17-26, 2016.
  39. 공귀옥, 차생활이 청소년의 심리변화에 미치는 영향-MMPI-A(다면적 인성검사)결과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40. 박경희, 다도교육이 비행청소년의 인성변화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41. 배근희, 최배영, 김길령, 청소년 예절교육, 새로운 사람들, 2006.
  42. 이성애, "다도교육을 통한 청소년의 정서 순화에 대한 연구," 한국차학회지, 제3권, 제2호, pp. 53-71, 1997.
  43. 권영민, "21세기를 향한 통일문화정책-남북한 문화 통합과 민족공동체 문화의 확립-," 문화정책논총, 제4권, 한국문화관광연구원, pp. 169-186, 1992.
  44. 오양열, 남북 문화예술교류의 성과와 과제, 통일 준비 문화관광의 역할과 과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pp. 41-56, 2014.
  45. 김구회, 정부와 민간단체의 남북한 사회문화교류에대한 비판적 분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46. 박재영, "통일을 대비한 문화유산 교육의 방향-디지털 전통문화 콘텐츠를 중심으로-," 중앙사론, 제37권, pp. 157-190, 2013.
  47. 정영선, 찻자리와 인성고전, 너럭바위, 2016.
  48. 이기문 감수, 새국어사전, 동아출판사, 1996.
  49. 임병덕, "교육의 목적으로서의 인내 : 키에르케고르의 관점," 도덕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한국도덕교육학회, pp. 1-17, 2013.
  50. http://dic.daum.net/
  51. 최성은, 배려윤리의 도덕교육적 의의와 적용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52. 임청숙, 배려의 관계에서 공감 발달을 위한 지도 방안 연구, 이화여자대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53. 정민, 조선후기 걸명 시문을 통해 본 한국 차인의 멋, 한국차학회지, 제13권 제3호, pp. 64-65, 2007.
  54. 곽미숙, 청소년의 통일.인성교육을 위한 전통문화의 재발견과 차문화의 적용,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