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apstone Design Trail in Nursing Education and Its Outcome

간호학에 적용한 캡스톤 디자인의 적용사례 및 결과

  • 문경자 (계명대학교 간호학과/간호과학연구소)
  • Received : 2017.04.25
  • Accepted : 2017.05.29
  • Published : 2017.06.28

Abstract

This study is a methodological study analyzing the results of applying capstone design to nursing education. Among the nursing college students who completed the fundamental nursing subject, the stu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were composed of the project team and proceeded as team activities. It was conducted through knowledge - team composition - topic selection / analysis - design / development - simulation - evaluation / feedback process starting from knowledge learned through fundamental nursing class.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January 1, 2015 to October 30, 2015 for 6 months. BBS (Bed Sore Socks) was developed for the prevention of pressure ulcers, and BBS was applied for seven days to randomly selected patients in the long term care facility. The incidence and pressure ulcer risk scores were assessed. The results of the pilot study showed that the intervention group had an effect on the incidence of pressure ulcer ($x^2=.40$, p = .500) and the pressure ulcer risk score (z = -.45, p = .690),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apstone design was trailed in the field of nursing education and produced the bed sore socks. In the nursing education, not many capstone design trails appeared yet, this study might be the first trail in the field of nursing, and it could be challenging for expanding of nursing education.

본 논문은 간호교육에 캡스톤 디자인을 적용한 사례를 제시하고 적용한 결과에 대해 분석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기본간호학 교과목을 이수한 간호대학생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학생들로, 프로젝트 팀을 구성하여 팀활동으로 진행하였다. 기본간호학 수업을 통해 학습한 지식을 시작으로 지식-팀구성-주제선정/분석-디자인/개발-모의실험-평가/피드백의 과정으로 수행하였으며, 연구기간은 2015. 5. 1~2015. 10. 30일 까지 6개월간 진행하였다. 최종 결과물로 욕창 예방을 위한 욕창예방양말(BBS: Bed Sore Socks)이 개발되었고, 욕창예방양말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요양병원에 입원 중인 와상환자에게 무작위 대조군 실험설계로 BBS를 7일간 적용하여 욕창 발병과 욕창위험 점수를 평가 하였다. 모의 무작위 대조군 실험결과, 중재군의 욕창발병률($x^2=.40$, p= .500)과 욕창위험점수(z= -.45, p= .690)에 효과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공학계열을 중심으로 적용되고 있는 캡스톤 디자인을 본 연구에서는 간호교육에 적용하고 그 사례를 제시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간호학 분야에서의 캡스톤 디자인 교육의 다양한 적용가능성과 교과목에 적용 후 그 성과를 분석해 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조자, 안양희, 김미원, 정연옥, 이주희, "간호학 특성을 반영한 4년제 간호교육 평가인정 표준 및 기준 개발," 한국간호과학회, 제36권, 제6호, pp. 1002-1011, 2006.
  2. Y. H. An, "Critical thinking and standards of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 evaluation for health professions, Vol. 1, No. 1, pp. 99-106, 2004. https://doi.org/10.3352/jeehp.2004.1.1.99
  3. 이무상, 김선, "간호교육 평가 : 학술 ; 임상수행능력 평가-간호교육 중심으로," 간호학탐구, 제8권, 제1호, pp. 39-59, 1999.
  4. C. Mackintosh-Franklin, "Pedagogical principles underpinning undergraduate Nurse Education in the UK: A review," Nurse Education Today, Vol. 40, pp. 118-122, 2016. https://doi.org/10.1016/j.nedt.2016.02.015
  5. 김영희, 권인수, 김경덕, 박경민, 박현숙, 소향숙, 이우숙, 장금성, 정복례, 최은희, 간호교육 사례중심 교수 학습법, 포널스출판사, 2016.
  6. 박수홍, 정주영, 류영호, "창의적 공학교육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Capstone Design) 교수활동지원 모형 개발," 수산해양교육연구, 제20권, 제2호, pp. 184-200, 2008.
  7. 이재열 외, 서울대학교 시니어 캡스톤 프로그램 연구보고서, 서울대학교, 2005.
  8. 정진현, "캡스톤 디자인(Capstone Design)에 기초한 초등의 창의적 공학기술 교육 프로그램개발과 적용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25권 제4호, pp. 195-215, 2012.
  9. 노영희, "문헌정보학 캡스톤디자인 교육과정 운영과 학습만족도 측정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6권, 제3호, pp. 89-118, 2015.
  10. 이혜진, 최문희, "뷰티디자인과 대학생들의 진로 선택과 캡스톤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제13권, 제3호, pp. 85-94, 2015.
  11. 송지영, 김선화, "전문대학 시각디자인과의 캡스톤디자인을 통한 직무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6호, pp. 183-192,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6.183
  12. 이태호, 김태훈, "Capstone-Design 활동에서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상호작용 변화 분석," 공학교육연구, 제17권, 제1호, pp. 57-64, 2014.
  13. 류영호, 공학설계교육 개선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 교수활동 지원 모형 개발, 부산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08.
  14. J. R. Goldberg, "Preparing students for capstone design [Senior Design]," IEEE Eng Med Biol Mag, Vol. 28, No. 6, pp. 98-100, 2009. https://doi.org/10.1109/MEMB.2009.934917
  15. 이현이, "디자인 산업융합전략과 캡스톤디자인,"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2권, 제2호, pp. 68-72, 2014. https://doi.org/10.20924/CCTHBL.2014.12.2.068
  16. J. Black, M. Baharestani, J. Cuddigan, B. Dorner, L. Edsberg, D. Langemo, M. E. Posthauer, C. Ratliff, and G. Taler, "National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s updated pressure ulcer staging system," Dermatol Nurs, Vol. 19, No. 4, pp. 343-349, 2007.
  17. N. Bergstrom, P. J Dermuth, and B. J. Braden, "A clinical trial of the Braden Scale for Predicting Pressure Sore Risk," Nurs Clin North Am, Vol. 22, No. 2, pp. 417-428, 1987.
  18. 송효정, 김수미, 김남초, "장기 요양시설 노인의 배뇨 형태 및 욕창 실태에 대한 조사," 대한배뇨장애 및 요실금 학회지, 제7권, 제2호, pp. 91-94, 2003.
  19. 윤명환, "디자인분야의 캡스톤디자인 적용사례 및 성과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 111-118,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2.111
  20. P. D. Murohy, "Capstone experience," Retrived October, 11, 2015. from North Dakota State University Web site http://www.ndsu.edu/ndsu/accreditation/assessment/capstone_experience.htm
  21. Z. Moore and S. Cowman, "Pressure ulcer prevalence and prevention practices in care of the older person in the Republic of Ireland," J Clin Nurs, Vol. 21, No. 3-4, pp. 362-371, 2012. https://doi.org/10.1111/j.1365-2702.2011.03749.x
  22. C. O'Tuathail and R. Taqi, "Evaluation of three commonly used pressure ulcer risk assessment scales," Br J Nurs, Vol. 20, No. 6, pp. 27-32, 2011.
  23. P. Y. Takahashi, A. Chandra, and S. S. Cha, "Risk factors for pressure ulceration in an older community-dwelling population," Adv Skin Wound Care, Vol. 24, No. 2, pp. 72-77, 2012. https://doi.org/10.1097/01.ASW.0000394030.49530.b4
  24. A. E. Rogers, "The working hours of hospital staff nurses and patient safety," Health Aff (Millwood), Vol. 23, No. 4, pp. 202-212, 2004. https://doi.org/10.1377/hlthaff.23.4.202
  25. U. Kallman and B. O. Suserud,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 among nursing staff concerning pressure ulcer prevention and treatment - a survey in a Swedish healthcare setting,"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Vol. 23, No. 2, pp. 334-341, 2009 https://doi.org/10.1111/j.1471-6712.2008.00627.x
  26. 신경림, 김미영, 강윤희, 정덕유, 엄지연, 권유림, "노인요양병원 욕창 위험군 노인의 욕창 발생 관련요인," 한국노년학, 제14권, 제1호, pp. 30-39, 2012.
  27. 서연화, 심현애, "시각디자인 전공 학생들을 위한 글로벌 캡스톤디자인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분석," 기초조형학연구, 제17권, 제2호, pp. 185-194,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