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위치추적권 활용의 법적·기술적 문제와 개선방안

Legal and Technical Issues of Using Location Information for Police Rescue

  • 박광주 (부산지방경찰청 여성청소년과) ;
  • 장윤식 (한림대학교 국제학부(정보법과학)) ;
  • 박노섭 (한림대학교 국제학부(정보법과학))
  • 투고 : 2017.11.15
  • 심사 : 2017.12.11
  • 발행 : 2017.12.31

초록

경찰은 이어지는 강력범죄 대응 요구와 프라이버시 침해의 우려가 맞서는 상황에서 오랜 시도 끝에 2012년 5월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개정을 통해 이전에 소방에 의존하던 휴대폰 단말기 위치추적권을 갖게 되었다. 위치추적권은 위급한 상황에서 국민의 생명을 지켜야한다는 당위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 적법 상황에서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신속한 집행이 가능하여야 하며, 복잡다기한 현장상황을 포섭할 수 있는 유연한 적용이 요구되고 또한 기술 변화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일선에서는 긴급상황에서 사용자 위치추적의 사전동의, 경찰권한 발동을 정당화하는 상황의 존재에 대한 판단, 요청자의 적격성 등 불확실한 법률적 판단의 문제와 정확성 등 기술상의 문제로 시민들의 기대와 같이 필요한 때에 적실하게 위치추적권을 활용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논문은 경찰이 위치추적을 할 수 있게 된지 5년이 되어가는 시점에서 위치추적권의 실효성을 저해하는 환경, 법률 그리고 위치추적 기술과 관련된 제반 쟁점을 현장경험을 통해 정리 분석하고 개인정보관련 법들의 단일화나 위치추적 비용부담 문제 등 제도적 개선안을 종합적으로 검토, 제시하였다.

In May 2012, the police was empowered to electronically obtain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devices from the telecommunication service provides for the purpose of rescue by the Act on the Protection, Use, ETC. of Location Information, after years of pressure with repeated serious violent crime outbreaks and controversy concerning the risk of breaching privacy. This study examines the environmental, legal, and technological challenges related to location tracking at the time of five years after the amendment of the law. The bottom line of police's locating power is to secure the lives of people in deadly emergent circumstance. Therefore, location tracking using given information should be swiftly proceeded after consideration and judgment of justification in timely manner to electronically request information to mobile carriers, and it is necessary to have somewhat flexibility of interpretation to be applied to diverse situation. In addition, location tracking technology should be continuously updated through cooperation with the stake-holders. Recognizing substantial problems in practice, we identified and explored the issues including obtaining prior consent for tracking the user's location in case of emergency, confirmation of emergency situation requiring police presence, qualification of legitimate requester, and limited applicability in various circumstances, which are required to reconsidered in conjunction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s. Additional practical issues may include the expenses for information provision and other incentives to promote active cooperation by the telecom companies.

키워드

참고문헌

  1. 감사원 (2015), 긴급출동 구조체계 구축 운영실태, http://www.mpss.go.kr/board/board.do?boardId=bbs_0000000000000057&mode=view&cntId=15, 검색일, 2017. 10. 10.
  2. 개인정보보호 종합지원 포털, 개인정보의 개념, http://www.privacy.go.kr/nns/ntc/inf/personalInfo.do, 검색일 2017. 10. 10.
  3. 경향신문 (2012), 와이파이로 최대 5m 이내까지... 스마트폰 위치추적 촘촘해진다, http://news.khan.co.kr/kh_news/art_print.html?artid=201205232242375, 검색일 2017. 10. 10.
  4. 김봉수 (2012), 위치정보의 보호를 위한 형법적 고찰, 법학논총, 32(3), 271-298.
  5. 뉴스천지 (2012. 4. 24), 국민 10명 중 7명 "112센터 위치추적권 가져야", https://www.newscj.com:450/news/articleView.html?idxno=129010, 검색일 2017. 10. 10.
  6. 다산인권센터 (2012),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에 관한 의견서, http://www.rights.or.kr/117, 검색일 2017. 10. 10.
  7. 대전일보 (2011. 2. 24.), "무서운 10대 '중학생 폭행' 사망," 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939332, 검색일 2017. 10. 10.
  8. 동아일보 (2011. 2. 28), 강력사건에도 발만 동동... 경찰에 위치추적권 줄 때, http://news.donga.com/3/all/20110228/35176007/1, 검색일 2017. 10. 9.
  9. 동아일보 (2012. 4. 11). '112 위치추적' 법안 무산도 검경갈등 탓, http://news.donga.com/3/all/20120411/45432717/1, 검색일 2017. 10. 10.
  10. 머니투데이 (2015. 6. 8.), 정부, 메르스격리자 휴대폰 위치추적... '위치정보보호법' 근거 개별 구두동의,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5060815443716550&outlink=1, 검색일 2017. 10. 10.
  11. 박경신 (2012), "개인정보"의 정의와 위치정보보호법의 개선 방안: 익명위치정보, 허가제 및 즉시동의요건을 중심으로, 법학연구, 37, 191-221.
  12. 박종철 (2014), 긴급신고제도의 효율적인 대응체제 구축에 관한 연구, 자치경찰연구, 7(1), 178-208.
  13. 박종철, 우대식 (2014), 112신고 위치추적 운영 개선방안 연구, 자치경찰연구, 7(4), 61-90.
  14. 박창민 (2013.), 위치정보의 서비스 동향과 패러다임의 변화, Internet & Security Focus, 2013. 5월호, 24-40.
  15. 방송통신위원회 (2010. 1.).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해설서, 관리번호 제 2010-32호.
  16. 서봉성, 최응렬 (2015), 범죄통제를 위한 위치정보수집과 경찰의 역할, 사회과학연구 22(3), 319-338.
  17. 연합뉴스(2014. 12. 29.), 윤재옥, '자살암시글 게시자 긴급구호법' 발의,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4/12/28/0200000000AKR20141228043100001.HTML, 검색일 2017. 10. 10.
  18. 유재준 (2012), 융합의 장으로 새롭게 주목받는 실내공간, 주간기술동향, 2012.11, 14-26.
  19. 윤성근, 채진 (2012), 119위치정보 시스템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8, 83-100.
  20. 윤주연, 박수현 (2014), 위치기반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위치정보법의 개선방향, Internet & Security Focus, 2014. 1., http://www.kisa.or.kr/jsp/common/downloadAction.jsp?bno=158&dno=124&fseq=1, 검색일 2017. 10. 9.
  21. 이성용 외 (2014), 긴급신고 통합방안 연구 용역 최종보고서,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http://www.prism.go.kr/homepage/researchCommon/downloadResearchAttachFile.do?work_key=001&file_type=CPR&seq_no=001&pdf_conv_yn=N&research_id=1312000-201400053, 검색일 2017. 10. 10.
  22. 이원상 (2012), 형사사법에 있어 개인위치정보에 대한 고찰: 긴급구조 및 수사를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 23(2), 109-132.
  23. 이주락 (2017), 효과적인 재난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경찰활동 방향, 한국경호경비학회지, 51, 315-334.
  24. 조용혁 (2014), 긴급구조를 위한 개인위치정보의 이용에 관한 법제개선방안, 한국법제연구원, https://www.klri.re.kr/kor/publication/pubReseachReportView.do?seq=1432, 검색일 2017. 10. 10.
  25. 최혜옥 (2003), 위치기반서비스, TTA저널, 86, 59-69.
  26. 테크조선 (2012. 12. 24), SK텔레콤 건물 내부 위치까지 알려주는 기술 개발, http://tech.chosun.com/archives/351, 검색일 2017. 10. 10.
  27. 한겨레신문 (2012. 4. 9.), 엽기 참극 일어나도... '119만도 못한 112센터',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527511.html, 검색일 2017. 10. 9.
  28. 한국인터넷진흥원 (2010), 위치정보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해설서, http://www.kisa.or.kr/uploadfile/201204/201204061433359599.pdf, 검색일 2017. 10. 10.
  29. 한국정보화진흥원 (2014. 4.), 공공분야 Wi-Fi 확산계획 및 추진전략, http://www.kics.or.kr/Home/UserContents/20140415/140415_133632392.pdf, 검색일 2017. 10. 10.
  30. 황현락 (2012), 112범죄신고체제에 관한 연구, 융합보안 논문지, 12(5), 23-32.
  31. IT동아 (2012. 12. 24), 갤럭시S3, 노트2 "이제 내가 몇 층에 있는지도 맞춘다" http://it.donga.com/12457/, 검색일 2017. 10. 10.
  32. Wilde, E. T. (2013). Do emergency medical system response times matter for health outcomes?. Health economics, 22(7), 790-806. https://doi.org/10.1002/hec.28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