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경제정의신철시민연합 (2013). 「2013 한국인의 공공갈등 의식조사」 결과. https://ccej.or.kr/index.php?document_srl=382892 에서 2016. 9. 25일 자료 얻음.
- 교육부 (2016). 커리어넷 학과정보. http://www.career.go.kr/cnet/front/base/major/FunivMajorView. do?SEQ=330#tab2.에서 2016. 5. 2. 자료 얻음.
- 김계원, 정종진, 권희영, 이윤주, 김춘경 (2011). 상담심리학의 최근 연구 동향: 상담 및 심리치료학회지 게재논문 분석(2000-2009).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3), 521-542.
- 김영기, 박재규 (2002). 기업의 구조조정과 노동자의 건강에 관한 연구. 보건과 사회과학, 11, 41-66.
- 김교헌, 김세진, 권선중 (2009). 태안 주민들의 재난 적응 과정에 대한 토착심리학적 이론 구성.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8(1), 189-208.
- 김정연, 이은주, 하은희 (2001). 산업재해 환자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13(2), 141-151.
- 안전행정부 (2016). 연령별 인구현황. http://rcps.egov.go.kr:8081/ageStat.do?command=month에서 2016. 5. 2. 자료 얻음.
- 정안숙 (2015). 현대한국사회에서 공동체심리학의 역할: 공동체심리학의 핵심 가치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4(3), 667-683.
- 정홍주, 오수성, 이영호, 박중규, 신현균, 김석웅, 정명인 (2015). 한국전쟁 전후 국가폭력에 의한 피해자 및 가족의 심리적 트라우마. 민주주의와 인권, 15(3), 385-414.
- 오수성, 신현균 (2008). 5.18 피해자들의 생활스트레스, 대처방식,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외상후 스트레스, 심리건강 간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7(3), 595-611.
- 오수성, 신현균, 조용범 (2006). 5.18 피해자들의 만성 외상 후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5(2), 59-75.
- 이혜림, 김수현, 박은혜, 김나현, 최승원 (2014). 한국 임상 심리학의 연구 동향: 1967-2013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학회지 게재 논문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3(4), 919-942.
- 이혜민, 박주영, 김승섭 (2014). 한국 성소수자 건강 연구: 체계적 문헌고찰. 보건과 사회과학, 36, 43-76.
- 차재호 (1994). 사회문제 연구의 필요성과 방법론.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 5-19.
- 차재호 (1996). 사회문제연구학회. 한국심리학회 50년사, 323-332. 교육과학사.
- 최상진 (2011). 한국인의 심리학. 서울: 학지사.
- 최상진, 한규석 (2000). 문화심리학적 연구방법론.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4(2), 123-144.
- 한국갤럽조사연구소 (2015). 한국인의 종교: 1984-2014. 한국갤럽조사연구소.
- 한국 문화 및 사회 문제 심리학회 (2016). http://www.kpacsi.or.kr 에서 2016. 2. 13. 자료 얻음.
- 한규석, 최상진 (2008). 마음의 연구와 심리학: 마음의 문화심리적 분석에 바탕한 심리의 작용 틀.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7, 281-307.
- 한규석 (2002). 한국적 심리학의 전개 현황과 과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1(2), 67-95.
- 한덕웅. (1994). 한국 사회 문제에 대한 국민의 지각.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 20-53.
- 한덕웅. 최훈석 (2006). 한국 사회문제의 변화 - 지난 10년간 세 시점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2(1), 103-128.
- Arnett, J. J. (2008). The neglected 95%: Why American psychology needs to become less American. American sychologist, 63, 602-614.
- Bronfenbrenner, U.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 Kloos, B., Hill, J., Dalton, J. H., Elias, M. J., & Wandersman, A. (2013). Community Psychology: Linking Individuals and Communities. Independence, KY: Wadsworth.
- Linkov, V. (2017). Psychology is not primarily empirical science: A comparison of cultures in the lexical hypothesis tradition as a failure of introspection. Integrative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Science, in press. Available at http://link.springer.com/article/10.1007/s12124-016-9375-1
- Markus, H., & Kitayama, S. (1991). Culture and the self: Implications for cognition, emotion, and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98, 224-253.
- Nisbett, R. E. (2003). The geography of thought: Why we think the way we do. New York: Free Press.
- Shweder, R. A., & Bourne, E. J. (1982). Does the concept of the person vary cross-culturally?. In A. J. Marsella & G. M. White (eds.), Cultural conceptions of mental health and therapy. Dordrecht, Holland: D. Riedel.
- Socicety for Psychological Study of Social Issues. (2016). http://www.spssi.org/index.cfm? fuseaction=Page.ViewPage&pageId=1977 에서 2016. 2. 13. 자료 얻음.
- Trickett, E. J., Espino, S. R., & Hawe, P. (2011). How are community interventions conceptualized and conducted? An analysis of published accounts.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9(5), 576-591.
- Weltfich, G. (1945). Introduction. Journal of Social Issues, 1(1),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