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학전공 대학생의 현장실습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ield Practice on Career Attitude Maturity in Health Science Majors

  • 남영희 (남서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 이태임 (대구보건대학교 보건행정과) ;
  • 오향숙 (세명기독병원 의무기록실)
  • Nam, Young-Hee (Department of Health Administration, Namseoul University) ;
  • Lee, Tae-Im (Department of Public Health Administration, Daegu Health College) ;
  • Oh, Hyang-Suk (Department Medical Recode, Se-Myeong Gidok Hospital)
  • 투고 : 2017.03.15
  • 심사 : 2017.04.29
  • 발행 : 2017.04.30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field practice of health science majors on their career attitude maturity in our country in an effort to determine influential factors. Method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20 selected health science majors in three different colleges located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and South Chungcheong Provinc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September 1 to 10, 2016. As for statistical analysis. a statistical package SPSS 20.0 was used. Results: The factors of the field practice of the health science majors that affected their career attitude maturity were the career of people in charge(${\beta}=.145$, p-.034) and the content of field practice(${\beta}=.233$, p=.015), which were the factors of the institution for field practi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in charge and trainees(${\beta}=.299$, p=.008) and satisfaction with field placement(${\beta}=-.262$, p=.013) that were the factors of field practice tasks were also influential. The influence of these facto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Institutions that provide health science majors with the opportunity of field practice should try to improve the competencies of people in charge, to ensure the substantiality of field practice in content and to develop standardized manuals for field practice. In schools, professors who are in charge of field practice should offer intensive guidance and feedback on problems with field practice. These efforts are expected to elevate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of stud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희자. 사회복지전공학생의 실습만족도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2. 국가직무능력표준, http//www.ncs,go.kr. 2017.3.11 검색.
  3. 권혜진 등 11명. 서울지역 4년제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실습 유, 무에 따른 진로태도성숙. 이화간호학회지 2009;43:41-50.
  4. 김명아 등 5명. 간호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영향요인. 정신간호학회지 2004;13(4):383-391.
  5. 김수영. 사회복지학전공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와 진로에 관한 연구-전북지역 3개 대학 사회복지학전공자를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전북:원광대학교 대학원, 2007.
  6. 김영주. 산학실습이 대학생들의 직업의식 변화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효과성 검증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2015;2015(1):161-178.
  7. 김융일. 사회사업학과 학생들의 기관실습이 전문직 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성심여자대학 교사회과학연구 1987;3:69-82.
  8. 김영태. 대학생의 정신건강과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원광대 학술지 2005;34:81-104.
  9. 김주리. 사회사업 실습에 대한 학생의 만족도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2.
  10. 남영희, 권현주, 천의영. 보건행정학과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유형에 따른 전공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2012;13(2):17-27.
  11. 박창규. 관광관련학과 산학현장실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수도권 지역 여행사 현장실습을 중심으로-. 동북아관광연구 2011;7(3):179-200.
  12. 원미라, 김연정.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 관련 요인. 대학생활연구 2013;19(1):57-72.
  13. 이기학.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자아존중감, 직업가치, 내 외통제성을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7.
  14. 이용철, 임복희, 박영희, 엄철준. 의료기관 실습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의료기관 의견조사. 보건정보관리학회지 2004;9:25-47.
  15. 이은희. 보건행정과 학생들의 병원실습에 대한 만족도조사. 보건정보관리학회지 2009;20 :57-62.
  16. 이해경.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17. 장미화. 로직모형에 근거한 치위생과 현장실습운영 질관리 평가기준 개발[박사학위논 문].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5.
  18. 장석민, 임두순, 송병국. 진로성숙도 검사 표준화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1.
  19. 전미숙, 이상주. 사회복지전공자의 진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중요 성에 대한 연구.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2014;12:127-148.
  20. 정수영.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강원: 한림대학교 대학원, 2006.
  21. 천의영, 남영희, 권현주. 보건행정학과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직업 교육경험과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보건행정학회지 2009;19(3)166-182.
  22. 황현주, 허경숙, 정유경. 산학실습에 대한 만족이 조리학전공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리과학회지 2006;22(5):702-711.
  23.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Lawrence Erlbaum, Hillsdale, NJ, 1988.
  24. Creed PA, Patton W. Differences in career attitude and career knowledge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and without paid work experience. International Journal for Educational and Vocational Guidance 2003;3(1):21-33. https://doi.org/10.1023/A:1022674528730
  25. Crites JO. Manual for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 for adults. Monterey, California: CTB/McGraw-Hill, 1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