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건강성이 대학생의 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Family Strength on College Students' Flow

  • 투고 : 2016.11.15
  • 심사 : 2017.03.31
  • 발행 : 2017.04.30

초록

Objec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family strength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on flow. Methods: To achieve this purpose, a survey on the family strength and flow was conducted on 113 male college students and 187 female college students. Correlation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ere carried out among the variables,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family strength on flow.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family strength of the college students had a static correlation with flow. Secondly, the examination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 family strength and the flow revealed that the family strength and flow of mal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female students. Thirdly,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family strength on flow when the sociodemographic background was controlled, the shared value system among family members, the ability of problem solving, and ties with family members from the sub-factors of family strength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sub-factors of flow. Conclusions: Through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identified that family strength is important for college students who have greater independence and freedom than in middle and high school, and the higher family strength was, the higher flow was. This result can be used as a basis to prepare a practical intervention plan to increase the flow of college stud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소라, 박혜인. 대학생의 자아분화 수준과 가족건강도 지각 관련 변인 연구. 계명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과학논집 2001;27(2):19-37.
  2. 강승희. 가족건강성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학교적응의 매개효과. 중등교육연구 2012;60(4):937-961.
  3. 고경자, 정혜정.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친구애착이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016;20(40):3-24.
  4. 김민경. 남녀대학생의 강점, 가족건강성과 행복과의 관계.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012;16(4):47-68.
  5. 김연화. 아동의 성격유형 및 부모와의 의사소통 유형과 행복감과의 관계[박사학위논문]. 서울: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6. 김영재. 성별에 따른 여가몰입척도의 다집단 분석 및 잠재평균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10;42(2):1253-1264.
  7. 김혜주. 대학생의 전공만족과 몰입경험이 진로결정 효능감 및 진로 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서울: 성균관대학교, 2007.
  8. 류남애, 유순화, 송현아, 최지현, 정애리. 고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심리적 독립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2011;18(10):65-87.
  9. 류미현. 마이스터고 남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자아분화 및 실습 몰입 경험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경남: 경남대학교, 2011.
  10. 민지애. 대학생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자아정체감 및 진로결정몰입의 관계[석사학위논문]. 서울: 가톨릭대학교, 2012.
  11. 송인숙, 홍달아기, 박현성.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2013;18(4):579-598. https://doi.org/10.13049/kfwa.2013.18.4.579
  12. 심성섭. 마스터즈 수영대회 참가자의 수영활동몰입 여가만족,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2004;15(4):329-342.
  13. 안병욱. 성별에 따른 오리엔티어링 참여자의 관여도, 여가몰입, 여가만족에 대한 구인동등성 및 잠재평균 분석. 한국웰니스학회지 2013;8(2):49-59.
  14. 양순미. 농촌가족의 건강성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서울: 경희대학교, 2001.
  15. 어은주, 유영주. 가족의 건강도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95;13(1):145-156.
  16. 용정현. 대학생의 완벽성향과 학습몰입도의 관계[석사학위논문]. 강원: 강원대학교, 2011.
  17. 유은주, 최명숙, 최성열. 청소년이 지각한 학급풍토, 가정의 도전과 지원, 학습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습몰입간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2010;24(3):707-732.
  18. 유지수, 최수영. 치위생과 학생이 인식한 학습풍토가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 치위생과학회지 2011;11(2):99-105.
  19. 윤세은. 청소년기 자녀가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과 자아정체감과의 관계: 서울시 남녀고등학생을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서울: 경희대학교, 2000.
  20. 이미라.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 진로선택몰입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5;16(12):8767-8775. https://doi.org/10.5762/KAIS.2015.16.12.8767
  21. 이숙정. 대학생의 학습몰입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011;25(2):235-253.
  22. 이요행, 김윤정, 오세진. 기혼 남녀 근로자의 결혼만족도와 조직몰입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005;10(4):447-460.
  23. 전진숙. 중학생의 체육수업 성역할 인식과 체육수업몰입의 관계[석사학위논문]. 서울: 한양대학교, 2010.
  24. 정진철, 이승일, 박민경. 대학생의 전공몰입이 진로탐색효능감과 직업 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교육학회 2012;27(3):229-250.
  25. 정혜원, 조옥귀. 초등학생의 가족건강성과 행복의 관계에서 몰입경험과 또래애착의 역할. 교육이론과 실천 2011;21:63-85.
  26. 조한숙, 문혁준.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통제와 가족의 건강성 및 아동의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 성차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2008;46(9):47-60.
  27. 최보라. 가정.학교의 심리적 환경, 성격, 학습전략 및 학습몰입 간의 관계[박사학위논문]. 서울: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28. 최정혜.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가족건강성 연구. 중등교육연구 2015;27:1-20.
  29. 한소영, 신희천. 커플 기본 심리적 욕구 중요성 척도의 다집단 요인분석과 잠재평균분석. 한국심리학회지 2007;19(2):447-465.
  30. 한은숙, 이희경. 직장인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몰입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11;25(2):351-370.
  31. 황농문. 인생을 바꾸는 자기 혁명, 몰입. 알에이치코리아, 2007.
  32. Adlai-Gail W. Exploring the autotelic personal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icago, 1994.
  33. Asakawa K. Flow experience, culture, and well-being: how do autotelic Japanese college students feel, behave, and think in their daily live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2010;11:205-223. https://doi.org/10.1007/s10902-008-9132-3
  34. Carli M. Fave AD. Massimini F. The quality of experience in the flow channels: Comparison of Italian and U.S. students. In: Csikszentmihalyi M, Csikszentmihalyi I, editors. Optimal experience.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288-306.
  35. Csikszentmihalyi M. Beyond boredom and anxiety: Experience Flow in Work and Play. San Francisco: Jossey-Bass, 1975.
  36. Csikszentmihalyi M.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Harper and Row, 1990.
  37. Csikszentmihalyi M. Finding flow: The psychology of engagement with everyday life. New York: Basic Books, 1997.
  38. Hektner JM. Exploring optimal personality development: A longitudinal study of adolescent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icago, 1996.
  39. Jackson SA. Marsh HW.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optimal experience: The flow state scale,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1996;18(1):17-35. https://doi.org/10.1123/jsep.18.1.17
  40. Jackson SA. Eklund RC. Assessing flow in physical activity: The flow State scale-2 and dispositional flow scale-2,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2002;24(2):133-150. https://doi.org/10.1123/jsep.24.2.133
  41. Mesurado B. Minzi MCR. Child's personality and perception of parental relationship as correlates of optimal experience,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2013;14(1):199-214. https://doi.org/10.1007/s10902-012-9324-8
  42. Nakamura J. Optimal experience and the uses of talent". In: Csikszentmihalyi M, Csikszentmihalyi I, editors. Optimal experience.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319-326.
  43. Nakamura J. Csikszentmihalyi M. The concept of flow. In: Snyder CR, Lopez SJ, editor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pp89-105.
  44. Wells AJ. Self-esteem and optimal experience. In: Csikszentmihalyi M, Csikszentmihalyi I, editors. Optimal experience. Cambri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327-341.